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혜윰 Oct 13. 2023

퇴고하(고 싶지 않)는 마음

작년 이맘때쯤 내가 생각하는 거의 모든 문장은 '퇴사만 하고 나면'이라는 서두로 시작했다. 퇴사만 하면 실컷 낮잠을 잘 거야. 퇴사만 하면 오전엔 꼭 필라테스를 갈 거야. 퇴사만 하면 묵혀둔 책들을 다 읽을 거야. 퇴사만 하면 글을 '매일' 쓸 거야.


그렇게 바라고 원해마지 않았던 퇴사를 한 지 10개월 13일이 지났다. 나에게 출근할 힘을 줬던 '퇴사만 하고 나면'이라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 같던 미래의 일이 현실이 되어 살고 있는 지금의 나는 (예상했겠지만) 그때 내가 상상했던 부지런한 나와는 거리가 멀다.


다른 건 몰라도 3개월간 꾸준히(라고 쓰고 꾸역 꾸역이라고 읽는) 책 원고를 썼고, 책 쓰기 모임에 속해있지 않으면 하지 않을 것 같아 출간기획서까지 만들었다. 이제 글을 모으고 정리해서 출판사에 투고하기만 하면 된다! 이제까지 썼던 글을 한 파일로 옮기는데, 그동안 초고를 쓰고 합평받고 고치기를 반복했던 글인데도 그 글들이 너무나 낯설게 느껴졌다. 나는 한글파일의 창을 닫으며  '아, 망했다.'


라고 생각하고 한 달(하고도 십여 일)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요즘 내가 가장 많이 하는 생각은 어떻게 하면 퇴고를 좀 미룰까, 이다. 아이들 여름방학이 끝나고 나면 퇴고해야지, 영어 시험이 끝나면, 추석 연휴가 지나고 나면, 

지금 쓰고 있는 이 글까지 발행하고 나면 이제 더 이상 미룰 이유가 없다. 



내가 썼던 글을 다시 마주하는 게 어려운 이유 중의 하나는, 감정에 휩싸인 채 내가 하고 싶은 말만 내뱉는 가장 어리고 원초적인 나 자신을 만나게 되기 때문이다. 분명히 그때는 신나게(?) 썼는데, 시간이 지나고 이성을 되찾은 눈으로 보니 진짜 건질만한 문장이 없다. 

동시에 자꾸 그런 마음이 든다. 그래, 그동안 쓴 것만으로 만족하자. 너의 일은 거기까지니까 그냥 이 글들은 여기 묻어두자. 


이 마음을 떨치기 위해 기록을 남겨둔다. 나에게는 퇴고를 기다리고 있는 글들이 있다. 나는 하기 싫은 마음을 ()로 접어두고, 내가 할 수 있는 만큼의 퇴고를 해 나갈 거다. 





매거진의 이전글 엄마는 남자가 되고 싶은 거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