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ODAY Aug 16. 2023

Maze로 UT 진행하기 [제작편]

Maze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해보자!

사용성이란 어떤 도구나 인간이 만든 물건, 서비스를 어떤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때에 사용하기 쉬운 정도를 말합니다. 그리고 사용하기 쉬운 정도를 테스트하는 실험을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이하 UT)라 부릅니다. UT는 제품의 와이어프레임 단계 뿐만 아니라 Hi-fi 프로토타입 또는 개발 완료 후 등 제작 프로세스 여러 구간에서 여러 형태로 시행 할 수 있고 실제 현업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보편적인 사용성 테스트는 진행자와 참가자가 마주하고 실험의 과정을 관찰하며 기록하는 형태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상황에 따라 온라인, 비대면 등 다른 방식으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최근 코로나 시대를 지나며 온라인, 비대면 실험의 비중이 높아졌고 실험 참가자들은 편하게 참여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온라인, 비대면 실험이 과거에 비해 많이 수행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Maze는 앞서 말한 온라인, 비대면 실험을 쉽게 진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 UT 플랫폼입니다. Maze 사이트에 접속하여 Figma, Sketch, Adobe XD에서 제작한 프로토타입을 연결하면 간단하게 실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빠르게 UT를 실행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Maze는 굉장히 매력적인 서비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첫번째 단계로 Maze를 이용하여 UT를 만드는 것을 단계별로 따라가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서술해 보겠습니다.




1. 실험 계획 수립과 프로토타입 준비


Maze에 진입하여 UT 제작을 시작하기 전에 이미 UT를 통해 확인하고 싶은 문제 정의와 실험 진행 방식에 대한 계획 수립이 완료된 상태여야 합니다. 또한, 프로토타입도 완성되어 있어야겠죠. 


제품의 주요 User flow를 따라가며 전체적인 제품의 사용성 검증을 진행할 수도 있고, 제품의 특정 부분의 경험을 중점적으로 실험해 볼 수도 있습니다. 실험에 투입할 수 있는 리소스를 고려하여 실험 길이를 조정하여야 합니다. 실험으로 검증하고 싶은 문제를 먼저 고민하고 그에 필요한 리소스를 마련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가장 좋지만, 스타트업이나 소규모 팀에서는 항상 리소스가 부족하기 마련입니다. 이런 경우 우리가 가용할 수 있는 리소스를 먼저 생각하고 이에 맞는 실험을 계획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향입니다. 


실험 계획을 수립하였다면, 실험을 진행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야 합니다. Maze는 Figma, Adobe XD, invision, Sketch, Marvel, Axure를 지원하며, 최근 업데이트로 Live Website Test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회사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Figma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고, 검증하고자 하는 문제에 따라 짧게 자른 5~6개 정도의 프로토타입을 준비하였습니다.




2. UT 제작


Maze에 로그인하면 Home dashboard에 진입하게 됩니다. Dashboard에서는 나의 Project 리스트와 각 Project에 속해있는 실험인 Maze들로 구분됩니다. 쉽게 표현하면 Project는 폴더, Maze는 개별 파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Create new maze 버튼을 누르면 Maze Templates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 미리 제작된 많은 Test template들이 존재하지만, 오늘은 UT를 중점으로 설명하기 위해 Usability testing 탭에서 Usability testing a new product Template를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Usability testing a new product template는 기본 질문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UT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물어보는 제품 경험 여부, 제품 사용 빈도, Task 수행, Task 수행 시 느꼈던 생각 묻기, 전체적인 피드백 묻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Use this template를 누르면 Maze를 생성합니다.


Maze의 세부 항목입니다. 좌측 블록을 선택하여 그 질문의 세부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만약 질문이 마음에 든다면 그대로 사용해도 좋지만, 우리의 실험 설계에 맞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Template에 생성되어있던 Yes/No 질문을 변경해보겠습니다. 필수 응답 질문 토글은 그대로 둔 채로 Question과 Add note 그리고 Image와 버튼 Type을 변경하여 실험 계획에 적합한 형태로 변경하였습니다.


다음은 Prototype test입니다. 실험참가자가 수행할 Task를 작성하고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을 추가합니다. Prototype 항목에 +Add Prototype을 누르면 Prototype 링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뜹니다. 프로토타입을 제작한 플랫폼에서 프로토타입 공유 링크를 복사 붙여넣기 한 후 Import 버튼을 누르면 프로토타입이 연결됩니다. 프로토타입이 연결되고 나면 우측 Preview에 연결된 프로토타입이 표시됩니다. 여기서 실험 설계 단계에서 준비한 Main user flow 순서대로 Preview에 나온 프로토타입의 부분들을 클릭하면 Maze에 순서가 기록됩니다. 이후 실험이 진행될 때 실험참가자가 이 순서대로 프로로타입을 사용하는지 확인 할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Prototype을 연결하는 단계에서 Add path나 Enable interaction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해 볼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장문의 질문에 답할 수 있는 Form입니다. Prototype test를 진행한 후 실험참가자의 의견을 물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질문을 변경하고, 이미지를 추가하거나, 응답의 종류를 문장에서 숫자, 날짜, 이메일 등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실험 계획 단계에서 수집하고자 했던 데이터의 종류에 맞게 변경된 질문과 응답을 만들어 실험참가자에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Maze에서 제공하는 Usability testing a new product template의 질문 유형을 모두 살펴보았습니다. 이외에도 여러형태의 질문 유형을 제공합니다. 여러 질문들을 만들어보고 어떤 응답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 확인해보면서 가장 적합한 질문 형태를 찾아내는 것도 UT의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좋은 방향이라 생각합니다. Maze에 있는 기본 폼만 사용해도 좋구요. 

Maze에는 이런 Task들도 만들 수 있답니다.

여기까지 Maze의 template를 활용하여 UT를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편에서는 제작한 Maze로 실제 UT를 진행하며 진행사항을 추적하고 결과를 받아보는 과정에 대해 작성해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작가의 이전글 Product의 위기를 대비하는 UX. 사용적합성 1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