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희자 Apr 30. 2024

행복한 삶은 상황에 달려 있지 않다.

          

우리 모두는 행복을 추구한다. 행복은 상태가 아니라 태도의 문제라고 하면 인정하겠는가? 요즘 많은 사람들이 본인이 원하는 상태에 놓여야 행복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이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행복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기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뛴다. 상대방을 속이거나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도 아무 거리낌 없이 한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을 많이 벌거나 명예와 권력을 손에 쥐면 행복할 것으로 생각한다. 나는 아직 이러한 상태에 놓여보지 못해서 나의 경험을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주위에는 이러한 사람들이 꽤 있다.     

자신들이 추구하는 상태에 놓였지만 이들은 그렇게 행복한 것 같지 않다. 돈이 많으면 좋다. 명예와 권력이 있으면 좋다. 나쁘다는 것이 아니다.

     

자신들이 행복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되면 행복을 누릴 수 있는 태도가 필요하다.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다. 부당한 방법으로 조건을 만든 사람들은 더 많은 것을 가져야 행복할 수 있다고 끊임없이 생각한다.     

행복을 진정으로 누리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상태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자신들이 지금 처한 상태에서 나름의 행복을 누릴 수 있는 태도를 취한다.     


돈이 부족하면 부족한 상태에서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명예와 권력이 없는 상태에서도 얼마든지 행복할 수 있다는 방식으로 사물을 보고 풀어가는 태도이다.     

그런데 요즘은 행복을 강요받는 사회이다. 학교 다닐 때는 공부를 열심히 해야 이다음에 행복할 수 있다고 협박 아닌 협박을 받는다. 

    

취업을 할 때는 좋은 직장에 들어가야 행복할 수 있다고 강요받는다. 자신의 취향이나 능력보다는 눈에 보이는 상태가 행복을 가져다준다고 한다.     

푸블릴리우스 사이러스는 "당신이 세상을 보는 방식이 세상을 만든다."라고 했다. 상황을 어떻게 보고, 어떠한 방식으로 풀어나가느냐에 따라 행복할 수도 있고, 불행할 수도 있다.    

 

우리가 열심히 사는 이유는 행복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이 행복이 있는 곳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지금 내가 서있는 이 자리에 있다.     

우리는 행복이 있다고 생각되는 곳을 향하여 전력투구한다. 막상 그곳에 도착해도 행복이 안 보이면 다시 더 높은 곳을 향해 달린다.     

작가의 이전글 행복도 스스로 찾아야 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