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배대웅 Dec 12. 2024

심야의 노동요

글을 쓸 때 듣는 연주곡들

글을 쓸 때 필요한 것은 두 가지다. 커피와 음악. 내가 꼭 무라카미 하루키를 흉내 내서 그런 것은 아니다. 글쓰기는 예민한 작업이라 정신이 긴장과 이완을 수시로 반복한다. 그럴 때 커피와 음악이 도움을 준다. 커피는 글감과 문장을 짜내는 데 자극이 된다. 반면 음악은 쓰는 중간중간 한숨을 돌리도록 안정감을 준다.

      

둘 중 까다롭게 고르는 건 음악 쪽이다. 커피는 맥심이든 스타벅스든 빽다방이든 상관없다. 다만 음악은 장르와 형식에 제한이 있다. 비트가 강하거나, 템포가 빠르거나, 보컬이 두드러지는 곡은 안 된다. 가장 적합한 것은 서정적이고 울림이 적으며 가사가 없는 곡들이다. 내가 글을 쓰는 시간대가 밤이라서 더 그렇다. 남들 자는 야밤에 기타와 드럼과 고음이 난무하는 곡을 틀 수는 없잖은가. 결국 이 조건들을 만족하는 음악은 연주곡이다. 모든 일과가 끝난 한밤의 글쓰기에 배경처럼 흐르는, 내 ‘심야의 노동요’라고 할 수 있겠다.



     

에피톤 프로젝트, <환절기>

    

한때 에피톤 프로젝트를 가장 좋아하뮤지션으로 꼽았었다. 지금은 그렇지 않다. 요즘 신곡도 잘 안 내고 창작 역량도 갈수록 떨어지는 것 같아서다. 그를 대표하는 연주곡은 <봄날, 벚꽃 그리고 너>일 것이다. 광고 음악으로도 여러 번 쓰여서 에피톤 프로젝트를 모르는 사람도 익숙할 것이다. 근데 나는 영 별로더라. 제목도 오글거리고, 뭔가 작정하고 슬픈 곡을 만들겠다고 작업한 결과물 같다.

     

그래도 이 <환절기>는 여전히 자주 듣는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단어 중 하나가 ‘처연하다’인데, 그 감정과 잘 어울린다. 담담하게 진행되는 피아노 연주를 듣노라면 스산함이 느껴진다. 환절기는 계절의 변화를 인지하면서 마음가짐도 단단히 하는 시기이다. 그것은 인생에서 필연적으로 닥치는 상실과 허무의 감정에도 비유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에피톤 프로젝트의 공연에 여러 번 갔지만 이 곡은 들어보지 못했다. 사실 딱 한 번 기회가 있었다. 어느 소극장 공연이었는데, 앙코르 순서가 되자 갑자기 즉석 리퀘스트를 받겠다고 한 것이다. 나는 곧바로 환절기라고 외치고 싶었으나, 중년의 아재가 굵은 목소리로 그러자니 쑥스러웠다. 결국 “환절기…”라는 애매한 톤으로 말해버렸다. 문제는 동시에 저 앞의 어떤 여자가 “그대는 어디에!!!”라고 사자후를 토한 것. 그렇게 나의 리퀘스트는 완벽히 지워졌고, 이 곡을 라이브로 들을 소중한 기회도 날아가 버렸다.

     

히사이시 조, <Summer>

     

너무나도 유명한 곡. 이 곡이 OST로 쓰인 <기쿠지로의 여름>이라는 영화는 본 적도 없고 앞으로 볼 계획도 없다. 하지만 이 <Summer>만큼은 평생 들을 것 같다. <인생의 회전목마>와 함께 히사이시 조의 천재성을 보여주는 원투펀치라고 생각한다. 이 곡은 피아노 솔로와 오케스트라 편곡의 두 가지 버전이 있다. 물론 경쾌한 피아노 연주가 핵심인 곡이지만, 장중한 오케스트라 입 버전이 더 좋다. 감정적으로 더 풍성하고 아련한 느낌마저 들게 한다.

     

이 곡을 들으면 여름의 홋카이도가 떠오른다. 홋카이도를 대표하는 이미지는 하얀 설경이지만, 여행 가기에는 여름이 더 좋다. 거기에 오비히로라는 작은 도시가 있다. 넓고 푸른 평야가 참으로 아름다운 곳이다. 그곳에서 초여름의 산들바람을 맞으며 자전거를 타면 세상 부러울 게 없다. 그때 이 곡이 bgm으로 깔린다면 그대로 영화의 한 장면이 될 것이다.

     

얀 티에르상, <Comptine d'un autre été>

     

고백하건대 이 프랑스 뮤지션에 대해 아는 건 거의 없다. 우울하리만치 차가운 연주를 들려준다는 점 말고는. 영화 <아밀리에> OST에 수록된 이 곡도 그렇다. 시작부터 마음의 밑바닥으로 가라앉듯 퍼지는 피아노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참 들을수록 묘하다. 이 곡의 전개는 결코 드라마틱하지 않다. 그런데도 듣다 보면 감정에 파도를 일으킨다. 오랫동안 들어온 곡이지만 그 감정의 실체가 뭔지 아직도 모르겠다. 슬픔인지, 허망함인지, 그리움인지, 회한인지.

     

트리오 토이킷, <Vanhojapoikia Viiksekkäitä>

    

북유럽 재즈 감성을 찾다가 우연히 알게 되었다. 왜 그런 것을 검색했는지 이유는 기억나지 않지만, 덕분에 대박 밴드가 얻어걸렸다. 핀란드 출신의 이 3인조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분방한 사운드를 선보인다. 듣다 보면 도대체 곡을 어떻게 이끌고 가려는지 가늠이 안 된다. 장르적으로도 이게 재즈인지, 팝인지, 클래식인지 모르겠다. 이 곡은 그런 기본 바탕에 바이올린까지 추가되었다. 재지한 연주를 타고 종횡무진하는 바이올린은 전성기 리오넬 메시의 드리블을 연상케 한다. 클래식과 재즈 둘 다 잘 모르지만, 적어도 이 곡이 둘의 장점을 절묘하게 합쳤다는 것만큼은 알겠다.

    

김현철, <횡계에서 돌아오는 저녁>

     

김현철의 음악적 정체성은 ‘세련됨’이 아닐까 한다. 물론 후기로 갈수록 평범한 발라더(<일생을>, <연애>, <Loving You>…)가 되는 느낌도 있지만. 적어도 초창기의 그는 대중가요 유일의 스타일리스트였다. 김현철 1집의 <오랜만에>를 한번 들어보시라. 이 곡이 주현미의 <짝사랑>과 같은 해에 나왔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


3집의 이 <횡계에서 돌아오는 저녁>도 세련미를 찐으로 보여준다. 김현철 특유의 도회적인 느낌이 물씬 풍기는, 시티팝 스타일의 연주곡이다. 실제로 횡계에 놀러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서울의 저녁 하늘을 보고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 노을이 번지는 저녁 무렵의 드라이브에도 잘 어울릴 듯하다.

     

그의 음악은 참으로 듣는 즐거움이 있다. 그중 하나가 편곡적으로 심심할 틈을 안 준다는 점이다. 그만큼 악기들이 긴밀히 연결되고, 교묘하게 치고 빠지면서 존재감을 과시한다. 이 곡도 그렇다. 메인 선율은 기타가 이끌어가지만, 뒤에 있는 베이스, 드럼, 키보드, 색소폰의 역할도 작지 않다. 호시탐탐 기회만 엿보다 빈 곳이 생기나 싶은 순간 들어와 채운다. 마치 왕년의 스트라이커 필리포 인자기 같다. 단독 돌파는 못해도 귀신같은 위치선정으로 골을 넣는다. 이런 팀플레이의 결과로 재지한 전자 사운드의 대향연이 만들어졌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