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소하고 사사로운 Apr 15. 2023

엄마가 처음으로 엄마를 위해 돈을 썼단다

부쩍 엄마의 건강이 좋지 않다. 걱정이 되어 매일 출근길에 엄마에게 전화하는 게 루틴이 되었다.


"엄마 아침은 먹었어? 몸은 괜찮아?"


어제는 몸이 좀 괜찮아서 산책을 다녀왔다고 한다. 그리고 본죽에서 김치낙지죽을 사먹은 이야기를 해줬다. 산책 갔다가 오는 길에 본죽이 생겼는데, 맛있어 보여서 먹을 지 말지 3일 동안 고민을 했다고. 어제는 드디어 들어가서 사먹었는데, 너무 맛있었다고 했다. 무엇보다 엄마가 처음으로 스스로를 위한 소비를 한 것 같아 좋고 뿌듯했다고 한다.


"엄마, 김치낙지죽이 얼마였길래?"


김치낙지죽은 만 천원이었다. 11만원도 아니고 110만원도 아니고, 만 천원. 내가 매일 점심을 먹을 때, 조금 맛있는 걸 먹는다 싶으면 나오는 금액 정도. 소녀 같이 기뻐하는 엄마가 귀여우면서도, 마음 한 켠이 몽글몽글해졌다. 엄마에게는 김치낙지죽을 하나 사 먹는 것도 몇 번 씩이나 고민해야 할 말큼 사치처럼 여겨졌을까.



'엄마는 엄마 스스로를 위해서 무엇을 사보거나 해본 일이 얼마나 될까'

내가 기억하는 엄마는 늘 일을 하고 있었다. 아이를 키우면서 할 수 있는 일은 안 해본 일이 없다. 비닐커버 만드는 공장, 마늘까기, 밤까기, 아기돌보기, 마트캐쉬어, 식당, 물류센터 직원 등등. 주 5일이 당연하고, 주3,4일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하는 시대지만 2년 전까지는 일요일 말고는 쉬는 날이 없었고 공휴일에도 일을 나갔다. 언젠가 동사무소에서 등본을 떼러 갔을 때, 지문이 다 닳아버린 바람에 처리도 못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랬던 엄마가 나를 낳기 전에는 은행원이었다는 이야기를 서른 살이 한참 넘고 가족들과 밥을 먹다가 들었다. 최근까지도 여름에는 에어컨도 없는 물류창고에서 일을 해야 했던 엄마였다. 그 이야기를 듣고, 늘 아들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라고 했던 엄마에게 '엄마는 하고 싶은 일은 있냐고, 엄마는 하나도 못했잖아'라고 울었던 기억이 난다. 엄마는 아들이 있어서 괜찮다고, 그래도 아들은 하고 싶은 일 하면서 살면 된다고 했다. 


엄마가 그 시간을 살아오면서 유일하게 하고 싶었던 일이란 혹시,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살아가는 아들을 길러내는 일이었을까.


하고 싶은 일을 다 하며 살수는 없었던 엄마 때문인지, '너는 그래도 하고 싶은 일을 선택하면서 살아서 부러워'라는 이야기를 듣기도 하며 살았다. 나를 키워왔던 엄마의 삶은 어땠을까, 엄마는 매일매일 어떤 생각을 하며 하루를 보냈을까.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아야 한다고 믿고, 그게 아니면 불행한 삶일지도 모른다고 배우며 자라온 나로서는 헤아릴 엄두가 나지 않는다. 곧 태어나는 아들을 키우다보면 나도 그런 엄마의 마음을 조금은 헤아릴 수 있으려나.


자라오면서 이런 엄마를 위해 더 훌륭하고 좋은 아들이 되고 싶었다. 용돈도 더 팍팍 주고, 여행도 자주 가고 싶었는데 점점 더 마음처럼 쉽지가 않다. 그런 마음을 이야기하면, 엄마는 또 아들이나 하고 싶은 거 하고 맛있는 거 먹으란다.


아빠는 엄마가 나와 통화하는 시간을 가장 좋다한다고 했다. 매일 바쁘다는 핑계로 며칠 씩 넘어갈 때도 있지만, 적어도 매일 한 번은 엄마에게 전화를 해야지. 앞으로는 엄마가 엄마를 위해서도 더 잘 살 수 있도록 내가 늘 잔소리라도 해줘야지.


매거진의 이전글 우리 가족의 첫 자동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