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피티맨 Aug 24. 2021

[똑똑한개발자] 중소 SI에 대해서 알아보자

강소 SI와 좋소 SI를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개발자 업계에서는 흔히들 중소기업 SI를 가장 직장으로서 안좋게 여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PM인 제가 봤을 때 작은 회사의 SI 출신이 나이 대비 가장 개발을 잘했던 것 같습니다. 그럼 강소 SI와 소위 말하는 ㅈ소 SI를 어떻게 구별을 할 수 있을까요?




좋소 SI의 기술 스택에 대하여

흔히들 중소 SI라고 표현하는 회사들은 대다수의 경우, 기술 스택이 노후하고 오퍼레이션 업무만 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기술 스택이 Ruby on Rails거나, PHP와 같은 풀스택 기술 스택 (프론트는 jQuery) 을 사용해서 모듈화나 코드 컨벤션 없이 그냥 주어지는 대로 개발을 합니다.


이런 식으로 개발을 하면 SI로서의 효율성은 나올 지 몰라도, 개발자가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클라이언트들도 턴키 프로젝트로 자신들이 맡아서 개발을 했을 때 수준이 낮은 소스코드를 보고 굉장히 난처할 수가 있습니다.


그럼 잘하는 작은 회사의 SI 개발사는 어떨까요? 현재 젊고 똑부러진 외주 용역 회사들의 경우에 새로운 기술 스택을 시험해보는 데 거침이 없습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나오는 새로운 기술들이 대기업 같은 곳에 적용이 되기 시작하면 바로 레거시 코드가 되어 버립니다. 대기업은 한 번 적용하면 유연한 변화를 다시 주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 당시 최신 기술 스택을 적용하여 서비스를 만들더라도, 몇 개월 지나고 나면 레거시 코드가 되어버립니다. 


하지만, 작은 회사의 SI는 매번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레거시가 없습니다. 이를 잘 활용하여 매번 최신 기술 스택을 공부하고 매번 최신 기술 스택으로 개발을 해오는 외주 용역 업체나 프리랜서들이 있습니다. PM인 제 개인 경험 상, 이런 외주 용역 업체 출신들이나, 이런 프리랜서 출신들, 아니면 새로운 스택을 적용하는 데 거리낌이 없는 (학습 능력이 높은) 젊은 스타트업 CTO들이 가장 개발을 잘 했던 것 같습니다.


똑똑한개발자 팀 또한 레거시가 없는 개발사로서 Next.js, Typescript, Notion, Slack, Mobx, DRF, postgreSQL, AWS, k8s 등 현재 글로벌로 유행을 하고 있는 최신 기술 스택을 활용하여 개발을 진행합니다.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그 어떤 회사와 비교해봐도, 유연하게 최신 기술 스택을 실험하고, 고도화하고 있는 중입니다.




좋좋소 SI의 코드 컨벤션에 대하여

중소 SI에서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이 풀스택 개발입니다. 일반적으로 프론트와 백엔드를 분리하고, 코드컨벤션에 맞게 소스코드를 만들어내고, React 컴포넌트 및 모듈화를 하는 것에는 많은 비용이 들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단가 싸움이 치열한 SI 업계에서 Man/Month 대비 효율을 내기 위해서는 1명의 풀스택 개발자가 PHP나 Ruby on Rails 같은 언어로 풀스택 개발을 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협업을 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남이 알아먹도록 소스코드를 모듈화하고 코드 컨벤션에 맞게 소스코드를 짜는 경우가 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소 SI 출신들을 스타트업이나 네카라쿠배 등에서 싫어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서비스를 '잘' 만드는 것이 아니라, "빨리" 만드는 것에 익숙하기 때문에, 협업하기 싫은 소스코드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똑똑한개발자 팀은 자체적인 코드 컨벤션을 보유하고 있고, 프론트와 백엔드를 분리하여 각 개발자들의 전문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똑똑한개발자 팀은 지속적인 React 생태계의 발전을 위해 프론트엔 디자인 가이드 시스템을 제작하여 이것을 배포 및 사용하고 있습니다.


※ 똑똑한개발자 디자인가이드 시스템 둘러보기

https://www.notion.so/sooji8/Tok-D-_-Design-System-Beta-13bbc02b59254190be3b13e4889f4515



클라이언트가 줄서서 맡기는 똑똑한개발자

중소 SI가 개발자들 사이에서 인식이 안좋고, 스타트업을 하기 위해서는 SI에 의뢰하기 보다는 직접 개발자를 뽑으라는 말을 하는 것은 위와 같은 이유들에서 일 것입니다. 똑똑한개발자 팀은 중소 SI 라는 단어를 처음에 몰랐습니다. 그저 개발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최신 기술 스택으로 좋은 서비스를 만들다 보니, 어느덧 대한민국 1위의 React 개발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회사 규모 면으로 볼 때에 중소 SI더라구요. 본 글은 괜찮은 강소 SI 회사도 있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작성했습니다)


저희는 좋소 SI와 다릅니다. 단순하게 기능 명세를 빠르게 만드는 것을 넘어, '잘' 만드는 것에 누구보다 집중합니다. 이것은 SI의 효율성 및 사업으로서의 효율성을 어느정도 포기한 것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저희가 개발자로서는 잘 하고 있지만 사업가로서 잘 하고 있는 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이러한 저희의 선택이 좋은 클라이언트와 지속 가능한 관계를 맺고, 저희의 뛰어난 개발자들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은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똑똑한개발자 홈페이지

https://www.toktokhan.dev/


※ 똑똑한개발자 팀

https://toktokdev.notion.site/fd318a8123424d03bcfdfd7d69c5b85f






작가의 이전글 [똑똑한개발자] 카카오 모빌리티의요금 인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