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오늘은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Henri Carier-Breasson)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찰나의 순간을 재미있게 포착했다는 사진작가로 알려진 브레송. 한 장의 사진만 보더라도 웬만큼 사진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아하!"라고 생각할 것..
위트 있는 사진들이 많지만, 사실 브레송은 보도사진사로 유명한 사람이라는 걸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보도사진? 그게 뭐야? 신문에 나오는 사진을 말하는 건가?
느낌적으로 말하면 그렇다.
하지만 진짜 사진사의 역사를 살펴보면, 보도사진의 의미는 신문에 나오는 사진으로 단순화시키기가 어렵다. 보도사진의 시초는 알프레드 스티글리츠에서 본다. 스티글리츠는 스트레이트 사진을 탄생시켰고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까지 스트레이트 사진은 객관적인 정보만을 전해준다고 해서 보도사진 이라고도 불렸다. '정직함'을 강조한 사진을 추구했으나, 비교해 봤을 때 그런 경향이 있다는 뜻이지 사실 "과연 정말로 있는 그대로를 포착하여 전시하는 정직한 사진인가?"라는 질문에선 선뜻 그렇다고 확신하기도 어렵다.
많은 사진사들이 좋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강조하는 것이 '타이밍'이다.
화면 속의 모든 요소가 완벽하게 자리 잡고 있을 때 셔터를 누르는 그 순간을 기다리는 것이 타이밍을 기다리는 것. 그것을 완벽하게 재현해 내는 사진작가 바로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Henri Carier-Breasson).
지저분한 장면도 아름답게 재현해 내는 능력을 가진 신의 눈을 가진 브레송의 작품 중 이 작품이 가장 유명하다고 알려져 있다. 남성이 발이 물에 닿기 직전의 순간을 담은 사진은 자세히 보면 하나하나 구성감이 예술적이면서도 고도의 계산된 형태로 나타난다.
멀리 보이는 도시와 공사장 현장은 분명 지저분할 텐데도 불구하고 회색빛으로 처리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흑백의 분위기에 뭍혀져서 눈에 띄지 않게 처리했다. 그리고 물 웅덩이에 반사되는 반원형, 점, 선의 모양들은 기하학적인 형태를 띤다.
기하학적인 완벽한 예술 사진으로 탄생할 수 있었던 브레송의 힘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브레송은 오랜 세월 동안 그러한 결정적 순간을 포착하여 훌륭한 예술 사진들을 역사적으로 남겨왔다. 그의 인생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사진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바라보는 브레통의 시선이 남달랐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는 미술을 전공했고 2차 세계대전 당시에 레지탕스 활동을 하다가 수용소에 몇 번 포로로 붙잡혔다가 탈출하기도 했던 범상치 않은 삶을 살았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매그넘(Magnum)이라는 유명한 사진통신사를 설립했고, 보도사진 작가로 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암살당한 간디의 장례식장을 촬영했고, 국민당 정권이 무너지던 중국을 사진에 담았으며 철의 장막 뒤에 숨겨진 소련 인민들의 삶을 취재했다. 그러니까 세계의 소용돌이 중심 속에 언제나 브레통이 있었던 것.
그러니 사진기자로서 그가 목도한 수많은 역사적인 장면들이 인간을 향한 이해와 시선으로 마주쳐 하나의 예술 사진으로 탄생된 것이라 설명할 수밖에 없다.
우리가 아는 브레통의 사진들은 초현실주의적인 사진들처럼 예기치 못한 장면을 보이는 듯, 비현실적인 것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브레통이 남긴 유명한 말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자신도 도대체 어떻게 결정적인 순간을 사진으로 포착한 건지 잘 모르겠고, 그저 그 과정은 본인에게도 수수께끼라 했다.
어떻게 하면 그런 기묘하고도 놀라운 타이밍을 사진 예술 속에 담아냈을까?
놀라운 순간의 장면을 담은 브레통의 직감적 본능처럼 우리의 인생에서도 사진의 셔터를 누르기 위해 기회를 기다리는 결정적인 순간은 일어난다. 다만 그렇게 준비하고 기다리는 사람에게 찾아온다는 사실.
타이밍을 잘 못 맞췄다면 다시금 그 타이밍을 찾아서 또 기다려야 한다. 다음의 셔터를 누르기 위해서 말이다.그렇게 준비의 시간과 순간의 시간들에 연속적으로 교차하며 우리는 삶을 살아간다.
어느 날, 나는 내일의 태양은 항상 떠오르고, 날마다 새로운 날들을 다가온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매일 똑같아보이지만 알게 모르게 우리 삶 주변에 나타나는 수많은 결정적 순간들을 알지 못한 채 내버리지만 않는다면, 우리의 삶은 인생의 타이밍을 잘 찾아다니는 시간들로 채워지지 않을까.
그 날 그 날 새롭게, 재미있게 때론 행복하게 채워지는 시간으로 말이다.
<참고자료: <<인생은 우연이 아닙니다>>. 김경훈작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