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루기 Jul 17. 2023

아스티의 TOP3 파비오페로네 모스카토 다스티

FABIOPERRONE MOSCATO D'ASTI/BRACHETTO



아스티의 TOP3로 선정된
파비오페로네의 모스카토 다스티




2022 세계 3대 와인박람회 '빈이탈리Vinitaly'에서

현장참여자, 기자들 대상으로 진행한

"Vote Your Sparkling Star"투표에서 아스티ASTI DOCG TOP3

에 선정된 파비오페로네의 모스카토 다스티를 소개합니다.






모스카토 다스티 중 가장 높은 비비노VIVINO 평점을 획득


파비오페로네 모스카토 다스티

모스카토 3대장으로 알려진 그 어떤 와인보다 더 높은 평점을 받은

TOP 1%의 진정한 모스카토 다스티의 대장입니다.






와인서쳐 WINE SEARCHER 
전문적인 와인 평론가가 선정한 TOP3 모스카토 다스티


CRITIC SCORES THIS IS ONE OF THE TOP3 MOSCATO D'ASTI WINES.





비니탈리와 비비노, 와인서쳐의 내용은 제목에 연결된 링크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리스트 아래에서 비니탈리, 비비노의 내용 자세히 보실 수 있으니 좋은 정보 놓치지 말고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파비오페로네 FABIOPERRONE는

최상의 '모스카토 다스티'만을 생산합니다.


파비오페로네는 1970년대 마리오페로네가 설립한 와이너리로

현재는 알바의 와인학교를 졸업한 손자 파비오페로네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지치기부터 수확까지 모든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며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최상급 품질의 와인을 만들고 있습니다.





파비오페로네의 특별한 모스카토

파비오페로네는 산타 스테파노 벨보 Santo Stefano Belbo의 가파른 언덕의 작은 마을 발디빌라 Valdivilla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주민이 250명에 불과한 이 마을의 모든 농부들은 대를 이어 아주 가파른 경사면을 따라 포도를 경작해 왔습니다. 이곳에서 이들의 열정과 노하우로 모방할 수 없는 특별한 모스카토 다스티가 생산됩니다.



파비오페로네의 목표는

와인을 마시는 분들이

우리가 와인을 만들때 담았던 진심을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파비오페로네 모스카토 다스티 DOCG

FABIOPERRONE MOSCATO D’ASTI DOCG





GRAPE VARIETY

Moscato Bianco Canelli

모스카토 비앙코 카넬리


PRODUCTION AREA

포도는 산토 스테파노 벨보(Santo Stefano Belbo)와 카스틸리오네 티넬라(Castiglione Tinella) 시에 위치한 자체 포도원에서 생산됩니다.


EXPOSITION AND ALTITUDE

South, South-East. 400m a.s.l


FORM OF CULTIVATION

전통적인 Piedmontese Guyot방법을 사용한 가지치기


HARVEST PERIOD

8월 말과 9월 첫째주의 선별된 포도


VINIFICATION

포도를 분쇄 후 압착합니다. 머스트를 걸러낸 후 냉장 오토클레이브에서 발효합니다. 이를 통해 발효 중 생성된 가스가 유지되어 특징적인 펄라쥬가 생성됩니다. 와인의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발효 시 엄선된 효모를 사용합니다.



TASTING NOTE

연한 밀짚색을 띄며 흰 복숭아, 서양배, 열대 과일과 꿀 등의 달콤한 향에 들판의 잔 꽃 향이 피어납니다. 달콤함과 상큼한 산미의 완벽한 밸런스를 느낄 수 있습니다. 절제된 달콤함에 이어지는 우아한 풍미가 긴 여운을 남기는 최고급 모스카토 다스티입니다.






파비오페로네 피에몬떼 브라께또 DOC

PIEMONTE BRACHETTO DOC






GRAPE VARIETY

Brachetto 브라께또


PRODUCTION AREA

Santo Stefano Belbo


EXPOSITION AND ALTITUDE

South. 350 m a.s.l


FORM OF CULTIVATION

전통적인 Piedmontese Guyot 방법을 사용한 가지치기


VINIFICATION

줄기를 제거한 후 색상을 추출하기 위해 제어된 온도에서 1~2일 동안 껍질과 함께 머스트를 침지합니다. 랙킹과정을 거쳐 껍질을 분리합니다. 발효 시 엄선된 효모를 사용하며, 생성된 가스의 일부가 유지되도록 오토클레이브의 제어된 온도에서 약 2주 동안 발효를 진행합니다.


TASTING NOTE

강렬한 루비색에 신선한 야생 산딸기, 붉은 베리의 향이 돋보이는 와인입니다. 달콤한 풍미와 적당한 산미가 부드러운 탄닌감과 조화롭게 어우러집니다. 달콤함에 고급스러움을 더해주는 은은한 머스크향이 우아하고 여운이 짙은 피니시로 이어집니다.


PAIRINGS

과일, 크림, 초콜릿을 기본으로 한 드라이 페이스트리 및 디저트와 잘 어울립니다. 아페리티프와 하루 중 언제든지 상쾌한 음료로 아주 좋습니다.








- 빈이탈리 VINITALY




비니탈리 본문

Le Sparkling Star più votate a Vinitaly 2022 - Vinibuoni d'Italia






- VIVINO 비비노



작가의 이전글 술로 인생이 망해가는 과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