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덤보 Apr 29. 2022

옷장은 늘 자리가 없다

그런데 입을 것도 없어

세상엔 수많은 미스터리가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옷장이다. 옷장은 늘 자리가 없다. 기숙사의 작은 옷장에서 시작해 투룸에서 썼던 이단 행거, 오피스텔의 붙박이, 지금의 드레스룸까지. 예나 지금이나 공간에 비해 옷이 많다.


처음으로 온전한 나만의 옷장을 가져본 건 십 년 전, 스무 살이었다. 박스 몇 개를 들고 어리바리하게 기숙사 앞에 서 있는 나에게 룸메이트 언니가 참 다정하게 말 걸어준 기억이 있다. 그날 텅 빈 옷장에 몇 안 되는 옷가지를 집어넣으면서, 입을 게 없다는 것과 가족과 떨어져 살게 됐단 사실을 실감했다. (물론 그러고 얼마 안 있어 대학로를 누비며 쇼핑을 했고 옷장은 금세 가득 차게 되었다.)


나이를 먹어가며 옷장의 크기는 점점 더 커졌지만 여전히 부족했다. 다 큰 성인에게는 '이름은 하나인데 별명은 여러 개'보다 '몸통은 하나인데 셔츠는 20개'가 더 와닿는 말일 것 같다. 그래도 셔츠는 그나마 얇기 때문에 괜찮지만 부피가 큰 옷은 사기 전에 고민이 된다. 마음에 든 후드를 찾아서 열심히 상세페이지 스크롤을 내리다가 문득 한 가지 생각이 스치는 것이다.



'들어갈까..?'



특히 마음에 안 드는 건 롱 패딩. 겨울 필수템이라 쳐도 너무 크고 뚱뚱하다. 티셔츠 열 장이 들어갈 자리를 혼자 차지하다니 너무 욕심쟁이 아닌가?


옷 탓만 하기엔 미안하니 이번엔 가구 탓도 해본다. 비어 있을 땐 꽤 많이 들어갈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눈속임일 뿐. 실제로는 서랍 한 칸에 니트 5개만 넣어도 꽉 차서 왠지 모르게 억울해진다. 이쯤 되면 가구 세계에 어떤 음모가 있는 게 아닌가란 주장을 재기해본다.


결국 각기 다른 옷장 안에 욕망을 꽉꽉 채우며 살아온 것 같다. 사도 사도 입을 건 없었다. 싼 옷을 여러 벌 사도 비싼 옷을 큰맘 먹고 사도 그랬다. 영원할 것 같았던 만족감이 한 달이 지나니 거짓말처럼 사라지곤 했다. 채워지지 않는 무엇에 그리 갈증을 느끼며 충동구매를 일삼는지는 모르겠다. 그래도 갖고 싶던 옷으로 옷장을 채워나갔던 순간순간이 그때도 지금도 여전히 내게는 행복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계절의 일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