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니스 Oct 27. 2022

엄마가 떠나간다 [2]

엎친데 덮친다 코로나 두 번째 확진

병원에서는 계속 호중구 수치를 얘기했다. 도무지 약을 써도 수치가 오르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구내염은 더 심해졌다. 아니 구강궤양이 되었다.

제발 입 좀 어떻게 해달라고 애원했지만 수치가 정상화되어야 입도 저절로 낫게 된다고 했다. 그저 가글로 소독할 수밖에 없었다.


엄마는 씹을 수 있는 게 없어 뉴케어로 식사를 대신했다. 뉴케어도 먹으면 입 안에 달라붙어 힘이 들지만 안 먹고는 살 수 없는 노릇이기에 억지로 힘을 내서 뉴케어를 먹었다. 할 수 있는 거라곤 그것뿐이었다. 내가 할 수 있는 말도 뉴케어 열심히 먹어라는 말 뿐이었다.


난 계획대로 서울로 향했고 퇴원해서 집에서 손주를 맞이할 줄 알았던 엄마는 아직도 병원이었다.

엄마는 면역 수치가 절대적으로 낮아서 보호자도 들어갈 수가 없었다. 간호 통합 병동이라고 해서 간호사가 간병까지 하는 곳에 입원을 했다. 볼 수도 없으니 정말 답답했다. 물티슈 빨대 등 엄마가 필요한 걸 챙겨서 병원에 갔다. 유리문으로라도 손주 보고 힘내라고.

그런데 간호사가 그것마저도 크게 제지했다. 엄마랑 같이 있던 병실에서 코로나 환자가 나와 지금 코로나 검사 중이라고 했다. 난 유리문 사이로 저 먼발치에서 간호사한테 저지당하고 있는 엄마의 뒷모습밖에 볼 수 없었다.

그게 엄마가 서 있던 마지막 모습 인 줄도 모르고.


코로나는 정말 사람을 지독하게 열받게 했다. 1월 3일 시윤이를 출산한 날 엄마가 코로나에 걸렸다고 이모한테 전해 들었다. 내가 걱정될까 온 가족이 나에게 비밀로 했나 보다. 엄마는 자가면역질환 지병이 있었기에 상급 병원으로 옮겨졌고 폐렴이 심각해져 병원에서 무려 한 달을 입원했다. 그때의 공포가 아직도 선명하다.


엄마는 역시나 또다시 코로나 확진을 받았다.

다행히 크게 코로나 증상이 나타나진 않았지만 코로나 병동으로 또다시 격리가 이어졌다.

도무지 나아지지도 않고 코로나만 얻은 상황에 할 말을 잃었다. 답답하고 심장이 아플 지경이었다. 그동안 엄마는 체중이 10킬로 이상 빠졌다. 게다가 혼자 격리돼있고 할 수 있는 거라곤 전화와 카톡뿐이었다.


그렇게 추석 연휴가 왔고 엄마는 이제 화장실에서 혼자 일어설 수도 없게 힘이 빠졌다. 병원에서도 이제 환자 상태가 나쁘니 보호자가 와야 한다고 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엄마가 떠나간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