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과학편지 Apr 20. 2021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효과적으로 비난을 피하는 방법

영웅이 될 것인가 피해자가 될 것인가

직접 험을 해볼까요? 여기 도덕적이지 못한 행동을 한 톰이라는 남자가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톰의 행동 가장 비난 받을까요?



실험 1. 돈을 돌려주지 않는다면?

톰은 길을 걷다 누군가 실수로 주머니에서 돈을 떨어뜨리는 걸 보게 된다. 그러나 톰은 그 돈을 주인에게 돌려주지 않고 자신의 주머니에 넣는다. 이때 톰이란 남자에 대해 서로 다른 배경지식 A, B, C가 주어진다면, 셋 중 어떤 배경지식을 들었을 때 가장 톰을 비난할 것 같은가?

<상황> 톰은 떨어진 돈을 돌려주지 않았다.

배경지식 A :  과거 톰은 자선단체에 돈을 기부한 경험이 있다.
배경지식 B :  톰은 카페에서 아메리카노를 구매했다.
배경지식 C :  며칠 전 톰은 상사에게 돈을 빼앗겼다.

배경지식 A, B, C 중 하나를 고르셨나요? 어떤 선택을 하셨을지 무척 궁금한데요.


미국 Maryland 대학에서 111명의 실험 참여자들에게 각 배경지식에 따른 비난 강도를 물었고,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래프를 보면 배경지식 A를 들었을 때 톰을 향한 비난 강도가 가장 거센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배경지식 C는 눈에 띄게 비난 강도가 약한 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여러분도 비슷한 생각을 하셨을까요?


도덕적이지 못한 톰의 행동에 배경지식 A, B, C는 각기 다른 전략을 펼칩니다. 배경지식 A의 경우 과거 선행을 얘기하며 비난을 상쇄시키려는 영웅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반면 배경지식 C는 과거 피해 경험 꺼내 비난을 상쇄시키는 피해자 전략을 취하고 있죠. 배경지식 B는 중립 조건으로 어떠한 전략도 취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시 실험 결과로 돌아와 볼게요. 종합해보면 영웅 전략을 취한 A는 가장 거센 비난을, 피해자 전략을 취한 C는 가장 약한 비난을 받게 됩니다. 즉, 과거 피해 경험을 드러내는 피해자 전략이 비난을 회피하는데 훨씬 효과적인 것이죠. 반대로 영웅 전략은 중립 조건(배경지식 B)보다도 더 강도 높은 비난을 받게 됩니다.



피해자 고정관념과 영웅 고정관념


어떻게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요? 왜 피해자 전략은 통 영웅 전략은 역효과가 일어났을까요? 피해자에 대한 동정심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드는데요. 놀랍게도 동정심과 비난 강도는 관계가 없었다고 합니다.


심리학자들은 이런 현상이 피해자 고정관념 때문에 일어났다고 설명합니다. 피해자 고정관념은 말 그대로 사람들이 피해자에 대해 가지는 편견을 말하는데요. 그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도덕적 혼수상태입니다. 앞선 실험에서 톰은 상사에게 돈을 뺏긴 경험이 있었죠? 사람들은 이 경험으로 톰이 정상적 도덕적 사고를 하기 힘들 것이라는 편견을 가집니다. 자신이 받은 피해가 너무 불합리했기 때문에 도덕적 기준마저 흔들렸을 것이라 생각하는 거죠. 다시 말해, 피해 경험으로 톰이 도덕적으로 사고하기 힘들 것이라 보는 겁니다.


이러한 피해자 고정관념은 피해자의 도덕적이지 못한 행동에 관대함을 불러일으킵니다. 따라서 톰의 피해자 전략이 비난 강도를 낮추게 된 것이죠.


반면 영웅 전략의 경우 영웅 고정관념 때문에 더 많은 비난을 받게 된다고 설명합니다. 평소 영웅에게 많은 기대와 신뢰를 가지고 있었기에, 그가 부도덕적 행동을 할 경우 더욱 실망하고 비난하는 것이죠.



효과적으로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는 피해자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였습니다. 또한 영웅 고정관념은 더 큰 비난을 불러올 수 있음을 지적하는데요. "열 번 못하고 한 번 잘하는 사람이 열 번 잘하고 한 번 못하는 사람보다 좋은 평가를 받는다"는 말이 떠오르는 논문이었습니다. 영웅 고정관념을 만들지 않기 위해 좋은 모습도 남에게 적당히 보여야 한다는 생각도 드는데요. 현대 사회의 다소 씁쓸한 이면을 보여주는 연구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논문 출처

Kurt Gray, Daniel M. Wegner, To escape blame, don't be a hero—Be a victim,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ume 47, Issue 2, 2011, Pages 516-519

매거진의 이전글 뇌에 문제가 있으면 무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