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사월 Apr 12. 2023

매년 다른 모습의 4월 9일

어느덧 7주기

어렸을 때는 친척들과의 모임이 지루하고 재미없었다.

어른들끼리만 아는 얘기를 하고 사촌 간에도 별로 친하지 않아서 가기 싫고 지루하기만 한 자리였다.


어색하게 인사하고 뻘쭘하게 앉아서 들어가지 않는 밥을 억지로 먹고

어른들의 대화가 끝나기만을 기다렸다가 집에 오는 게 어찌나 지루하고 답답했었는지 모른다.


어느덧 성인이 되고 사회생활을 해보면서

누군가의 경조사에 참석하는 게 어떤 의미인지 새로 알아가고 있다.


달력에 미리 표시를 하고, 그날의 일정을 비워 놓고,

행사가 열리는 지역까지 가기 위해 휴일의 늦잠을 포기하고,

아침 일찍부터 분주하게 준비하고, 이동하고…

와서 밥 한 끼 함께 먹는 게 얼마나 많은 이들의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일인지.


딱히 특별한 무언가를 하지 않아도

한날한시에 한 곳에 모였다는 것만으로도

이미 특별한 일이라는 걸 30대가 되어서야 비로소 느낀다.





한동안 비가 오고 날이 흐렸는데 엄마의 기일에는 어김없이 화창한 날씨가 기분을 들뜨게 했다.

모두가 인사말로 꽃 이야기를 나누는 예쁜 시절이다.


“올 해는 꽃이 빨리 피고 져버렸어. 원래 엄마 기일쯤이 만개할 때였는데 말이야.”


그렇게 모두 나른한 휴일을 반납하고 엄마 앞에 모였다.

엄마 이야기를 잠시 나누고, 덕분에 가족들이 다 같이 모인다며 공을 엄마에게 돌려준다.



3주기까지는 4월 9일이 너무 괴롭고 슬픈 날이었다.

다신 돌아오지 않았으면 싶은 날짜.


그 후 2~3년 정도는 원망하는 날이었다.

왜 하필 우리 엄마에게, 왜 우리 가족에게 이런 일이 생겼을까.

억울하고 화가 나는 날.


어쩌면 이제야 조금은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다.

이렇게 좋은 날에 모이게 해 줘서 고맙다는 생각도 드는 것을 보면.


눈물로, 원망으로, 서로의 탓만 하며 보낸 시간이 수년이다.

그 시간이 우리의 관계 속에 들어와 알게 모르게 찰기를 만들었다.

엄마 없이도 자주 모이고, 대화를 하고, 나름의 모양을 만들어 가는 걸 보면 말이다.


엄마는 없지만 엄마 덕분에 남은 우리 가족이 조금씩 더 끈끈해지고 있다.

어쩌면 이렇게 밖에는 우리 가족이 친해질 수 있는 방법이 없었는지도 모른다.


고모의 말처럼 엄마가 정말로 가족들 고생시키고 싶지 않아

이렇게 화창한 날 모이게 해 준 것 같다.


그런 엄마가 있다는 것도,

우리 가족이 이렇게 돈독해지고 있다는 것도,

기꺼이 시간을 내 멀리서 찾아와 주시는 친척분들이 계시다는 것도

전부 다 고마운 하루였다.


이제는 고마운 날이 된 4월 9일.

내년, 내후년, 몇 년 뒤의 4월 9일은 또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마음의 민낯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