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예린 Lily Mar 09. 2024

편지 쓰는 마음

지난 편지 아카이빙


‘길이 커다란 포장도로만 있는 건 아니니까, 협소하지만 소박한 시골길도 있는 거고 조금 돌아가지만 여유를 만끽할 수 있는 골목길도 있는 거고. 다들 그렇게 각자만의 길을 가는 거겠지.’


재작년 겨울에 친구에게 적은 편지의 일부이다. 적었던 편지는 건네기 전 사진으로 기록해 두는 편인데, 이런 말들은 남에게 건넸음에도 어느 날 스스로에게 돌아온다. 떠난 적 없던 말들이 타인의 마음에서 태어난 말 마냥 생소할 때 기록의 쓸모를 생각하게 된다. 나눠줬던 말을 되새기고 싶다는 마음으로 예전 편지를 뒤적여 봤다.



편지를 쓰는 마음은 고요하고 가벼운 포옹 같다. 문장을 적다 보면 관계를 물끄러미 바라보게 되고, 고마움은 편지에 고스란히 담긴다. 어느 책에서 표현되지 않은 마음은 무효라는 문장을 읽었는데, 그간 무효가 된 마음들이 퍽 아쉬웠다. 그 후 고마움만큼은 최대한 표현하려 노력하고 있다.


편지지 중에서도 엽서 특유의 물성을 좋아하는 편이다. 앞 면의 사진은 숙고하여 고르게 되고 뒷 면의 자그마한 여백도 진심을 골라 담백하게 전하기 좋다. 당장이라도 똑같은 말을 텍스트로 적어 메시지로 보낼 수도 있는 일이지만 꾹꾹 직접 눌러 적은 손편지는 의미도, 그 맛도 다르다.


지난 편지 속 문장들

항상 행복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그걸 찾아 나서자.
그런 생각을 했어. 형체 있는 물성이 지니는 생생함도 좋지만 형체 없이도 고스란히 남는 것들이 좋을 때가 많다는 생각. 이를테면 견고한 한 사람의 가치관이나 만져지지 않지만 느껴지는 상대의 마음 같은 것들.
앞으로도 각자의 자리에서, 온 마음을 다해 부단히 호흡하고 끈질기게 살아가자.


편지의 말들은 낱낱이 진심이라 서툴지만 어떤 문장들보다 미덥게 느껴진다. 앞으로도 꾸준히 전하는 사람으로 살고 싶다. 유려하지 않지만 소박한 마음을 쓰는 사람으로. 둥글게 매만진 글말을 네모난 편지지 위에 적는 사람으로 말이다.

금요일 연재
이전 01화 잡지의 물성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