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토리 리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토리 Oct 02. 2023

무너져 내린 서울 드림(dream)과 영원한 이방인

영화 <믿을 수 있는 사람> 시사회 리뷰

이 글은 씨네랩 크리에이터로 초청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tㅇㅇㅇㅇ


'집 나오면 개고생'이라는 말이 있다. 문자 그대로 안락한 보금자리를 벗어나면 고생을 면치 못한다는 소리다. 잠깐의 외출도 그럴진대 평생을 지내오던 고향을 떠났을 때는 오죽할까. 고향을 떠나 새로운 터전에서 삶을 꾸려나가기 시작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그토록 고향을 그리게 되는 것에는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법이다.


타향살이는 본질적으로 사람을 고독하게 만든다. 새로운 환경에서 뿌리 내린다는 것은 단순히 어떤 개인이 물리적으로 그곳으로 이동한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이미 존재해 온 사람들과 그들이 꾸려나간 사회에 적응하고 받아들여지는 것을 뜻하는데, 그것은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이주민은 숱한 '문화 충격'을 감내해야 하며, 대개 '박힌 돌들'은 '굴러들어온 돌'들에게 그리 살갑지 못한 경우가 많으므로 '굴러 들어온 돌'인 스스로를 어떻게든 '박힌 돌' 중 하나로 신분 상승 시키기 위해 수 없이 스스로에게 정을 내리쳐야만 한다. 그것이 이주민이 감내해야만하는 외롭고도 고된 통과의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과의례는 타향살이를 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뼈아픈 과정 중 하나일 것이다. 필자만 하더라도 20대 중후반에 지방에서 서울로 상경해 '서울살이'를 해 왔는지라 이런 이야기가 남일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국내에서의 이주도 이럴진대, 하물며 국경 너머로 이주한 사람들의 사정은 어떨까? 그것도 고향으로 돌아갈 기약조차 없는사람들의 이야기라면?


자, 여기, 20대 탈북민 한영의 이야기가 있다.


1. 20대 탈북민 한영의 실패한 서울 드림

동생과 함께 북한을 떠나 온 한영은 어떻게든 서울에 안착해서 살아가고 싶은 20대 청년이다. 더 나은 삶을 위해 국경 너머로 온 그는 가족과 함께 남한땅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싶다. 뼈 빠지게 공부해 관광 안내사 자격증도 따고, 어찌저찌 취직도 했다. 이제 꿈 같은 '서울라이프'가 그를 기다리고 있을 것만 같다. 그러나 친구 왈, 한국은 '인맥빨'이라고 했던가. 이렇다 할 인맥 하나 없는 한영에게 현실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다. '제 밥그릇을 빼앗을지도 모를' 낯선 이에게 살갑게 구는 이는 흔치 않으며 설령 그런 척을 한다고 한들 그를 온전히 '내 사람'으로 받아들일 사람은 더더욱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영은 더욱 고군분투한다. 불합리와 부조리를 받아들이는 굴복과 순응, 포기의 과정을 숱하게 견뎌내면서.

한영의 숱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러 해의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이방인이다. 말씨와 행동거지를 남한 사람처럼 바꾼다고 한들 그의 등 뒤에는 '탈북민'이라는 꼬리표가 언제나 뒤따른다. 국적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는데 어쩐지 받는 취급은 이도저도 아니다. 면접처에서는 '탈북민을 함부로 믿기는 좀 그렇다'는 말이 되돌아오고, 혹시라도 문제라도 일으켰다치면 '이래서 탈북민들을 고용하면 안 된다'는 폭언이 쏟아진다. 이 삭막하고 박터지는 서울 땅에서 한영과 같은 처지의 사람들은 영원한 2등 시민 자리를 면치 못한다.

그리하여 한영의 '서울살이'는 더욱 고달파진다. 더 나은 삶을 위해 떠나 온 남한 땅은 외롭고 고되다. 돈은 좀 벌지언정 그의 곁에는 함께해 줄 이가 드물다. 어머니는 휴전선 너머에 있고 비슷한 처지로 방황하던 동생은 연락두절, 아끼던 친구마저 멀리 떠나버린 그때, 한영은 온전히 고독해진다. 만리타향 서울 땅, 아는 이 하나 없어졌을 때 그는 더는 타향살이를 할 자신이 없어진다. 그곳에서 그는 없는 사람이나 다름 없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그는 사라진다. 익명의 사람들 사이로.


2. 서울을 살아가는 어느 소수자들의 삶

서울의 삶은 바쁘고 화려하다. 미국에서는 로스앤젤러스가 '라라랜드'였다면 한국에서는 서울이 그런 역할을 하는 셈이다. 잘만 하면 그럴싸한 성공을 거두고 그럴싸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들 하던데-... 글쎄, 정말로 그런 깔끔하고 보기 좋은 삶을 사는 사람도 물론 있겠지만 서울에 그런 사람들'만'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 실상은, 극 중 한영이나 정미, 리샤오와 같은 이주/이민자, 혹은 실적에 따라 수입이 고무줄처럼 늘었다 줄었다 하는 관광안내사인 청아의 사례처럼 그렇지 않은 삶들이 더 많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대체로 후자의 삶을 사는 사람들은 좀처럼 눈에 띄지 않는다. 눈부신 서울의 광채의 이면에서 고군분투하며 살아가느라 이렇다할 존재감을 뽐낼 겨를이 없기 때문이다. 혹은 그럴 기회가 주어지지조차 않았기 때문일지도 모르고. 사유야 어찌되었든 간에, 분명한 것은 이러한 삶들은 좀처럼 조명되지 않고 지나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이다.


20대 여성 탈북민인 한영은 이러한 소수자들의 삶을 대표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기존 사회에 어떻게든 발을 디디고자 하는 젊은 사회 초년생이자, 낯선 타지 생활에 적응해야만 하는 이주민이고, 그와 동시에 이 가부장적인 대한민국 땅에서 상대적 약자로 살아가는 여성이기도 하다. 그런 그의 '실패한 서울 적응기'는 어쩐지 남 일 같지 않다. 그는 어떤 면에서든지 간에 관객 중 누군가와 닮아있을 것이므로. 이것이 이 영화가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을 조명하는 방식이 아닐까 한다. 영화는 그의 삶을 보여줌으로써 한국 사회가 미처 간과한 어느 삶의 존재성을 밝히고, 그러한 삶에 대한 건조한 위로를 건넨다. '이런 삶도 여기에 있다'는 것을 밝혀내는 방식으로.


매거진의 이전글 [SICFF 데일리] 잊지 못할 어느 나바호의 여름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