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김동기셰프의 한그릇[뽀빠이 기사식당]

수제 돈까스

‘김동기 셰프의 한그릇’

주문과 동시에 빠르게 차려지는 밥상, 가격대비 푸짐한 양, 점심시간에는 눈코 뜰새 없이 바쁜 음식점, 바로 기사식당이다. 지역마다 오래된 기사식당이 자리를 잡고 있는데, 중곡동 ‘뽀빠이 기사식당’의 보쌈 백반과 돈가스는 40년 동안 사랑 받아온 주력메뉴이다.

‘뽀빠이 기사식당’

20살 만화가가 꿈 이었을 적, 집에서 군자를 지나 화양리 까지 자전거를 타고 다녔었다. 평소엔 중랑천변 길을 애용했지만 종종 날씨가 좋을 때면 새로운 길을 찾아 골목길 사이사이로 모험하듯 가는걸 좋아했다. 눈에 담는걸 좋아해서 익숙하지 않은 길에 서서 그 동네에 그저 바라보는걸 즐겨 하며 그림을 그리다 보니 그 자리에 앉아서 잠깐이나마 스케치를 하고 가기도 했었다. 

그게 벌써 20년 전인데 아직도 변함 없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뽀빠이 기사식당’이 위치한 중곡역 옆 가로수 길은 높은 건물이 없고 저 멀리 중랑천변의 높은 하늘이 보여 기분이 시원해 지는 곳이다.

오랜만에 찾은 ‘뽀빠이 기사식당’은 식사시간이 한참 지나서인지 자리가 드문드문 비어있었지만 손님은 끊이지 않게 들어오고 있었다. 40년 동안 이 건물이 들어 설 때부터 영업을 시작한 이곳은 어머니에서부터 아들에게까지 이어져 2대째 영업을 하는 중곡동의 노포 이다. 벽에는 오랫동안 단골들의 사랑을 받은 듯 적혀있는 사인과 낙서들이 꽤 정겹게 느껴진다. 5월 아직 더워지기 전이라 활짝 열어놓은 문 넘어 가로수 나무가 느껴지는 바람이 선선하게 들어온다. 이 길은 항상 햇살이 좋았던 기억이 났다. 주방에선 주방이모의 달그락거리는 소리와 낮술을 즐기는 동네 주민들의 대화소리에 나도 모르게 소주 한 병을 시킬 뻔 했다. 오래된 가게에서 오는 정취는 그 자체만으로도 다른 마케팅이 필요 없는 무기이다. 

뽀빠이 기사식당의 주력메뉴는 돈가스와 보쌈정식, 육개장이다. 옛날에는 설렁탕도 판매를 했었다고 한다. 요즘엔 옛날 돈가스 열풍이 불어 다시 젊은 세대들의 방문이 잦아졌다고 한다. 기사 식당답게 주문과 동시에 빠르게 음식이 나오는데 가격은 예전에 비해 많이 올랐다지만 나오는 양을 보면 그리 비싸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기사식당은 말 그대로 운전기사들이 자주 방문하는 곳이다. 음식값이 싸고 간편하며 빠르게 나오는 장점이 있다.양이 많고 음식의 종류가 많지 않아 손님들의 메뉴 선택의 고민을 줄여준다. 주 고객이 남성이 많기 때문에 주 메뉴들도 제육, 불고기 돈가스, 국밥 등 빠르고 양이 많으며 맛이 기본으로 잡혀 있는 메뉴들로 포진되어 있다. 지역마다 유명한 기사식당들이 있기 때문에 여행지에서 특별한 맛집 들보다는 기사식당을 찾는 것도 나쁜 선택은 아니다.


‘돈가스와 보쌈’ 

뽀빠이 기사식당의 주력메뉴는 보쌈과 돈가스 이다. 둘이서 오면 보쌈 정식과 돈가스를 시켜 나눠먹는 경우가 많다. 돈가스에는 스프가 함께 나오는데 요즘엔 장국이 나오는 곳이 많은지라 넓은 스텐 그릇에 따뜻하게 그득 나오는 크림 수프는 빈 속을 달래기에 적절하기 그지없다. 손바닥 만한 크기의 돈가스는 커다란 타원형의 스텐 그릇에 담겨온다. 마치 중세시대 은 식기에 담겨오는 푸짐한 스테이크를 보는 것 같다. 한입 썰어 먹어본 돈가스는 분명 수제가 틀림없었다. 공산품 돈가스는 고기와 튀김 옷이 벌어지지 않기 위해 결착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곳은 그런 기교 없이 순수하게 힘으로 고기와 밀가루, 빵가루를 누른 흔적이 느껴졌다.



맛은 내가 어릴 적 먹던 그 맛이다. 화려하지 않고 수수하며 뜨거운 튀김 옷을 진정시키듯 듬뿍 뿌려져 있는 소스가 이젠 집에서도 쉽게 먹어볼 수 있는 그 돈가스의 맛이다. 곁들여 나온 양배추 사라다(샐러드)엔 사우전아일랜드 드레싱과 케찹이 뿌려져 있다. 고명으로 올려진 마카로니에서는 작은 정성마저 느껴진다.  

보쌈은 식어도 야들야들하다.보쌈 백반을 시키면 나오는 우거지 된장국, 보쌈김치, 꽤 양이 많은 삼겹 보쌈과 쌈채소들을 보고 있자면 가격이 조금 미안할 정도다. 직접 담근 김치는 차고 단맛이 돈다. 보쌈과도 또 그냥 밥에 얹어 먹어도 아주 좋다. 




‘우리의 돈가스’ 

돈가스는 우리나라 음식일까? 난 이제는 맞다고도 생각한다. 포크 커틀렛, 슈니첼, 꼬르동블루, 돈카츠 각 나라마다 있는 이 비슷한 튀김 메뉴들은 태어난 시기가 다르지만 분명히 연관성을 띄고 있다. 난 우리의 돈가스도 뒤늦게 한국 정서에 맞게 개발된 우리의 음식이라고 생각이 든다. 이 고기 튀김이 우리나라에서 늦게 등장한 이유 중 하나는 고기가 귀한 것도 있었지만 먼저 튀김이라는 조리법이 조선시대까지도 귀한 조리법이기 때문인데 우리나라는 튀김용 기름을 재배하기엔 유쾌한 환경이라 말하기 어려웠던 지라 요리용 기름이 귀했다. 그래서 튀김 요리 보다는 기름을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는 '전' 요리들이 많다.

1960년 한국에 경양식 레스토랑들이 생겨 나고 나서부터 일본을 통해 ‘돈가츠’가 도입이 된다.  일본의 돈카츠를 두들겨 넓게 펼쳐 양을 늘리고 소스는 찍어먹기 보단 적셔 먹게끔 듬뿍 뿌려 개량된 음식이 우리의 돈가스 이다. 단무지보단 깍두기를 곁들이고 고봉밥과 함께 상에 올려 우리 정서에 맞는 푸짐함을 더한 꽤 품격 있는 메뉴로 시작을 했다. 외형으로 보았을 때에는 ‘돈가스’는 일본의 ‘돈가츠’ 보단 서양의 ‘포크 커틀릿’과 더 닮아 있다.


뽀빠이 기사식당

서울 특별시 광진구 긴고랑로 17-1


세계일보 

김동기 셰프의 한그릇 

paychey@nave.com

작가의 이전글 김동기셰프의한그릇[어머니 청국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