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학습 격차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라온쌤 Jun 15. 2023

잘 하고 싶은 아이들

오늘도 성장하는 아이들


아이들은 항상 '잘하고 싶고' '칭찬받고 싶어' 한다.


어른들이라고 그러지 않겠냐마는 


아이들은 그들의 욕구가 투명하게 드러나 보이며


어른들이 자라나면서 수많은 경험을 통해  '내가 할 수 있는 것' '내가 잘 하는 것' '내가 어려워하는 것'의 대강의 분류가 되어 있는 것에 반해 


아이들은 많은 실패를 겪으면서 '나의 영역'을 세워가는 것에 익숙한 편이 아니다.


그런 아이들에게 학교는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것을 부딪히고 깨닫게 되는 첫 관문이지 않을까.


특히 초등 고학년쯤 보면 학업에서의 차이나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스스로의 상황에 대해 깨닫고 속상해하거나 스트레스 받는 아이들을 무척 많이 본다.


이 시기의 아이들이 '좌절'이나 '실패'라고 생각하는 본인들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어떤 상황을 만났을 때

행동하는 패턴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스스로에 대한 위축


내가 잘 하지 못한다는 것을 잘 받아들이지 못한다.


 의외의 결과에 스스로 먼저 위축된다.


'못해' '안 해'로 내가 잘 못하는  이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며 자신감 없는 태도를 보이지만


실은 스스로 못하는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받아들이지 못한다.



둘째, 본인의 욕심만큼 하려고 노력하기


몇 번의 실패 결과 부족한 부분을 깨닫고 노력하는 아이들이다.


이 아이들의 특징은 '내가 지금 부족한 부분'을 깨닫는 것이다.


노력이 부족했는지, 집중하는 것이 어려운지 등 본인의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노력하는 것이다.


당연하겠지만 이들은 금방 성장해 나간다.


두 행동의 패턴의 가장 큰 차이는 '부족한 부분'에 대한 '마주침'인 것 같다.


이것도 메타인지의 차이라고 할 수 있을까.



교사 입장에서 냉정히 이야기하자면


가끔 학부모님이 학습 결과에 대해 속상해하시고 이런 결과가 의외라고 이야기하지만


아이의 수업 태도를 비추어 봤을 때 이 정도도 잘 나온 거라는 생각이 든다.

학습은 비록 어떤 평가 하나 잘 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수업 속에서 


집중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함께 사고하는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인데


아이도 학부모님도 그 부분까지는 잘 알지 못하시기 때문이다.


아이의 성적이 노력한 만큼 나오지 않는다면 학교에서의 수업 태도를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한다.




오늘, 과학 시험을 본다고 예고가 되어 있었는데

반에서 몇 가지 해프닝이 일어났다.



시험 중 어려웠던 문제를 적어 다시 확인해 보고자 하는 아이의 행동이 다른 아이들에게는 커닝하는 것으로 비쳐 마음의 상처를 입은 일.


시험 중 잘 모르는 문제를 손으로 다른 친구에게 물어보고 답을 받은 일.


그리고 이 상황을 바라본 다른 아이들이 부정한 일이라고 생각한 일.


아이들이 가고 난 후 오늘 일어난 일을 누가 기록에 적고 학부모 상담을 진행하면서


마음 한편에 


아이들의 잘하고 싶은 마음이 생각보다 더 크구나.


아이들은 스스로 열심히 부딪히고 있고 성장하고 싶어 노력하는 중이구나.라는 생각과 함께


아이들이 민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씁쓸한 생각이 들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셋째가 태어났어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