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이력서와 영국의 CV의 차이점은?
구직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은 뭘까? 바로 이력서 쓰기다. 영국에서는 이력서를 CV라고 부르는데, 이는 Curriculum Vitae의 약자이다. “Course of Life”라는 뜻을 지닌 이 라틴어 단어는 한국어로 번역하면 “삶의 과정”이다. 내 삶의 과정을 A4용지 종이 한두 장 안에 다 담아야 한다니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더군다나 첫 직장에서 3년 반 동안 이직 시도 한 번 해보지 않았으니 이력서도 업데이트가 안 된 지 오래였다. 4년 만에 이력서를 쓰려고 책상 앞에 앉으니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했다.
영국의 CV는 정해진 형식 없이 자유롭게 작성하면 된다. CV 예제를 검색해 보면 여러 스타일의 템플릿을 찾을 수 있으니, 그중 마음에 드는 걸 골라서 사용하면 된다. 공통으로 기입해야 하는 정보는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 최종 학력과 전공과목, 그리고 이전 직장에서 지금까지 했던 업무 경력이다. 관련 교육을 받았거나 자격증을 땄다면 그것도 기재하면 좋다. 여기까지는 한국의 이력서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의 이력서와 다른 점은 영국의 CV에는 일과 관련 없는 정보는 넣을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한국에서 이력서에 흔히 넣는 지원자의 사진이나 가족 관계는 영국의 CV에서는 보기 어렵다. 오히려 이런 쓸데없는 걸 기재하면 이력서를 읽는 쪽에서 이상하게 생각할 정도다. 다시 생각해보니 한국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넣었던 증명사진과 가족 관계 항목이 왜 회사 지원에 필요한지 전혀 이해가 가지 않았다.
한국에서 골머리를 썩였던 자소서도 영국에서는 굳이 작성할 필요가 없다. 짧은 분량의 Cover Letter(편지 형식으로 자신의 경력을 설명하는 글)를 자율적으로 내도 되지만, 어디까지나 선택적인 항목이며 한국의 자소서처럼 주제가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다. 영국의 CV는 그저 군더더기 없이 자신의 기본 정보와 경력을 기재하는 곳이다. 일과 관련 없는 내용도 적어야 하는 한국의 이력서보다는 훨씬 깔끔해 보인다.
1. 중요한 내용만 선별해서 적기.
채용 담당자는 하루에도 수십 통이 넘는 이력서를 읽는다. 지원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한 일을 최대한 많이 적어 내가 이렇게 다양한 일을 했다는 걸 어필하고 싶겠지만, 필요 이상으로 긴 이력서는 읽는 사람을 지루하게 해서 오히려 역효과를 내기 십상이다. 좋은 CV를 쓰기 위해서는 본인의 경력 중 가장 중요한 것들을 선별하여 몇 줄 안에 임팩트 있게 담아야 한다. CV 분량은 지원자의 경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1~2장 이내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LinkedIn 활용하기.
자신이 한 일 중 어떤 경력이 가장 중요한 지 선별하기 어렵다면, LinkedIn을 활용해 보자. LinkedIn은 커리어 포트폴리오, 네트워킹, 구직 및 구인을 위해 사용되는 플랫폼이다. 여기서 대표적으로 참고할 만한 것은 채용 공고와 다른 지원자의 프로필이다.
여러 채용 공고를 보다 보면 어느 정도 패턴이 보인다. 그 패턴을 찾아 자신의 이력서에 응용하는 게 포인트다. 많은 회사에서 요구하는 기술을 활용해서 일한 경험을 이력서에 기재하고, 이들이 선호하는 인재상을 참고하여 이력서의 톤 앤 매너를 정돈하자. 정말 가고 싶은 회사가 있다면 그 회사에 맞게 더 커스터마이징을 해도 좋다. 이렇게 맞춤 수선된 이력서를 읽는 채용 담당자는 마치 그 회사에 딱 맞는 지원자를 찾은 듯한 느낌을 받을 것이다.
채용 공고에서도 충분한 힌트를 얻지 못했다면, 비슷한 경력을 가진 다른 지원자의 프로필을 참고하는 방법도 있다. 보통 LinkedIn 프로필에는 사용자들이 본인의 경력을 상세하게 올려놓기 때문에, 이를 공개적인 이력서 창고라고 봐도 무방하다. 여기서 간단한 검색을 통해 같은 직군의 지원자들의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고, 이들이 어떤 이력을 주로 기재했는지 참고하여 영감을 얻을 수 있다.
3. 영문 완성도 높이기.
아무리 CV에 기재된 경력이 탄탄해도 그 본질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다. CV는 결국 영어로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영문 완성도를 높여야만 내용을 온전히 담을 수 있다. 스펠링 실수를 하거나 문법을 틀리지 않기 위해서는 자동 문법 체크 툴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Grammar check tool”이라고 검색하면 여러 옵션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기계가 체크하는 것에는 어쩔 수 없는 한계가 있으니 직접 여러 번 확인하는 것은 필수다.
영어에서는 문법뿐 아니라 톤 또한 중요하다. 본인의 경력을 좀 더 임팩트 있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수동적인 느낌을 주는 동사보다는 능동적인 느낌을 주는 동사를 사용하는 게 좋다. “CV action verbs”라고 검색하면 CV에 쓰기 좋은 단어들을 찾을 수 있다.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의 사소한 차이가 전혀 다른 톤을 만들어 내기도 하니, 능동적인 느낌을 주는 단어를 잘 찾아서 자신감 있는 톤을 완성하자.
그렇게 나름 만족할 만한 CV를 완성한 후 본격적으로 구직 방법을 찾아보았다. 영국에서 주로 구직을 위해 사용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지원자가 직접 회사의 채용 공고를 보고 이력서를 첨부해 지원서를 제출하는 방식, 두 번째는 구직 플랫폼에 이력서를 올려놓으면 채용 담당자가 구직자에게 먼저 면접 요청을 하는 방식, 세 번째는 LinkedIn에 올려놓은 프로필을 보고 채용 담당자가 잠재적 구직자에게 연락해서 면접으로 이어지는 방식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방식은 얼핏 들으면 비슷해 보이지만, 구직 플랫폼은 현재 구직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인 반면에 LinkedIn은 현재 구직 상태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이용하는 플랫폼이라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구직 플랫폼에서의 면접 요청이 실제 면접으로 성사될 확률이 훨씬 높다.
빠르게 면접을 보고 일자리를 구하고 싶었던 나에게는 구직 플랫폼이 가장 괜찮은 수단으로 보였다. 그날 저녁 며칠간 열심히 작성한 이력서를 구직 플랫폼에 올렸다. 다음 날 아침부터 채용 담당자들이 내 이력서를 볼 수 있게 열람된다는 안내 메일이 왔다. 과연 내 이력서가 면접으로 이어질지 궁금해하며 설레는 마음으로 잠을 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