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루씨 Nov 03. 2024

'핑크 룸' 밖의 세상으로 나가다

화가 윤석남 Interview 2.

루씨: 그림을 하겠다고 선언하시고 독학으로 4년 만에 첫 전시를 가지셨는데요, 떨리지는 않으셨나요.


윤 : 어렸을 때부터 마흔 살이 되면 그림을 하겠다고 생각을 해와서 그런지 그냥 편안했어요.

미술대학도 안 나온 데다가 늦게 그림을 시작했으니까 미술계에서 버티는 것이 어렵지 않았냐고 많이들 물어보시는데요, 저는 그냥 그런 생각 없이 했어요. 너무 하고 싶었던 거니까요.

처음부터 전시 제목을 <어머니>라고 붙이고 두 번째 전시까지 그렇게 했어요.

<어머니 1-열아홉 살> 1992
<어머니 2-딸과 아들> 1993

루씨: 첫 번째 전시를 끝내고 2년간 미국을 다녀오셨죠. 그 후에 선생님 작품에 어떤 변화가 있으셨나요?

윤 : 가서 그림은 하나도 안 그렸어요. 그냥 뉴욕 소호거리를 걸어 다니면서 그림을 무지하게 많이 봤어요. 우리나라는 전시한다고 하면 한 일주일 정도하는데 거기는 전시를 한 달씩 하더라고요. 미술관은 다 무료로 들어가서 볼 수 있으니까 본 것 또 보고, 본 것 또 보고 수십 번을 봤어요.


루씨: 1980년대에서 90년대는 미국에서는 페미니즘이 굉장히 붐을 일으킬 때였죠.  

윤 : 맞아요. 그때 브루클린에서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rougeois, 1911~2010) 전시를 봤어요. 정말 놀랐죠. 천정에서부터 커다란 거미 한 마리가 딱 내려와 있는데 그 충격을 잊을 수가 없어요. 지하철 타고 일주일에 몇 번씩 가서 봤어요. 물론 만드는 사람은 따로 있고 작가는 드로잉만 했겠죠. 그런 거 상관없이 그때부터 루이스 부르주아가 저한테는 하느님이었어요.

<마망, Maman> 1999 (출처 나무위키> /    루이스 부르조아의 대표작으로, 가느다란 다리로 땅을 딛고서서 알을 품고 있는 청동거미는 자식을 돌보는 '모성'을 상징한다

루씨: 그때 우리나라에서도 민주화운동의 영향을 받아 민중미술이나 페미니즘 미술이 막 생기기 시작했었죠.

선생님도 민미협(민중미술협회)에서 활동 제안을 받으셨다고 들었습니다.

윤 : 거기 들어가서 김인순, 김진숙, 윤석남 그리고 그 밑에 후배 여성 작가들 몇 명 해서 '여성미술연구회'라는 걸 만들었어요. 나는 뭐든지 앞에 나서는 걸 너무 싫어했으니까 김인순 씨를 앞에 막 내세웠지.

그때 비로소 여성 미술이라는 의식이 머릿속에 들어온 거예요. 그전까지는 '여성 미술'이라는 말도 없었고 페미니즘이라는 말 자체도 몰랐어. 그때부터 제 그림도 달라졌어요. 이제 어머니 얘기는 그만하고 내 얘기를 해도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팡크 룸 4> 1995. (윤석남 홈페이지)

루씨: 그 시기에 나온 작품이  <핑크 룸> 시리즈입니다. 저는 그 작품을 실제로 보지는 못하고 사진으로만 접했는데요.

분홍 소파에 쇠갈고리가 솟아나 있고 한 여성이 자개 옷을 입고 있는 장면이 마치 연극을 보는 듯했습니다. 그 핑크 소파에 놓여있던 여성은 선생님 자신이셨죠?


윤 : 그럼요. 당연하죠. <핑크 룸>을 처음 시작할 때는 인물도 없었어요. 의자 하나만 있었죠.

1인용 의자에 핑크색만 칠해놓고 감히 거기다 자기를 드러내지도 못하고 그렇게 시작했죠.

그 의자가 나 자신이었어요. 근데 거기 보면은 이렇게 발이 이렇게 송곳 위에 서 있잖아요.

간신히 서 있는 거예요.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의자가 아니고요. 앉고 싶어도 못 앉는 그런 상태.

여기도 속하지 못하고 저기도 속하지 못하는 그런 상태를 그 의자로 표현한 거죠.

소파의 색깔도 그냥 편안하고 부드러운 핑크가 아니라 형광 핑크예요. 붕 떠 있는 색이죠.

제가 느꼈던 공허함을 표현하려고 일부러 형광 핑크를 쓴 거예요.


루씨: 바닥에는 구슬이 깔려 있어요.

윤 : 반짝반짝한 구슬이 깔린 방은 너무나 예쁘죠. 그런데 그 방에서는 아무도 서 있을 수가 없어요.

여성들이 집안에 편안히 머무는 것 같아 보여도 자기만의 공간이 없잖아요. 당시에 그래도 경제적으로 안정된 상태였지만 집안 어디에서도 제가 편안히 있을 만한 곳이 없었어요.

방이 세 개였으니까 하나는 시어머니, 하나는 딸, 그리고 남편과 제가 한 방을 썼었는데, 그림 그릴 때는 그냥 부엌에서 그렸죠. 부엌 의자가 내 자리였으니까요.

<핑크 룸>이라는 작품은 '남들이 보기에는 아름답고 고상해 보이지만 사실은 이게 나한테 맞는 옷이 아니야' 이 얘기를 하고 있는 거예요. '니들이 이 핑크 색깔을 아니?' 이런 질문을 던졌던 거죠.


루씨: 남들이 보기엔 별 문제없어 보이는데, 스스로 병들어간다는 고립감은 아마 여성들이라면 대부분 공감할 것 같습니다.

윤 : 남편은 나가서 사회생활 하면서 자기만의 영역이 쌓여가는데 나는 맨날 그릇이나 닦고 걸레질이나 하고 이게 내 일이 돼버린 거잖아요. 근데 나는 이걸 내 일이라고 인정할 수 없는 거죠. '난 이렇게 살고 싶지 않아' 그 얘기를 했던 작품이에요.


<핑크 소파> 2004

루씨 : 조각이나 회화는 전시가 끝나고 나면 컬렉터들이 구입하기도 하고 작가가 소장할 수도 있데 이렇게 큰 설치 작품들은 전시가 끝나면 어떻게 되나요?

윤 : 그냥 내가 가지고 오는 거죠. 누가 사. (웃음)

왜 그게 팔리기가 힘드냐 하면 이런 작품은 미술관에서 살 수밖에 없어요. 근데 이 작업은 당시 그 공간에 딱 맞춰서 한 거잖아요. 미술관마다 상황이 다 다르니까 릴 수가 고 그냥 집으로 가지고 오는 거예요.

그래도 저는 운이 좋았던 사람이에요. 당시에 남편이 돈을 잘 벌어서 그림 그리는 데 쓸 수 있을 만한 충분한 돈을 줬어요. 그동안 저도 최선을 다해 살아왔거든요. 시어머니가 돌아가실 때까지 모셨고, 사치라는 건 조금도 모르고  살았으니까 남편도 그걸 알죠. 제가 그림 그린다니까 '누가 말려?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거지' 이렇게 된 거죠.


루씨: 윤석남 작품의 특징을 하나 꼽으라면 남른 스케일이 아닐까요.

 <빛의 파종>이라는 설치작품에서는 무려 999개의 목상을 만들어 세우셨어요.

윤 : 그 작품은 어떻게 나왔냐면요. 제가 1996년에 제8회 이중섭 미술상을 받았어요. 그걸 받으면 1년 후에 전시를 해야 되는데, 그때 제 마음속에 '천 명의 여성들이 당당하게 서 있는 모습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런데 왜 천 명을 안 만들었냐 하면, 우리는 아직 완벽하지 못하니까요.  999에서 1,000까지 그 한 명 채우는 데 얼마나 걸릴지 모르니까요.

<빛의 파종-999>
<빛의 파종 -999>
<빛의 파종 -999> detail

루씨 : '1,000'이라는 숫자는 여자와 남자가 함께 당당한 인간으로 살 수 있는 세상을 말하는 거군요.

윤 : 맞아요. 우리 때만 해도 얼마나 차별을 받았는지 말도 못 해요. 저도 남동생 공부시키기 위해서 대학을 안 갔거든요. 하지만 그게 뭐 비애스러운 게 아니라 당당한 거였어요. 누군가를 위해서 자기를 희생하는 것을 당당하게 여기는 이 의식 자체가 얼마나 반여성적인 거예요. 근데 그게 몸에 박혔어요. 머리에서부터 발끝까지. 저는 그걸 벗어나려고 끝까지 그림을 하는 거예요. 자기를 표현하지 않으면 그걸 벗어날 수가 없어요.


(3부로 이어집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