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안 Apr 14. 2024

재능이 노력을 만날 때

P교수님과『고도를 기다리며』

2023年 7月.


    방학이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P교수님의 연구실을 방문했다. 처음 문틈 사이로 엿보았을 때부터 정말 아늑하고 멋진 공간이라 생각했는데, 지금도 그 감상은 변하지 않았다.

    약간의 대화를 나누고, 내 원고들을 대략 훑어보신 끝에 교수님이 내린 결론 : 원석이 있는데 왜 방치했지? 그건 게으른 거다. 극단까지 밀고 나가봐야 한다. 날카롭게 벼려내야 한다.

    잠깐 사이에 나를 이토록 꿰뚫어 보시다니, 내 가장 큰 고민까지 말이다.

    교수님은 내게 어떤 화가를 좋아하냐 물으셨고, 클림트와 쉴레라고 답했더니, 쉴레를 좋아할 것 같았다고 하셨다. (영광스럽게도) 내가 쓰는 선이 쉴레의 선과 비슷하다고. 그리고 내 안에도 분명 쉴레와 같은 불꽃이 타오르고 있는 것 같다고 하셨다. 그런데 왜 게으르냐 이거지

    Y의 남자친구-사진을 찍고 싶어 했고, 지금은 유명 포토그래퍼의 어시가 된-를 처음 만났을 때, 그 애는 나에게서 억눌린 무언가가 보인다고 했다. 그걸 예술로 풀고 싶어 하는 표현 욕구가 있는 것 같다고도. P교수님도, Y의 남자친구도, 정작 나는 알지 못하는 내 안의 열정에 대해 말한다. 그들이 내게서 본 건 무엇이었을까.

Le Mont, Fleurs, et L'Oiseau (2023)

    교수님은 내 글을 보고 '재미있긴 하지만 아직 문학의 수준은 아니'라고 하셨다. 문학의 수준에 오르기 위해서는 '말이 말을 불러야' 한다고. 그 말씀을 듣고 내가 떠올린 건 현대영미드라마 강의의 마지막 작품이었던 『고도를 기다리며』. 교수님이 매우 높게 평가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내 취향은 아니지만, 『고도를 기다리며』가 가진 위대함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의미라는 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통찰 - 말이라는 게 한없이 불명확하고 텅 비어있듯이. 그 텅 비어있음을 우스꽝스럽게 드러내는 대사들. 무한 반복에 묶인, 해방이 일어나지 않는 비결정의 공간.

    니체는 선언했다. "신은 죽었다." 위대한 목적과 믿음이 사라진 시대, 그 자리를 차지한 건 권태. 인간의 삶을 의미화하는 장치, 좌표, 연결점은 사라졌다. 이제 우리에게 유일한 것은 필멸. 그러나 베케트는 이러한 무의미와 권태 속에서 소박한 웃음을 발견해 낸다. 나는 쉴레와 유사한, 베케트의 냉소적 박애주의가 마음에 든다.

매거진의 이전글 Midnights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