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루다 Feb 21. 2024

내가 누구인지 말하는 것이 왜 두려운가

헌책방에서 몇 권의 책을 데려왔다. 그중 하나인 양창순 작가의 심리 에세이. 심리 서적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은 매번 하지만 책이란 게 읽던 느낌의 책만 계속해서 읽게 되어 소설도 심리 관련 서적도 여전히 읽지 못하고 있다. 아쉬운 마음에 심리 에세이를 골랐다. 우선 제목이 나를 끌어당겼다. 원고를 쓰면서 느꼈던 감정이었다. 내가 누구인지 알리는 것을 왜 우리는 두려워할까? 궁금했고 글을 쓰며 그 궁금증은 풀리고 있다.      


     

· 세상살이에서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내가 생각하는 것, 내가 느끼는 것만이 백 퍼센트 옳다고 여기는 것이다. 나도 틀린 부분이 있고 상대방도 옳은 부분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 시작한다면 그때부터 인간관계는 새롭게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는 아침에 누구와 눈을 뜨는가. 바로 나 자신이다. 나의 꿈과 소망을 이루는 것은 누구인가. 나 자신이다.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것을 똑바로 인식하고 이루려고 노력하는 것도 바로 나 자신이다. 

    

· 처음에는 자기의 무력감에 가슴 아프고 괴롭더라도 마음속의 문제를 있는 그대로 직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것이 자기를 알아가는 첫 과정이다.          



'우물 안 개구리'였던 나는 나 자신만 옳다고 믿었다. 내 생각, 가치관, 나의 말들만이 옳았다. 그러한 성격 탓에 타인의 말을 듣는 게 어려웠다. 사고의 유연성이 없었던 게 아닐까. 그런 내가 책을 읽고 글을 쓰면서 사고의 유연함을 느낀다. 맞고 틀리다는 없다. 우리는 그저 모두 다를 뿐이다.  

   

우리는 아침에 누구와 눈을 뜨는가? 나 자신이다. 아침에 눈을 뜨고 눈을 감을 때까지 함께 하는 자신과 우린 모든 걸 함께 해 나간다. 결국 자신의 하루에 인생에 주인공은 자신이며 영원한 주인은 오로지 나 자신밖에 될 수 없다.     


수많은 책에는 이러한 구절이 자주 등장한다. 마음속의 문제를 제대로 직면해야 자신을 알아갈 수 있다고. 하지만 나는 나 자신을 제대로 직면한다는 게 무엇인지 그땐 알지 못했다. 글을 쓰며 내 과거와 아픔들을 밖으로 드러내고 나니 아픔엔 딱지가 생겼고 새살이 돋아나고 있다. 진심으로 나의 과거를 보내줄 수 있었다.    

 

이제 진짜 안녕이라고…. 후회도 많았고 원망도 했고 자신을 자책도 했던 그 모든 날을 보내주었다. 그다음 날 눈을 떠보니 나는 어제와는 다른 내가 되어 있었다. 원고를 쓰면서 나의 병명을 밝히고 나를 드러내는 행위가 절대 두려운 게 아니라는 사실에 더욱 확신할 수 있었다.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싶고 드러내기 두려워하는 이들에게 전해주고 싶다.     


오로지 당신만이 지금 살아가는 인생에 주인공이라고, 절대 움츠러들지 말라고!



Image by Gerd Altmann from Pixabay


작가의 이전글 떠난 후에 남겨진 것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