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komtle Sep 02. 2022

영화 <락다운 213주>

'지금, 현재, 우리'를 설명해주는 디스토피아 #최신영화 리뷰

이 영화는 코로나를 현재진행형으로 겪고 있는 우리에 대한 이야기이다.

감염병을 겪기 전 두려움, 

겪으면서 이해되지 않는 일들에 대한 변명, 

앞으로 있음직한 일들에 대한 경고, 

바로 우리의 디스토피아적 현주소를 보여준다.



<락다운 213주>는 치사율이 훨씬 치명적인 COVID-23 변이 바이러스로 통행금지, 사회 시스템 붕괴, 완벽한 통제, 무너진 공급망, 비상계엄 상태의 2024년 'LA 213주’가 배경이다.


폐허가 된 도시, 텅 빈 거리에 면역자인 배달부 홀자 물건을 배달하는 기이한 풍경이다. 사람들은 매일 오전 9시 휴대폰으로 체온을 재 방역당국에 보고하는 시스템이다. 감염자들은 ‘Q-Zone’이라는 격리수용소에 보내지는데 여기서 탈출한 사람은 없다.


정부는 면역자와 감염자를 철저히 분류하고 봉쇄한다. 하지만 이러한 통제사회에도 돈 있고 힘 있는 사람들은 생존에 유리하다. 사람들은 집에 갇혀 완벽한 언택트(untact) 생활을 한다. 이러한 디스토피아적 상황에서 장애와 질병의 유무에 따라, 소득이 낮을수록 고립도는 더 심화된다.


스틸 컷= 락다운 213주(Songbird)


고립의 상황에서 부유한 사람들은 전염병적 공포로부터 비교적 보호를 받지만 그 안의 부패와 배신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한다. 바이러스로 인해 오갈 때 없는 가수 지방생은 싸구려 모텔에서 인터넷 방송으로 팬들에게 노래를 불러야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


스틸 컷= 락다운 213주(Songbird)



이 영화는 락다운이 된 암울한 미래에 ‘앞으로 다가올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다.

장기간의 고립으로 사람간의 체온을 느낄 수 없고 육체적 접촉도 불가능하다. 사람들은 영상통화로 안부를 묻고 업무를 하고 사랑을 이야기한다.


면역자 배달부인 ‘니코(K.J.아파)’는 그의 사랑하는 연인 ‘새라(소피아 카슨)’는 이 디스토피아적 상황에서 함께 하기 위해 재난을 헤쳐나가는 현대판 로미오와 줄리엣의 모습이었다.


‘니코’와 ‘새라’가 문 하나를 두고 서로에게 이야기하는 장면은 코로나로 인해 우리또한 이미 겪었던, 아니 겪고 있는 일이다. 서로를 만질 수도 직접 볼 수도 없지만 누군가와 사랑에 빠지고 그렇게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할까?



이 영화는 사람들이 재난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한 음식이나 물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사람 간의 친밀함과 사랑의 요소라는 점을 ‘니코’와 ‘새라’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락다운 213>은 감염병 사태로 통제하는 권력과 재난 상황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지키기 위해,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개인의 모습을 그렸다.


스틸 컷= 락다운 213주(Songbird)


이 영화는 이미 있음직한, 아니 어느새 도래해버린 디스토피아적 락다운 상황에서 인간이 ‘그럼에도 추구해야 할 연민, 사랑, 용기’ 등의 가치를 생각하게 한다.



몇 년 전만 해도 ‘설마 코로나로 이렇게 되겠어?’라고 웃어넘기는 일들이 현실로 일어났고 앞으로도 영화와 같은 일들이 또 일어나지 말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락다운 213주>는 킬링 타임용으로 가볍게 넘어갈 수도 있지만, 이미 코로나 블루를 맞고 있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타인과의 공생, 연민, 돌봄, 관심 등의 공동체적 가치라는 것을 무심하게 툭, 재난 스릴러 장르 속에 던지고 있다.


포스터=락다운


https://tv.kakao.com/v/430962513


출처 : 무비톡(http://www.movietok.kr)

이전 08화 집없는 자 모두 유죄 <홈리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