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오래전에 재직했던 회사의 초창기 멤버에서 주식상장까지 경험해봤기에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진 않았다.
그곳이 학벌이 뛰어난 집단도 아니었고 실력이 뛰어난 사람만 있지도 않았지만 서로의 시너지가 좋았다.
성과도 잘 나왔고 덕분에 운도 따라줬던것 같다.
그때의 동료들은 대표이사의 눈치를 본다거나, 대표이사의 명령이나 일방적인 의사소통도 없었다. 서로가 동료이고 평가자였다. 각자의 역할에 충실했고 제품은 우리의 결정으로 시행착오도 우리의 선택으로 진행됬었다.
전사 직원 면담까지 진행했지만 결론은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았다.
이들 대부분은 성공적인 경험의 짜릿한 맛을 계속 모를수도 있을거라고 본다.
하나 같이 떠먹여 주길 기다리거나 나무 밑에서 감떨어지길 기다리고 있어서
스스로 무언가를 시도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episode 1 무능한 직원 만들기
이들은 단단히 착각하고 있었다.
아무것도 모르는 본인이 회사에 들어가서 상급자를 만나면
그가 담임선생님처럼 모든것을 챙겨주고 아낌없이 지식을 머릿속에 각인시켜 줄거라고 착각했다.
그리고 그걸 당당하게 요구했다.
이것도 어이없지만 그 꼴이 아니꼬워서 경력자가 있어도 그 당당요구 직원에게 아무것도 가르쳐주려 하지 않았다. 그 경력자가 정치를 잘 하는 사람인거다.
당당요구 직원의 일을 가져가서 본인이 다 소화하고 생색내며 중요한 사람으로 자연스럽게 각인시키고
당당요구 직원을 더욱 무능하게 만드는거다.
이 방법은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원론적으로는 수평조직에서 사수가 어딨고 상사가 어딨겠는가? 각자 알아서 해야지
신입들은 뭣도 모르고 좋다고 스타트업에 들어오는데 사실 본인들에게 더 불리한 환경인건 잘 모른다.
여긴 주니어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이들이 단단히 착각하고 있는게 있다.
상사 혹은 사수가 업무지식을 알려주는거 당연한거 아니고 호의임을 몰랐다.
이들은 꿈의 스승같은게 그냥 공짜로 널린줄 알았다.
직장이라는 곳이 업무 프로세스와 사내 시스템 안내 정도는 알려줄 수 있지만 핵심기술은 본인이 알아서 하는거다. 학교가 아니다. 모르면 본인이 찾아야 하고 교수님처럼 기초지식을 주거나 하는 일도 없다.
하물며, 아쉬운게 본인인데 비위맞추고 잘보여도 귀찮아서 해줄까 말까 싶은데
무슨 맡겨놓은 돈내놓아라는 심보로 요구하면 누가 들어주고싶겠는가?
게다가 주니어를 가르쳐 줄 수 있는 직원이 있다면 애초에 주니어를 뽑지 않았을거다.
자신들의 욕망에 사로잡혀 급여를 지급하고 운영비를 계산해야 하는 대표이사의 입장은 고려하지 못했다.
이런 불만을 굳이 포장하면 이런 주니어를 뽑은게 원년멤버다. 원년멤버가 내팽개친 주니어를 경력자가 떠안게 된거다. 원년멤버님은 이쯤되면 빌런임이 분명하다.
지가 주니어 뽑아놓고 방치한거는 맞다.
episode 2 심리조종
나는 진정성있는 동료의식과 진지한 성과에 대한 기대를 모두 내려놨다.
어차피 이들도 나를 이용하려고 들뿐 나에겐 도움이 되지 않았고 실익이 없다면 에너지를 쓸 필요도 없었다.
내게서 최소한의 인류애도 사라졌다.
성실한 직원 몇명을 제외하고
회사(대표이사)와 직원들은 교묘하게 자신들의 욕망이 이끄는 방향으로 이득을 챙겨보려는
치열한 심리싸움을 하고 있었다. 명분이나 꼬투리를 잡으려고 서로 혈안이 되어 있었다.
이를 바득바득 가는 사람, 뒤에서 부채질하는 사람, 들어올 공격에 대한 방어 시나리오를 짜는 사람
그리고 철밥통이라 그런 진흙탕싸움에 끼지 않아도 되는 유유자적한 태도의 직원도 있었다.
심리분야에 관심이 많은 나로써는 이렇게 뻔히 보이는 싸움을 왜 이렇게 진지하게 하는건지 의아했다.
마치 어린아이들이 부루마블을 하면서 서로 세상 무너지듯 울고 다 가진것처럼 웃는걸 보는 기분이었다.
이론으로만 알고 있던 상황이나 심리용어들을 현실에서 옵저버로 목격하게 될줄이야......
그들은 대표이사와 비전을 함께 하는 사람들이 아니었다.
적당히 요구 들어주고 본인이 하고 싶은 것들을 여기서 해볼 수 있을 거란 동상이몽을 하고 있었다.
실패해도 본인은 손해볼게 없고 경험은 쌓게 되는거니까!
각자의 계산속이 치열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대표이사는 직원들이 놀고 있다고 생각하고 야근과 주말출근을 하는 직원을 거론하며 비교하고 있었다. 코로나 이슈로 인한 재택근무를 없애기 위한 명분을 찾으려 했고 이 얘기는 내게도 한두번쯤 물었었다. 나는 딱히 할말도 없었다. 듣고 싶은 대답이 정해진 질문이었고 시스템의 부재 인한 부수적인 문제들이 이것뿐만 아니라 모든것에 있었으며 내가 직접 본게 아니면 함부로 거론해서도 안되는 사안이었다.
직원들은 회사 프로젝트가 본인에게 도움되는, 원하는 걸 하려고 했다. 애당초 각자의 욕망은 너무 결이 달라서 한 프로젝트로는 모아질 수 없었다.
총애를 받는 어떤 직원은 이런 대표이사를 적당히 구워 삶을 수 있을거라 생각했다.
내가 보기엔 어림없어 보이는데 말이다.
자기 욕망이 전부인 사람이 남의 바램을 들어줄리가없는데......
월급 주는 사람들 계산속이 얼마나 빠르며 손익계산을 수시로 하고있는데 왜 모르나 싶었다.
어쩌면 그 직원을 회유하려고 대표이사가 가끔은 들어줄 듯 희망고문성 발언을 했을지도 모른다.
그들의 자세한 이해관계는모르지만 어쨋든 계산기 두드려보니 여기 있는게 더 이득이다 싶으니 잔류하는거겠지.
대표이사는 일관성이 전혀 없는 사람이었다.
그리고 사업을 진지하게 할 마음이 없다.
연구비조로 눈먼 정부돈을 타오는건 쉽고,
제법 잘 타와서 운영비는 충분했기에
상업적 성공을 거둬야 한다는 열망과 동기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
배를 곪아 본적이 없다.
살만하니 귀찮고 피곤한건 피하려고 들었다.
스타트업의 수명은 짧다. 나는 초조해질수밖에 없었다.
그러다가도 어느날은 잘나가는 스타트업 대표이사가 되고 싶은 기분에 들떠 직원들을 닥달하고 열심히 지시를 하다가
문제가 생기면 귀찮다는듯 금새 다른 직원들에게 떠넘기곤 했다. 그리고 시간이 좀 지나면 그 문제가 발생한건 그사람의 책임인 것으로 몰아갔다.
직원들은 이런 일에 이미 익숙해져서 말만 나와도 진저리를 쳤다.
본인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일부 직원에 한해서 눈치보고 맞춰주는것도 아쉬워서 그러는것뿐
대체가능한 사람이 나타나면 어떤 변덕을 부릴지는 모를일이었다.
아는지 모르는지 알 수 없지만 이런 특별대우가 싫지 않은 일부 직원들은 조용히 그걸 이용하고 있었다.
그것조차 할 수 없는 직원들은 이제 월급루팡 모드에 돌입했다.
환멸감을 느끼지만 이직이 뜻대로 안되는 직원들은 그동안의 박탈감과 반감이 결합해 나만 손해볼수 없지 라는 결론에 도달한거다.
치열한 그들만의 눈치싸움과 심리조종의 시도는 끝없이 반복되었다.
episode 3 동상이몽
아는만큼 보인다 했던가
어느 조직이건 이런 특성은 있더라.
그 사람의 실력과는 별개로 권력자가 해왔던 업무에 힘이 실리는건 어느 조직이나 비슷한것 같다.
다들 지가 해본일이 제일 중요하다고 말한다.
임원들이야 예산 싸움이라 니가 중하네 내가 중하네 정치싸움 할 수 있다고 해도 여긴 실익도 없는 눈치싸움만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