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버스 러버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느티 Jun 20. 2020

고향 생각

출근버스에서 눈을 감고 있자면, 눈을 떴을 때 다른 곳에 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할 때가 있다.
이변이 없는 한 앞으로의 삶에서 매일 아침 8시 30분까지 와 있기로 약속한 그 건물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말이다.
갈매기들이 끼룩대는 부산이나 고즈넉한 군산 또는 파릇한 춘천.
이를 테면 여기서 300km는 족히 떨어진 고향 집이라던가.

지하철을 탈 때는 그런 상상을 하지 않았는데 버스에서는 이런 상상이 떠오르곤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핸들을 쥔 기사님이 있고, 승객들이 다 함께 정면을 바라보는 좌석 배치와 구조가 꼭 어릴 적 부모님의 승용차와 비슷한 모양이어서일까.

부모님께서는 주말이면 꼭 하루는 남동생과 나를 태우고 어디론가 드라이브를 가서 바다든, 영화든 보고 오려고 하셨다.

“아, 휴대폰 게임해야 하는데!”
“가기 귀찮은데... 친구 만나러 가려고 했는데.”
“지난주에도 바다 봤잖아! 왜 또 가?”

남동생과 나는 커가면서 주말의 드라이브에 대해 투정을 부리기도 했지만,

지금의 나는 그 무수한 테이크 샷이 결국엔 눈 감아도 그려지는 고향의 모습을 안겨주었다고 생각한다.  

타향살이, 어른살이 중인 이들에게는 고향, 부모님, 어린 시절이라는 단어가 주는 울림이 남다르게 다가올 수 있다.

특히나 지쳐 있을 때면, 그 울림은 콘서트장 1열에서 듣는 대형 스피커의 둥둥거림처럼 세게 우리의 가슴을 강타한다.

그러나 어쩌나, 이곳에서 고향까지의 거리가 버스 4시간이 걸리는 나의 경우에는 단어의 실체를 확인하러 가기까지가 쉽지 않다.

힘이 들 때마다 매번 내려갈 수도 없고, 현실적인 시간 여유가 없을 때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가 꾸려온 삶의 모습에 지친 느낌이 들 때면, 버스에서 조용히 눈을 감는다.
그리곤 버스에 타는 동안은 버스 기사님께 내 인생의 핸들을 잠시 맡겨놓는다.

핸들을 꽉 붙잡고 있던 두 손을 내려놓고는 창밖의 풍경을 하염없이 관찰하는 데 열중이던 어린 때로 돌아가 보는 것이다.


바퀴가 도로를 치닫고 돌아가고, 차체는 나와 우리를 싣고 달려간다.
주말이 되면 어린 나와 남동생, 어머니를 태우고 근교로 운전해가던 아버지의 자동차와 같이.



매거진의 이전글 버스 공공 와이파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