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를 통해 미디어 포스트 프로덕션의 새로운 시대가 열였다.
오징어 게임이 글로벌로 화제다.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콘텐츠인 오징어 게임은
한국에서 제작한 작품이지만, 전 세계의 1억 4천2백만 가구에서 시청을 했다고 하니,
2억 1천3백5십만의 유료 구독자(실제 사용자들은 2배 이상 될 것으로 예상된다)를 가진
플랫폼에서 거둔 성과로는 넷플릭스 사상 론칭 한 달 만에 40% 가까운 넷플릭스
사용자들이 시청한 첫 번째 콘텐츠가 아닐까 싶다.
콘텐츠 자체로의 여러 가지 성공요인이 있겠지만, 현지화를 빼놓고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오징어 게임의 경우 13개국의 언어로 더빙되었을 뿐만 아니라, 31개국의 언어로
자막이 제작이 되어 넷플릭스의 글로벌 시청자들은 이 콘텐츠가 한국 콘텐츠인지
인지하지 않아도 쉽게 시청할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넷플릭스를 통해 OTT시대가 열리면서, 미디어 포스트 프로덕션(미디어 후반 작업)의
개념은 바뀌고 있다. 기존 후반 작업은 방송의 맛을 살리기 위해 첨가하는 작업이었다고
하면, OTT 시대의 후반 작업은 글로벌 시청자들에게 잘 전달하기 위한 현지화
부분(자막, 더빙, 음악, 영상 검수 등)이 추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넷플릭스도 최근
있었던 미디어 데이에서 시청자분들에게 최고의 콘텐츠를 선사하기 위해 포스트
프로덕션 부분을 파트너들과 함께 강화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꺼낸 바 있다.
최근 언론에서 오징어 게임이 넷플릭스에 가서 제작사 측면에서 오히려 큰 성공을 낼
기회를 놓쳤다는 이야기가 화제가 된 적이 있는데, 190개국에 2억 이상 되는 확보된
시청자가 있고, 그 시청자들을 위해 현지화 비용을 더빙, 자막 비용만 약 30억 원 이상
투입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넷플릭스의 초기 조건을 다른 플랫폼, 방송사가 부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좋은 콘텐츠에 후반 작업에 대한 투자는 글로벌 흥행 가능성이 생긴다. 좋은
콘텐츠만으로는 글로벌이라는 테마를 가져가기 어렵다는 이야기다. 이런 넷플릭스의
글로벌 영향력에 힘입어 미디어 후반 작업으로 글로벌 회사가 된 경우도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다. IYUNO SDI가 대표적인 케이스로 이현무 대표가 2002년에 창업을 한
IYUNO 전 세계 대표적인 현지화 업체로 최근 글로벌 1위 현지화 업체인 SDI를
인수함으로써 전 세계 1위 현지화 업체가 되었다. 34개국 67개의 오피스, 10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하며 1년 동안 60만 시간의 자막, 더빙만 9만 시간을 녹음을 한다고 한다.
글로벌 OTT시대가 오지 않았다면, IYUNO SDI와 같은 세계적인 회사는 나오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IYUNO SDI의 성장 배경에는 넷플릭스의 후반 작업에 대한 투자가
있었기에 가능했었을 것이라 본다. 2012년 유럽을 시작으로 지난 10년 동안 전
세계 190개국으로 서비스 국가를 확대한 넷플릭스는 초기에는 남들이 하지 않던 영어
자막을 제외한 타국어에 대한 투자를 하다가, 자막으로 시청하지 않는 일본, 스페인,
남미와 같은 국가를 위한 더빙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갔다.
넷플릭스가 운영하고 있고, 178개의 넷플릭스 더빙 풀필먼트 파트너가 사용하는 더빙
비딩 시스템인 그랜드 바자르(Grand Bazaar)만 보더라도 얼마나 더빙 콘텐츠에 그들이
진심인지를 알 수가 있다. 효과적인 보이스 탤런트를 가진 배우들과 경쟁력 있는 가격,
적절한 전달 일정, 그리고 수주 이력이 있어야 오리지널 콘텐츠 수주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인터내셔널 콘텐츠(미국 밖에서 제작된 콘텐츠)의 경우 더빙의 기회를 늘려,
시청자들이 좀 더 다양한 문화권의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보인다.
후반 작업은 해외의 시청자들이 인터내셔널 콘텐츠를 쉽게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럼 대한민국에서 제작되는 콘텐츠도 모든 기회를 얻을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모두 넷플릭스 오리지널이 될 수 없는 것도 이유가 되겠지만, 이미 제작되고 있는
콘텐츠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해외로 갈 수 없는 콘텐츠는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째는 당연히 콘텐츠 자체의
경쟁력이 없는 콘텐츠이다. 하지만,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한국의 콘텐츠 수준은
생각보다 높은 수준이다. 필자가 느끼기에는 모든 콘텐츠가 해외로 갈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두 번째 부분이 중요한데 후반 작업을 받을 수 있는 준비가 되지 않은 콘텐츠가
생각보다 많아 해외로의 수출의 기회가 열리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아카데미상 조연상을 수상해 큰 화제가 된 윤여정 배우의 50년 전 데뷔작이었던
화녀를 이야기해보자. 김기영 감독의 1971년 작인 화녀는 작품의 완성도 자체도 50년
전이라고 믿기지 않을 만큼 뛰어난 퀄리티를 자랑했다. 다만, 한 가지 문제점으로 해외
플랫폼과의 딜을 이루지 못할 위기에 처해있었다.
남아 있는 원본 필름의 상태는 나쁘지 않으나, 그 당시 프랑스 칸 국제 영화제에 출품을
하는 과정에서 프랑스 자막을 넣어야 했는데, 그 당시에는 자막을 넣기 위해선는
번인(필름을 태워서 세기는 것을 말함)이 되었어야 했다. 이번에 50년
만에 재개봉을 했을 때도, 프랑스어 자막이 있는 상태였었다. 앞서 이야기한 넷플릭스와
같은 미디어 플랫폼들의 포스트 프로덕션에서 이런 자막 제거는 포함되지 않는다. 클린
본이 없다면, 제작, 유통하는 회사에서 처리해야 하는 문제이다.
사실 이런 자막에 대한 이슈는 예전 영화에만 포함되지 않는다. 한국의 예능을 떠올려
보면 알 수 있지만, 콘텐츠에 새겨진 자막, 방송사 로고, 프로그램 로고는 글로벌로
가기에 도움이 되기보다는 블로커가 된다.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의 포스트 프로덕션을 만나기 위해서는 먼저 아래와 같은 2가지
항목을 확인해야 한다.
1. 음악 클린 (음악 큐시트, M&E 분리, 글로벌 음악 저작권 해결)
2. 영상 클린 (자막, 방송사 로고, 프로그램 인서트 등 해결)
음악의 경우 큐시트가 없어서, 어떤 이슈가 있을지 몰라 플랫폼에서 국내에서만
서비스를 한다던지, 큐시트는 있으나 M&E 분리가 안되어 있어 음악 저작권을 해결을
할 수 없어 그 부분이 통째로 삭제가 되거나 판매가 안 되는 경우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예능보다 드라마의 해외 판매가 많이 되는 이유 중에 하나가 이런 부분도 있다.
드라마의 경우는 OST를 이용해 대부분 자체 제작한 음악을 사용하는데 반해, 예능은
최근 트렌드에 민감한 시청자들을 위해 그 시대에 맞는 음악을 사용하다 보니 해외 유통
시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예능 자막의 경우, 이제는 한글 예능 자막 없이 콘텐츠를 본다는 것이 우리 또한
상상이 안되지만, 해외에 나갈 때는 영어 자막이 들어가는 위치여서 해외 시청자들의
시청 경험을 방해하는 요소이다. 그리고 한국 드라마의 경우에도 펜트하우스, 하이
클래스와 같이 드라마에서 영어의 빈도를 높이는 경우가 생겨나고 있어, 클린 본이
없다면 이런 부분이 플랫폼들의 콘텐츠 품질 테스트에 통과하지 못하는 케이스를 만들
수 있다.
뉴 아이디는 SK텔레콤과 이런 포스트 프로덕션 레디가 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AI Post Production 플랫폼을 공동으로 개발해 왔으며, 큐시트가 없거나,
영상 클린 본이 없는 경우에도 클린화를 시키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글로벌 플랫폼은 우리의 콘텐츠를 위한 투자를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좀 더 먼저
이런 투자를 진행한다면, 더 많은 플랫폼들과 더 나은 환경에서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수동적인 글로벌 패키징보다 한 발 먼저 투자한 글로벌 패키징이 한국 콘텐츠 사업의
미래를 밝게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며 글을 마친다.
이 글은 방송 트렌드 인사이트에 기고했던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