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구별여행자 Sep 05. 2023

왜 종이에 적으면 실현되는가?

뇌의 메커니즘에 그 답이 있다. 


왜 종이에 적으면 실현되는가?




켈리 최 회장, 김승호 회장, 론다 번 이들의 이름을 한 번쯤 은 들어봤을 것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끌어당김의 법칙”에 대해서 강조하는 이들이다. 시각화와 더불어 성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해야 할 것이 바로 “목표를 종이에 적는 것”이다.


목표를 종이에 적기만 해도 실현된다고?



이 무슨 말도 안 되는 말인가? 싶을 것이다. 여기서 사람은 두 종류의 사람으로 갈린다. 한 사람은 속는 셈 치고 한 번 종이에 목표를 적어보자 할 것이고 또 다른 사람은 말도 안 된다고 말하고 시도조차 해보지 않을 것이다.



<비상식적 성공 법칙>에는 목표를 종이에 적으면 실현되는 과학적인 원리가 적혀있다.



목표를 종이에 적으면 실현되는 이유는 우리 뇌의 메커니즘에 그 원인이 있었다. 비상식적으로 들리지만 굉장히 과학적이다.



뇌의 메커니즘을 알면 잠재되어 있던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간단히 말하면, 뇌는 당신이 어떤 질문을 하면 고도로 정밀한 안테나를 세워 그 질문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한다. 과거의 경험과 현재 눈앞에서 펼쳐지는 상황들 속에서 질문에 대한 답을 검색하는 것이다. 뇌는 질문을 받자마자 마치 표적을 쫓는 적외선 유도 장치를 장착한 미사일처럼 답을 탐색한다.



정보를 처리하는 양도 실로 엄청나다. 가속 학습 부문의 세계적 권위자인 폴 쉴리 박사와 교육 심리학자인 윈웽거 박사가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뇌는 매초 1000만 비트가 넘는 정보를 처리한다고 한다. 시각은 매초 1000만 비트, 청각은 40만 비트, 그리고 촉각은 100만 비트를 처리한다. 이 숫자는 연구자에 따라 다르지만 뇌가 엄청난 정보 처리 능력을 갖고 있다는 주장에는 이견이 없다.

<비상식적 성공법칙> 중에서




그러니까 우리가 종이에 목표를 쓰면 실현되다는 의미는 종이에 목표를 쓰는 순간 뇌는 이 목표를 뇌에게 하는 질문으로 인식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내려 한다는 것이다.







“100가지 질문을 하면 100개의 검색 엔진이 동시에 작동하면서 그 답을 계속해서 찾아낸다. 성공한 사람들 중에는 목표가 6000개인 사람도 있었다. 몇 년 전부터 내 목표는 128개다.”

<비상식적 성공 법칙> 중에서




"일단 목표를 종이에 적어봤더니

정말 그 일이 실현되었고

그 후로 계속해서 종이에 목표를 적었는데

그 이후로도 계속해서 종이에 적은 목표들이 실현이 되었다.

진짜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지만

계속해서 같이 일이 반복되자

이제는 믿지 않을 수 없게 되었고

계속해서 실현하고 싶은 목표가 있으면

일단 종이에 적는다."



이건 작가의 말이다. 이 책의 저자인 간다 마사노리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종이에 목표를 적으면 결국 실현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도 지금까지 많은 목표들을 종이에 적었고 모두 다는 아니었지만 (현재 진행 중인 장기적인 목표들도 있다) 신기하게도 80% 이상은 이루어졌다. 내가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적었을 수도 있지만 종이에 쓰는 그 당시만 해도 실현되기 힘든 목표들이 대부분이었다.







목표를 종이에 적기만 해도 실현된다는 의미는 뇌가 목표를 인지하고 그에 대한 답을 끊임없이 찾아내기 때문에 가능했던 거라는 걸 난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우리 뇌는 하나의 우주라고 봐도 될 정도로 아직도 연구해야 할 게 무궁무진하다.




난 지금도 매일매일 목표를 종이에 적는다. 어느 날은 같은 목표를 100번 쓰기를 하듯 그냥 적고 또 어떤 날은 목표 10개를 생각나는 대로 적는다.




다시 한번 이 책 <비상식적인 성공 법칙>을 꺼내 들었다. 좋은 책은 여러 번 읽어야 한다. 한두 번 읽는 것이 아니라 수 십 번 읽어야 한다.




이 책은 결국 “잠재의식”에 관련된 것이라고 저자는 고백한다. 잠재의식에 새겨진 목표는 그 목표를 우리가 계속해서 상기시키는 한 질문에 대한 답을 끊임없이 찾아내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결국 우리가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잠재의식에 무엇을 새겨 넣을 것인가? 성공하는 삶인가? 실패하는 삶인가?




이것저것 따지지 말고 일단 목표부터 종이에 적어보자!




속는 셈 치고 한 번 실행해 보라.




생각한 대로 된다는 말은 진실이다. 생각을 하면 우리 뇌는 실행하도록 잠재의식에 명령하기 때문이다. 만약 생각은 했는데 실행하지는 않는다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생각한 것이 아니다. 생각은 목적과 목표가 있어야 한다. 목적도 목표도 없는 생각을 뇌는 인식하지 않는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비상식적 성공 법칙] 간다 마사노리 지음 서승범 옮김






매거진의 이전글 세상에서 가장 이상한 비밀, 얼 나이팅 게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