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태용 Feb 19. 2021

미국 쇼핑몰서 아이를 30초간 혼자 두면 벌어지는 일

아이들 안전에 유독 민감한 미국... 실종자 찾는 일등 공신은 앰버경보

미국에 도착한 지 며칠 되지 않을 때였다. 실내 쇼핑몰을 걷다가 6살 둘째가 사탕을 사달라고 조르기 시작했다. 우리 부부는 나름의 교육철학이 있다. 아이들이 무엇을 달라고 울며 떼를 쓰면 사주지 않는다. 아이들도 이를 잘 알고 있다.


갑자기 미국에 와서 환경이 바뀌어서 그런 걸까. 둘째가 평소에 하지 않던 행동을 했다. 사탕 하나를 가지기 위해 쇼핑몰 한복판에서 주저앉았다. 더는 걷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우리 부부는 그런 아이를 보니 살짝 화가 났다. 아이를 잠시 멀리 떨어져 지켜보기로 했다.


거리를 두고 있으면 곧 걸어오겠지라는 생각을 했다. 아이가 홀로 있은 지 30초도 되지 않았을 때였다. 우리는 전혀 예상치 못한 상황에 맞닥뜨렸다. 아이 옆에 보호자가 보이지 않자, 주변 사람들이 아이에게 몰려왔다. 다들 전화기를 꺼내 경찰에 신고하려 하였다.


그 모습을 본 우리 부부는 화들짝 놀랐다. 아이에게 달려가 주변 사람들에게 자초지종을 말했다. 아이의 잘못된 버릇을 고치려다가, 되려 부모의 그릇된 행동을 반성하게 되었다. 그 이후로 우리는 아이를 항상 곁에 뒀다. 단 몇 초라도 아이와 멀리 떨어지지 않았다.


이따금 이런 뉴스를 접한다. 엄마가 운전하고 아이는 카시트에서 잠이 든다. 어렵게 잠든 아기를 깨우지 않기 위해, 엄마는 아이를 자동차에 홀로 두고 잠깐 마트로 뛰어 들어갔다가 나온다. 그때 지나가는 시민은 아이가 방치됐다고 신고한다. 엄마는 그 자리에서 현행범으로 잡혀간다.


미국에서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이 있다. 바로 아이를 홀로 어딘가에 내버려 두는 것이다. 미국인들은 공공장소 또는 자동차에 혼자 있는 아이를 본다면 바로 투철한 신고 정신을 발휘한다. 미국의 일부 주(州)에서는 아이를 어른들의 보호 없이 방치할 수 없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경에서 거래되는 아이들

▲  2019년 21세 미만 실종자는 44만8090명으로 집계된다. ⓒ pixabay


아이를 잠시라도 혼자 두면 안 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하나는 '아동 납치'다. 미국에서 간간이 "아동을 납치한 일당이 검거되다"라는 뉴스를 접할 때가 있었다. 등골이 오싹했다. 아이들을 데리고 외출할 땐, 부모로서 철벽 방어 태세를 갖추며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았다.


미국의 보안업체 비빈트는 2019년 1월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실종자 수를 발표했다. 우리가 살았던 애리조나주가 13명으로 미국 전체에서 두 번째로 많았다. 실종자 수가 가장 많은 주는 알래스카(41.8명)였고, 제일 적은 곳은 매사추세츠주(1.8명)였다.


운송 전문업체인 유나이티드 밴 라인스도 비슷한 연구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20년 아동 실종률, 안전, 교육 등을 고려하여, 가족을 부양하기 가장 적합한 주(州)는 역시 매사추세츠주였다. 반면 50개 주에서 최악의 지역은 ▶뉴멕시코주(50위) ▶루이지애나주(47위) ▶애리조나주(42위) 등이었다.


순위가 낮은 주들은 미국 남부에 위치하고 멕시코 국경과 가깝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애리조나 역시 멕시코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국경에 가면 아이를 대여해주는 사업이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 지역에서 아이들 납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유라고 한다.


척 그래슬리 공화당 상원의원은 2019년 기자회견에서 "어떤 이들은 미국으로 빠르게 입국하기 위해 아이를 빌려 쓴다"고 공식적으로 언급했다. 미국과 멕시코 국경에는 어린아이와 함께 여행하는 부모에게 입국 절차를 빠르게 해주는 제도가 있는데, 이를 악용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커스틴 닐슨 전 국토안보부 장관도 2019년 3월 연설에서 "죄 없는 미성년자들이 불법 입국에 악용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국토안보부는 아동 인신매매를 막기 위해 '가짜 가족'을 찾아내는 조사를 수행했다. 당시 마크 모건 이민세관집행국(ICE) 국장 대행은 "2019년 4월 중순부터 5월 말까지 남부 국경에서 체포된 1126가족이 '가짜'로 의심된다"고 말했다.


'앰버경보 시스템'이 일등 공신


그러나 사실 미국 언론에서 접하는 것만큼 아동 납치가 흔한 일은 아니다. 대부분은 양육권이 박탈된 부모에 의해 납치되는 경우가 많다.


글로벌 리서치 전문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19년 21세 미만 실종자는 448090명으로 집계된다. 이 중 매년 평균 350명 정도가 일면식도 없는 사람에게 납치되고 있다고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추정한다. 즉, 실종자 중 0.08% 정도만 낯선 사람에게 납치되는 것이다.


미국 국가 범죄정보센터(NCIC) 통계를 보면, 실종 인구는 1997년에 98712명으로 정점을 찍고 가파른 내림세를 보였다. 2019년은 609275명까지 급감했다. 실종자가 줄어든 이유 하나를 꼽으라면 많은 미국인은 1996년에 도입된 '앰버 경보(Amber Alert)'를 말한다.


앰버 경보는 1996년 미국 텍사스에서 유괴되어 살해된 9살 여자아이 앰버 해거먼(Amber Hageman) 이름에서 유래됐다. 공식적인 명칭은 '미국 실종사건: 방송 긴급 대응(America's Missing: Broadcast Emergency Response)'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1996년 1월 13일 앰버 해거먼은 텍사스 알링턴 집 근처에서 자전거 타고 식료품점으로 가는 길에 사라졌다. 당시 목격자는 백인 또는 히스패닉계 남자가 검은색 트럭에 여자아이를 강제로 태우는 것을 봤다고 진술했다. 경찰과 FBI는 즉시 수사를 진행했다. 가족들은 언론을 통해 수색 진행 상황을 속보 형식으로 마을 사람에게 알려 도움을 청했다.


그러나 결과는 최악이었다. 앰버 해거먼은 나흘 만에 피살된 채 발견됐다. 미국 전국의 부모들은 뉴스로 이 소식을 접하고 지대한 관심을 가졌다. 유사한 실종사건을 예방하기 위해 정부를 향해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앰버 해거먼이 죽은 지 9개월 만에 '앰버 경보'라는 비상경보체제가 도입됐다.


아이의 실종 또는 유괴 등이 발생하면 경찰은 앰버 경보를 발령한다. 즉시 그 지역 라디오, TV는 정규방송을 멈추고 실종정보를 내보낸다. 고속도로 전광판 등에는 실종 관련 정보가 게재된다. 지역 주민들은 앰버경보를 통해 납치범의 ▶인상착의 ▶차량 정보 ▶아이의 사진 등을 접한다.


요즘 앰버경보는 스마트폰으로도 전송된다. 주민 모두가 한마음이 되어 아동 실족 수색에 나서는 셈이다. 누구든지 의심 가는 사람 또는 차량을 발견하면 '투철한 신고 정신'을 발휘한다.


앰버 경보 시스템은 초기에 미국의 일부 주에서만 운영되다가 2003년 연방법이 제정되어 전국적으로 의무화됐다. 미국 법무부는 지난 20년간 앰버 경보 시스템을 통해 900여 명 실종된 아동이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왔다고 추정한다.


앰버경보를 받으면 나도 FBI요원             

▲  스쿨버스와 같은 방향 차량뿐 아니라 중앙선 넘어 반대차선 차량도 무조건 정차해야 한다. ⓒ Pixabay


앰버경보가 울리면 가끔 기이한 광경이 연출된다. 마트, 공원 등 공공장소에 함께 모여있는 모든 사람 스마트폰이 동시에 요란하게 울린다. 사람들은 일제히 고개를 숙여 메시지를 본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속담이 있다. 한 아이를 안전하고 건강하게 키우려면 가족뿐 아니라 이웃 주민들의 관심과 애정도 필요하다. 이는 미국뿐 아니라 세계 어느 곳도 그렇다.


미국은 아이들의 안전에 대해서는 지나칠 정도로 민감하다. 스쿨버스가 정차하면 'STOP' 사인이 펼쳐진다. 4차선 이하 도로에선 스쿨버스와 같은 방향 차량뿐 아니라 중앙선 넘어 반대차선 차량도 무조건 정차해야 한다. 위반하면 벌금 폭탄을 맞는다. 그만큼 아이들의 안전이 최우선이다. 생활에서 그러한 예는 무수히 많다.


미국에서 짧은 생활을 하면서 수시로 앰버 경보를 받았다. 유튜브를 보다가 스마트폰에 경보가 울렸다. 운전 중에 도로 전광판으로 경보를 봤다. 그때마다 마치 나도 FBI 수사요원이 된 것처럼 좌우를 유심히 살폈다.


이 마을에 사는 구성원으로서 서로 도와야겠다는 작은 책임감도 느꼈다. 핸드폰을 손에 꽉 잡았다. 언제라도 앰버 경보에 뜬 용의자 또는 차량을 발견하면 '투철한 신고 정신'을 발휘하기 위해서였다.

이전 06화 "돈 있어도 월셋집을 못 구한다" 미국에서 있는 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