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루씨 Nov 04. 2024

스스로를 돌볼 줄 알아야 세상을 품는다

윤석남 Interview 3.

<1025-사람과 사람없이> 2008.
<1025-사람과 사람없이> 2008.

루씨: 숫자로 된 또 다른 작품이 있죠. 이번에는 천 마리가 넘는 유기견 목상으로 완성된 <1,025-사람과 사람 없이>입니다. 무려 5년 동안 이 작품에만 매달리셨다고요.

윤 : 2004년엔가 동아일보사에서 개인전을 할 때였어요.

전시장에서 우연히 신문을 보는데, 이애신이라는 할머니가 1,025마리의 유기견을 보살피고 있다는 기사가 눈에 들어왔어요. 그걸 읽고서 바로 그분을 찾아갔죠. 그때 제가 거기 가서 그 유기견들을 보고 정말 인간에 대한 혐오가 걷잡을 수 없이 올라왔어요. 예쁘다고 키우다가도 필요 없으면 가차 없이 버리.... 그런데 또 그 버려진 생명을 거두고 키우는 것도 결국 사람인 거예요.

생각해 보세요. 이렇게 누군가가 버린 개를, 그것도 한두 마리도 아니고 천 마리가 넘는 개들을 보살피는 사람이 할아버지가 아니라 할머니잖아요. '이건 여성의 힘이야' 이런 느낌이 안 들었겠어요. 너무 감동했죠.


루씨 : 그러고 보니 '캣맘(cat mom)'은 있지만 '캣대디(cat daddy)'는 없네요.

생명을 거두는 일은 왜 항상 여성의 몫일까요, 여성의 유전자에 심어진 건가 하는 생각도 들어요.

윤 : 여성은 어쨌든 뱃속에서 아이를, 생명을 키우고 남자들은 그냥 씨만 보내잖아요.

그래서 본능적으로 생명에 대한 어떤 경외감 같은 게 생기는 게 아닐까 싶어요.

그렇다고 너무 그걸 강조할 필요는 없어요. 그래서 여자들을 희생시키잖아요. 그건 또 싫어.


루씨 : 사실 초기에 어머니를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하셨을 때 당시 언론에서는 '어려움 속에서도 자식을 키워낸 모성의 위대함' 이런 시각으로 많이 보도되었어요.

윤 : 그렇게만 얘기하면 정말 너무 속상하죠.


루씨 : 요즘 여성들은 그런 모성을 결코 원치 않죠. 무엇보다 모성을 강요하는 사회 분위기 여성이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데 큰 걸림돌이기도 하고요.

윤 : 당연하죠. 그런 공정하지 못한 모성을 말하는 게 아니라, 인간이 이 세상에 태어났으면 어쨌든 사랑이라는 게 몸에 배어 있어요. 저는 살아가면서 그 사랑을 구현하는 게 여성의 몸이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 자기가 하고 싶은 걸 버리지는 않았으면 좋겠어. 자기의 삶도 자식을 사랑하는 것만큼 보듬고 사랑해야죠.

다른 사람을 돌보느라 내 삶을 전부 희생하는 건 정말 아니라고 봐요.  

내 자식만 사랑하는 모성이 아니에요. 그건 이기주의고 가족주의죠.

그걸 확장해야 돼요. 사회를 사랑하고 타인을 사랑할 수 있는 크고 넓은 마음이 바로 모성이거든요.



루씨 : 지금 작업 중인 초상화의 주인공들이 바로 그런 분들이시죠.

윤 : 이 초상화 시리즈는 몇 년 전에 국립박물관에서 윤두서 초상화를 보고 충격을 받아 시작하게 됐어요.  눈빛이 마치 살아서 저한테 뭐라고 말하는 것 같더라고요. 

그런데 지금까지 남아있는 수많은 초상화 중에 여성을 그린 건 단 두 점 밖에 없더라고요.

그때 제가 여성들의 초상화를 그려야겠다 생각했어요. 자료는 뭐 너무 부족하죠. 그래도 사진 한 장이라도 있으면 그걸 붙들고 공부하고 상상하고 해서 그려요. 지금까지 한 구십 명 정도 했어요. 백 명이 목표인데 될지 안 될지는 모르지요.


루씨: 초상화 속의 여성들의 눈빛이 강렬해서 놀라고 그림의 크기에 한번 더 놀라게 됩니다. 정말 압도적인 존재감이에요.

윤 : 전 저게 큰지 아닌지도 몰랐어요. 그냥  제일 큰 종이가 저거더라고요. 저보다 더 큰 거 있었으면 더 크게 했을 거예요.


루씨: 자화상 작업도 여러 점 하셨죠? 보면서 작가의 영혼이 느껴졌습니다.

윤 : 자화상을 그리기 시작한 게 거의 이십몇 년 전이죠.

처음에 시작한 건 뭐 굉장한 자화상을 하겠다고 시작한 게 아니라 모델이 없었으니까 그냥 거울보고 나를 그릴 수밖에 없었던 거예요. 내 얼굴 그리면서 인간의 골격이나 이런 구조를 공부하는 거였죠.

거울 보고 그리다 보니까 작품 속에 눈들이 다 이렇게 노려보고 있어요. 그래서 다 사나워 보여요. (웃음)


<자화상 Self Portrait> 좌 : 2016 / 우 : 2018  (한지 위에 분채)  
<자화상> 2018
<자화상> 2018
<자화상> 2017

: 이제 마지막 질문입니다.

 젊은 시절, 막 그림 시작하려고 했던 윤석남에게,  86세 윤석남이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윤 : 나는 항상 '그래, 너 정말 그때 미술을 시작하겠다고 마음먹었던 거 대단해. 고마워' 이런 생각을 하죠. 그리고 그 시절 윤석남을 안 잊어버리죠. 절망하지 않고 계속해 왔다는 점에서, 또 마음먹을 걸 제대로 잘해 왔다는 의미에서 저한테 상을 주고 싶어요.

'그래 너 정말, 참 대단하다'

이렇게 스스로 자기한테 칭찬을 해주고 싶어.


루씨 : 마흔 살의 윤석남이 마음속에 품었던 '내가 왜 태어났는지 알고 싶어'라는 질문에 누구보다 자신 있게 대답하시게 되었고요.

윤 : 사실 사람이 태어난 이유라는 건 없어요. 자기가 그 이유를 발하는 것뿐이죠. 난 누구든지 그 이유를 발명을 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무슨 큰 일을 하자는 게 아니에요. 어떤 사람이 정말 바느질을 좋아하고 이 세상에 태어나서 바느질을 할 수 있어서 너무 행복해한다면 이게 바로 그 사람이 태어난 이유인 거죠. 부엌에서 식구들을 위해 일을 하든, 직장에서 일하든 그 일을 할 때 자신이 정말 행복하면 거기에 최선을 다하면 되는 거예요.

<우리는 모계 가족> 2018

빨간색과 검은색 크레파스를 섞어서 자주색 스웨터를 그렸을 때 짜릿함을 느꼈던 어린 윤석남은 바로 그 순간 자신이 태어난 이유를 선명하게 직감을 것이다. 그날을 한순간도 잊지 않고 살아왔던 그는, 사실 이미 오래전에 되어야 할 자신에 이른 놀라운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보다 더 놀라운 것은 그가 지금도 맹렬하게 자신이 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아흔을 앞둔 나이에도 더 오래도록 그림을 그리고 싶어 매일 걸으며 체력을 키우는 이 사랑을 누가 막을 수 있을까. 이 사랑 속에 부지런히 태어나는 그의 작품을 어찌 경이로운 마음으로 기다리지 않을 수 있을까.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행복한 만남이었다.


<끝>

긴 인터뷰에 응해주신 윤석남 선생님과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합니다.

(본문에 인용한 작품 사진의 출처는 윤석남 홈페이지 (YUNSUKNAM.COM)입니다.)


인터뷰 : 루씨 / 포토그래퍼 : 여정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