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염소 Mar 29. 2024

투부정사 명사 편 2

염소의 영어공부 이야기 55

투부정사 공부하기 - 명사 편 2


우리 to do가 명사로 쓰이는 조건 중 주어자리에 쓰이는 내용을 배웠다.

다시 돌아가서 명사가 들어가는 문장성분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주어 외에도 목적어와 보어가 있다. 이번에는 목적어 자리에 들어가는 to do를 배워보도록 하자.


일단 목적어가 들어가는 문장을 생각해 보면, 3 형식과 4 형식, 5 형식 이렇게 있다.

그럼 3,4,5 형식 모두 to do를 목적어 자리에 쓸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먼저 3 형식부터 배워보자면, 주어 동사 목적어 순으로 문장을 만들어야 하는데,

우리 이때 어렸을 때 배웠던 이런 걸 생각해 볼 수 있다.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받는 동사..!

예를 들면, like, love, plan, hope, want, ask, mean, wish 등이다.

과거에 외웠던 방법은, like to do, love to do, plan to do, want to do 이런 식으로 뒤에 to do를 붙여서 입으로 외웠다. (애들한테도 이렇게 가르쳤던 기억이..)


그렇다고 이걸 다 외워야 하나? 그건 또 아니다.

이유는 영어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계속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받는 문장을 수도 없이 볼 것이기 때문이다. 일단은 가볍게 외우고는 있고, 마음속에 두는 게 맞지만 이걸 다 못 외웠다고 자책할 필요는 전혀 없고, 못 한다고 느낄 필요 전혀 없다.


계속 문장을 만나고, 눈으로 읽고, 쓰고, 보고, 말하고 하다 보면 어떤 동사에는 자연스럽게 뒤에 to 부정사를 붙이는 때가 올 것이다.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은가???


그럼 이제 5 형식에서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쓰는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단 5 형식은 목적어 뒤에 보어가 오는데 보어에 to부정사를 써서 목적어를 보충설명 해주면 된다.


해석하는 것으로 좀 더 짐작을 해보자면,

누가(주어)가 누구에게(목적어) 무엇하는 것을(보어) 시키다(동사) 이런데,

즉, 보어는 주어에 대한 목적어라기보다는 목적어에게 무엇을 하게 만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 목적어 뒤에 자연스럽게 to 부정사를 붙이면 끝나는 일이다.

근데 이것도 목적어 앞의 동사에 따라 사물 목적어를 to부정사로 쓸 수 있다.

(동사에 따라 뒤에 보어에 to 부정사(5 형식)를, 목적어에 to부정사(3 형식)를 붙일 수 있다는 말이다.)


보어 자리에 to부정사를 이끄는 동사에 대해서 나열해 보자면,

want, teach, ask, encourage, force, cause, enable, tell, allow 등이 있다.


You want me to tidy up the room.

I asked her to study more.


근데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든다, 만약에 ~을 하지 말라는 것이라면?

당신은 내가 방청소를 하지 말걸 원한다.

to 부정사에도 부정의 의미가 들어갈 수 있는데, 이때는 그냥 to 앞에 not을 붙이면 된다.

You want me not to tidy up the room.

I asked her not to study more.



작가의 이전글 투부정사 공부하기 - 명사 편 보충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