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rayden Nov 20. 2024

한국 사회 소비문화의 문제점

끝없는 욕망의 굴레: 현대 소비문화의 덫



힘든 노동의 대가로 받은 돈.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여가 시간과 에너지 부족으로 인해 쉽게 소비할 수 있는 방식을 선택한다. 외식, 배달 음식, 온라인 쇼핑, 콘텐츠 시청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소비 패턴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건강 문제다. 외식과 배달 음식은 종종 영양 불균형을 초래하며, 과도한 나트륨, 지방, 당분 섭취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환경 문제다. 일회용 용기와 포장재의 과다 사용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한다. 셋째, 시간의 주도권을 잃는 것이다. 유튜브를 시청할 때 우리는 돈을 지불하지 않는 것처럼 느끼지만, 광고를 보면서 우리의 집중력과 시간을 빼앗기고 있다. 또한 쇼츠와 릴스의 중독성으로 인해 끊임없이 스크롤하게 되는 자극적인 콘텐츠들은 우리의 소중한 시간을 빼앗아 간다. 시간은 곧 금이기에 시간을 빼앗기는 것도 보이지 않는 지출인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소비가 단순히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을 넘어 과시적 소비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한국 사회의 관계주의 문화와 맞물려, 남들보다 뒤처지지 않으려는 심리가 작용한다. 명품 가방, 최신 스마트폰, 고급 자동차 등 겉으로 드러나는 소비재에 대한 욕구가 커진다. 올해 7월 영국의 FINANCIAL TIMES에는 ‘A Moncler winter jacket has become like a school uniform’: children’s luxury booms in South Korea라는 제목의 칼럼이 실렸다. 언제부터 우리는 몽클레어 패딩이 없으면 뒤처지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었을까?


이는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이론과도 연관이 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는 자신의 유전자를 보존하고 전파하려는 본능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이는 사회적 지위와 능력을 과시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고가의 사치품을 소비함으로써 자신의 '우월성'을 드러내려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소비 행태가 과연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 줄지는 의문이다. 다수의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물질적 소비가 주는 만족감은 매우 일시적이다. 소비할 때 우리 뇌에서 분비되는 '도파민'은 일시적이며, 더 강한 자극을 추구하게끔 한다. 새로운 물건을 구매할 때의 즐거움은 곧 사라지고, 더 새롭고 더 비싼 것을 원하게 된다. 이는 끝없는 욕망의 굴레에 빠지게 만든다.


더구나 이런 소비문화는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과 맞물려 더욱 강화된다. 기업들은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해 때로 소비자의 불안과 열등감을 자극하는 마케팅을 펼친다. "이 제품을 사지 않으면 뒤처질 것이다", "이것만 있으면 당신의 인생이 달라질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전달한다.


산업화 이후 제품들이 빠르고 대량 생산 가능해지면서 소비자의 니즈에 맞게 제품이 다양해지고 가격이 저렴해진 것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과도한 이윤 추구를 위한 지나친 마케팅 행위는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우리는 이제 이런 기업들의 속셈을 알고, 과시적이고 과도한 소비문화에서 벗어나 진정한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물질적 소비가 아닌 경험과 관계에서 오는 행복을 찾아야 한다.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목요일 연재
이전 01화 현대 사회의 노동의 의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