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글을 더 이상 구독하지 않고,
새 글 알림도 받아볼 수 없습니다.
이론적 배경
디지털 플랫폼에서 서비스가 매개되어 연결되는 현상을 디지털 노동(Digital labor)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플랫폼 노동(Platform Labor) 외에도 긱 워크(Gig worker), 온디맨드 노동(On-Demand Labor), 크라우드 워크(Crowd work), 온라인 노동(Online labor), 마이크로 워크(Micro work), 프로젝트 기반 노동자(Project-Based Worker) 등 여러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각 용어의 개념과 정의는 다양하다.
특히 미국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긱 이코노미(Gig economy)라는 용어로 주로 설명하고 있다(강금봉).
유럽연합(EU)은 중립적인 용어로 플랫폼 노동자(platform workers), 디지털 노동 플랫폼(digital labour platforms), 디지털 플랫폼 경제(digital platform economy)를 사용하고 있으며, 디지털 노동 플랫폼은 알고리즘을 통해 노동 서비스 거래가 조정되는 디지털 네트워크 방식으로 정의된다(European Commission, 2018).
출처: 한국은행(2019), Staffing Industry Analysts(2018), 저자 재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