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점뫼 Feb 19. 2023

내일 먹을 김치콩나물국을 내일로 미루지 말자





식탁에서 국물을 없애야 한다는 이야기가 이제 새롭지도 않지만 새롭지 않아도 계속 나오는 이유는 바로 한국인의 못 말리는 국 사랑 때문일 것이다. 특별한 반찬이 없을 때 괜찮은 국만 있으면 따뜻한 한 끼를 먹을 수 있고, 먹일 수도 있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짤 중, 아이들이 유독 환장하는 음식 목록 첫 번째에 ‘미역국 만 밥’ 사진이 있는 걸 본 적 있는데 그걸 반박할 한국인 아마 없을 거다(나도 지난주 3일 연달아 아이에게 미역국에 밥을 말아 주었다. 매 끼니는 아니고).      


나의 국 사랑 역시 오랜 시간 학습되어 온 것인데, 그것의 시작에는 물론 엄마가 있고 또 아빠가 있다. 엄마는 아빠의 니즈에 맞춰 아침, 저녁마다 국이나 찌개를 끓였다. 저녁에는 국이나 찌개 둘 다 가능했지만 아침에는 웬만해선 국이어야 했다. 전날 먹은 찌개를 내면 아빠는 “맑은 국 없어?”라고 아침 식탁에서 귀여운(?) 반찬 투정을 하셨다. 아침 일찍 국을 끓이기 힘들었던 엄마는 가끔 전날 밤, 다음날 아침에 먹을 국을 끓였다.


밤 10시, 11시까지 엄마가 부엌에서 달그락 거릴 때가 있는데 그런 날은 냉장고 청소를 하는 날이다. 방에서 심심해진 나는 소리가 나는 부엌에 슬쩍 나가본다. 엄마의 냉장고 청소가 끝나가는 와중에 가스레인지 위 냄비에서 무언가가 김을 내며 열심히 끓고 있다. 나는 안다. 그 냄비 안에 김치콩나물국이 있다는 것을.

      

일반 냉장고와 김치 냉장고를 통틀어 냉장고 안에서 가장 덩치 큰 녀석은 역시 김치통이다. 큰 김치통에 김치가 절반도 안 되게 남이 있으면 정리대상 1순위다. 일부는 잘라 반찬통에 넣고 또 일부는 멸치와 다시마로 펄펄 끓인 우린 육수 속에 들어간다. 김치가 좀 익으면 콩나물을 넣고 더 끓인다. 마지막으로 어슷하게 썬 대파와 후춧가루를 넣으면 얼큰 칼칼한 김치콩나물국 완성.   

   

내가 알면서도 “엄마, 뭐 끓여?” 하고 슬쩍 다가가면 엄마는 즉답 대신 여태까지 자신이 처리한 것들을 알려준다. “김치통 부셨어, 안 먹는 건 싹 버리고. 뭐 이렇게 안 먹는 게 많냐?” 그러고 나서야 내 질문에 대답한다.


“김치콩나물국 먹어 봐, 간도 안 봤어.”     


그럼 난 깊은 냄비에서 펄펄 끓고 있는 국을 대접 한가득 퍼 식탁으로 가져간다. 처음엔 너무 뜨거워 잘 먹지 못하지만 어느 정도 식으면 술술 들어간다. 아주 푹 익지 않은 콩나물의 아삭 거림이 좋다. 처음 끓인 김치콩나물국은 짜지 않고 시원해 나는 밥 말아먹지 않는 걸 더 좋아한다. 한 그릇 국물까지 다 마시고 나면 배 속이 뜨끈해지면서 목은 얼얼하다. 한 그릇에서 멈추기가 힘들다. 나는 처음보다는 못하지만 또 거의 한 그릇을 채워 국을 푼다. 국을 푸며 “내가 너무 다 먹는 거 아니야?” 물으면 엄마는 “내일은 내일이고 먹고 싶으면 먹어야지.”하며 딸의 체중 증량에 힘을 보태줬다.

     

김치콩나물국은 이상하게 그다음 날 먹으면 이 맛이 안 난다. 김이 나게 끓였대도 처음 막 팔팔 끓었을 때처럼 뜨끈하지도 않은 것 같고 콩나물도 숨이 많이 죽어 시원한 맛도 덜한 것 같다. 아빠는 절대 알지 못할, 늦은 밤 부엌을 기웃대는 자만이 느낄 수 있는 맛을 느낀 나는 만족스럽게 배를 두들기며 방으로 들어간다.


          

시뻘건 김치 국물에 콩나물이 들어가는 순간. 


주부가 된 나는 이제 엄마의 김치콩나물국을 응용해 어묵김치콩나물국을 끓인다. 남편이 아침에 제일 좋아하는 국이다. 술 마신 다음날은 특히나 좋아한다. 끓이기도 쉽다. 요즘 코인 육수를 즐겨 사용하는데 김치랑 코인 육수를 처음부터 같이 넣어 끓이다 코인 육수가 다 분해되면 콩나물과 어묵을 넣어 콩나물이 익을 때까지 끓이면 된다. 어묵이 있어 배도 차고 해장도 돼 술 안 먹은 내가 먹어도 시원하고 맛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어묵 국물의 '세 가지 온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