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문장수집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파울라 최 Feb 02. 2023

[생각에 관한 생각]
대니얼 카너먼 2011


#DanielKahneman #ThinkingFastandSlow #행동경제학 #문장수집

서문

- 편향 bias에 사로잡혀 사람과 사물을 진단하는 오류를 '후광효과halo effect'라고 하며, 이로 인해 우리는 더 쉽게 예상하고, 이해하며, 인정해버린다.

- 대부분의 생각과 인식은 정확한 이유를 모르는 상태에서, 의식적 경험을 통해 발생한다.

- 이 책의 주제는 직관의 편향이다.

- 타인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우리 자신의 판단과 선택의 오류들을 논의할 수 있도록, 좀 더 풍부하고 정확한 언어를 제공함으로써 편향을 찾아내고 이해력을 개선시키는 것이 나의 목적이다.

- 휴리스틱heuristic(고정 관념에 기초한 추론적 판단)

- '인간의 사고가 시스템적 오류에 취약하다'

- 이 책의 진짜 집필 목적은 최근 인지심리학의 발전에 근거해 사고의 작동 메커니즘을 알아보는 것이다.

- 정확한 직관의 심리학은 마술과 아무 관련이 없다......허버트 사이먼Herbert Simon "상황이 단서를 제공했다. 이 단서는 전문가가 그의 머릿속에 저장해 놓은 정보에 접근하도록 해주었다. 정보는 대답을 준다. 직관은 인식과 다르지 않다."

- 느리게 생각하기 slow thinking: 천천히 더 심사숙고하여 노력하는 사고 형식

- 빠르게 생각하기 fast thinking: 직관적 사고의 변형들......완전히 자동적인 개념과 기억의 정신 활동들

- 시스템1, 시스템2 = 직관적 사고, 이성적 사고

본문

1. 두가지 시스템 Two System

- 시스템 1: 거의 혹은 전혀 힘들이지 않고 자발적인 통제에 대한 감각없이 자동적으로 빠르게 작동한다.

- 시스템 2: 복잡한 계산을 포함해서 관심이 요구되는 노력이 필요한 정신 활동에 관심을 할당한다. 활동 주체, 선택, 집중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과 연관되어 작용하는 경우도 잦다.

- 자신이 누군지 생각해보자. 우리는 살면서 계속 선택하고, 생각하고, 또 생각해야 할 소재를 결정하는, 의식적이고 추론하는 자아reasoning self인 시스템 2와 같다......실상은 자동적인 시스템1이 이 책의 주인공이다.

- 크리스토퍼 차브리스, 대니얼 사이먼스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관찰과 적응은 시스템 1의 자동 기능이지만 적절한 자극에 어느 정도 주의력을 할당하느냐에 따라 그 기능의 능력은 매우 달라진다......우리는 명백한 것조차 못 볼 수 있으며, 자신이 못 본다는 사실을 모를 수 있다......투명 고릴라 실험은 놀라운 자극을 감지하려면 어느 정도 주의력이 필요하다는 걸 보여준다.

- 우리는 일반적으로 느낀 인상을 믿고, 자신의 바람에 따라 행동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우리에게 유익하고 양호하다.

- 시스템1은 일상의 사건 처리에 매우 뛰어나고, 낯익은 상황에 대한 시스템 모델들도 정확하다. 단기적인 예측 역시 대부분 정확하고, 도전에 대한 최초의 반응은 민첩하고 시의적절하다. 그러나 시스템1은 특정 상황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갖고 있는데, 바로 '편향'이다.

- 자동 반응과 그것을 통제하려는 의지 사이의 갈등은 일상에서 흔히 나타난다......(충동억제)시스템2가 하는 일들 중 하나는 시스템1의 충동을 억누르고 극복하는 것이다......시스템2는 자제력self-control을 책임진다.

- 뮐러리어의 도형 Muller-Lyer figure......착각 패턴을 인식하고, 그것에 대해서 아는 지식을 상기할 수 있어야 한다......시각적 착각......인지적 착각congnitive illusion......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 언제인지 파악하는 법을 배운 다음, 심각한 잘못이 일어날 확률이 높을 때 그것을 피하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 문장은 어떤 것의 성격과 그것이 갖고 있는 특징들을 묘사할 때보다 행동 주체가 하는 일을 묘사할 때 훨씬 더 이해하기 쉬워진다.

- 정식적 노력: 전속력으로 작동하는 시스템2 경험......일정한 리듬에 따라 시작하라. 맨 위에 있던 빈 카드를 뺀 다음, 보이는 네 자리 숫자를 큰 소리로 읽으라. 그리고 두 박자 쉰 다음 원래 적혀 있던 네 자리 숫자 각각에 1씩을 더한 숫자를 말하라. 카드 위에 적힌 네 자리 숫자가 5294라면 6305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때 리듬을 유지하는게 중요하다. (1더하기 게임)

- 정신적으로 전력을 다할 때 우리는 사실상 눈뜬 장님이 된다.

- 최소 노력의 법칙 law of least effort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Mihaly Csikszentmihalyi는 ......별로 애쓰지 않고도 집중하고 주의하는 상태를......'몰입(플로우,flow)'......"너무 깊게 애쓰지 않고 집중하다가 시간이나 자신이나 문제에 대한 감각을 잃는 상태"......'최상의 경험optimal experience'

- 시스템 2가 바쁘면 시스템1이 행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그 시스템1은 단 것을 좋아한다.

- 자제력에는 주의와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이다......생각과 행동의 통제는 시스템2가 수행하는 여러 과제 중 하나이다.

- '자아 고갈 ego depletion'...감정적 반응을 자제하도록 지시를 받은 피험자들은 이후 점점 더 힘든 것을 참아내면서 악력계를 얼마나 오랫동안 꽉 잡고 있을 수 있는지......결과가 좋지 않다.

-지능, 통제, 합리성

- '연상적 활성화associative activation'......단어가 기억을 떠올리고, 기억은 감정을 유발하며, 감정은 다시 얼굴 표정과 일반적인 흥분과 회피 경향 같은 다른 반응들을 일으킨다......생각의 연상association of ideas......우리는 모두 과거의 경험을 통해서 여러 생각이 우리의 의식적 사고 속에서 질서정연한 방법으로 잇따라 발생한다는 것을 안다.

- <인간 오성에 관한 탐구 An Enquiry Concering Human Understanding>데이비드 흄......유사함, 시간과 공간의 인접성, 인과관계

- 심리학자들은 생각을 각 생각이 다른 많은 생각들과 연결되는, 일명 연상 기억이라는 광범위한 네트워크 내의 교점node으로 간주한다.

- eat-> so_p, wash-> so_p 시각적으로 먼저 제시된 단어가 나중에 제시된 단어의 처리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점화효과priming effect'라고 한다.

-

2. 휴리스틱과 편향 Heuristics and Biases

3. 과신 Overconfidence

4. 선택 Choice

5. 두 자아 Two Selves

매거진의 이전글 [갤러리스트] 카탈로그 레조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