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애증의 그녀 주란이

식집사의 에피소드

   

그녀를 버렸다. 포기했다고 해야 하나?  나와 함께 한지 얼마나 되었는지 헤아릴 수도 없다. 15년은 족히 넘은 듯하다. 잎사귀 두 개의 줄기가 새끼손가락 굵기도 안 되는 아이를 선물 받았다. 토종이고 귀한 아이라고 건네받을 때는 이름을 알았는데 선물한 사람도 나도 나중에는 이름을 잊었다. 난종류겠거니, 아니 토종산세베리아라고 했던가.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지인은 서너 명에게 그 아이를 선물했는데 다 죽고 나만 그 아이를 키우고 있다 했다.      


그 아이는 좀 까다로웠다.  햇빛을 쬐라고 노지에 내놓으면 잎이 타버리고 물 주는 시기도 맞추기 힘들었다. 떡잎이 진 겉잎을 떼고 나면 속에서 파처럼 잎이 나왔다. 잎의 개수가 늘어나다가도 관리를 잘못하면 제일 바깥쪽잎이 노래진다. 노래진 잎을 떼내고 나면 속에서 다시 잎이 나온다. 그러기를 여러 해 반복하다 보니 줄기가 제법 굵어져서 지금은 오백 원 동전 보다 굵다.    

            

그녀의 이름은 문주란이다. 문주란은 수선화과의 여려해 살이 풀이다. 주로 아열대 지방에서 서식하는 구근식물인데 세계적으로 130여 개의 품종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제주도 토끼섬에  자생지가 있고 이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향기가 좋다. 꽃은 오래가지 않고 3-4일 내에 시든다. 꽃이 시들고 나면 열매를 맺어 씨앗으로 번식도 가능하다. 


               

나의 문주란은 7년 전쯤 한번 꽃을 피워주었다. 그제야 검색을 해보고 문주란인 것을 알았다. 예쁘지도 않고 잘 자라지 않아도 그저 살아있기에 물을 주고 볕을 주었다. 꽃이 피고 나니 미안한 생각이 들었다. 좀 더 정성껏 돌볼걸. 그 후로는 아직 꽃을 한 번도 피우지 않았다. 환경이 잘 맞지 않는지 여느 때처럼 잎이 6-7장 정도 되었다가 몇 개가 시들어 떼내고 했다.        

        

꽃이핀 문주란

그러다 갑자기 잎에 벌레가 꼬인 게 보였고 현관밖으로 격리를 시켰는데 초록이었던 잎들도 다 누렇게 변해버렸다. 벌레가 무엇인지 보기도 싫었다. 일단 내가 아는 흔한 벌레는 아니었다.  온실가루이, 진딧물, 뿌리파리, 응애도 아닌 먼지처럼 작은 검은 점이 기어 다녔다. 딱 포기하고 싶었다. 버리기로 맘먹고 아파트 화단으로 가서 화분을 엎었다. 헉! 뿌리가 너무 멀쩡해서 깜짝 놀랐다. 그래도 맘 다잡고 버리고 왔다.     

          

버려진 문주란, 파 아니에요

이틀이 지난 뒤 문주란 생각이 났다. 퇴근길에 가보니 아직도 뿌리가 멀쩡하다.  죄책감이 들었다. 다시 집으로 데리고 와 뿌리를 좀 정리하고 토분에 다시 심어주었다. 잎이 말라버린 줄기 끝은  잘랐다. 그 안에서 새순이 또 자라 주리라.               


다시 데려온 문주란, 파 아님
벌써 속에서 잎이 자라고 있는 문주란. 역시 대파 아님


식물이 병이 드는 경우는 과습이나 통풍불량이 제일 많다. 아마도 나의 문주란은 통풍불량으로 벌레가 꼬인 듯하다. 통풍이라는 것이 창문을 열어 놓았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를 흐르게 해 줘야 한다. 선풍기나 써큘레이터를 틀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해주면 좋다. 식물이 약하면 벌레에 노출되기 쉽다. 오래 함께 하다 보니 다른 새로운 아이들에게 신경 쓰느라 구석진 곳에 두었더니 병이 온 것이다.  일단 통풍이 잘되고 적당히 해가 드는 뒷베란다에 두었다. 더 망가지지는 않는지 매일 봐줘야 한다.     

           

아침에 눈을 뜨면 식물들부터 살핀다. 퇴근 후 베란다로 가서 물이 마른 아이는 없는지 눈으로 쭉 스캔한다. 물이 고픈 아이가 있으면 옷도 갈아입지 않은 채 물을 주고 있다. 시든 잎을 정리해 주고 영양이 부족한 것 같으면 영양제를 준다. 가끔 귀찮을 때도 있다. 다 버려버릴까 싶을 때도 있다. 그러나 초록은 나에게 마음의 안식과 평안을 준다. 식물을 돌볼 때가 가장 행복하다. 이 아이들이 자라기 좋은 환경으로 어서 이사 가고 싶다. 각자 적재적소에 알맞게 심어놓고 자라는 모습을 보고 싶다. 아름다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막내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시골로 이사를 가리라. 삼 년만 참으면 되는데 시간이 참 더디다.

매거진의 이전글 오늘의 꽃 거베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