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KN May 23. 2022

NFT 커뮤니티원 한 명의 금전적 가치는 얼마일까?

NFT 커뮤니티와 ARPU


ARPU의 중요성


페이스북의 실적 발표에서 사람들이 가장 주목하는 수치 중 하나는 바로 ARPU이다. ARPU는 Average revenue per user의 약자로, 말 그래도 유저 한 명이 얼마만큼의 매출을 일으키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결국 페이스북을 비롯한 SNS 서비스들의 총 매출은 유저 수 * ARPU이기 때문에 유저 수만큼이나 ARPU에 주가가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NFT 커뮤니티의 ARPU는?


아이템 수, 홀더 수, 바닥가, 역대 거래량으로만 NFT 커뮤니티를 평가하기는 부족하다

NFT 프로젝트들이 분명 커뮤니티를 넘어서 하나의 브랜드 및 IP로 확장되고 있는 것은 맞다. 하지만 여전히 커뮤니티의 힘은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필자는 커뮤니티라는 무형의 자산을 어떻게 하면 ARPU와 같이 수치화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항상 해왔다. 홀더 수, Floor Price, 디스코드 가입자 수와 같은 수치들은 너무 단순하며, 직접적으로 커뮤니티의 가치를 대표할 수 있는 값들이 아니다.

따라서 NFT 커뮤니티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기 위해서 필자는 Average revenue per community member, ARPCM의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ARPCM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ARPCM = 1년동안 해당 프로젝트의 2차 거래 수수료 / 디스코드 가입자 수 (혹은 트위터 팔로워 수)


지금 당장 위의 식만 봐서는 어떤 과정을 거쳐서 해당 수치에 도달했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가정들과 계산 과정들을 지금부터 설명하도록 하겠다.




주요 가정


ARPCM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일단 다음과 같은 가정들을 설정하였다.


1. NFT 프로젝트의 매출은 2차 거래 수수료에서 나오는 것을 가정


ARPCM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일단 NFT 프로젝트들의 매출을 계산해야할 필요가 있다. NFT 프로젝트들의 경우, 최초 판매로도 적지 않은 수입을 올리지만 사실 주 수입원은 2차 거래 수수료이다. BAYC를 만든 유가 랩스의 경우 작년 Net Revenue인 $127M의 84%인 $107M을 2차 거래 수수료로 벌었다.


또, 최초 판매 수익의 경우는 프로젝트마다 발매 방식과 가격이 너무 달라서 ARPCM에 대입해서 계산하기 힘들다. 반면 2차 거래 수수료는 그 추적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해당 수치를 바로 찾아서 대입할 수 있다. 따라서 NFT 커뮤니티의 매출을 산정할 때 최초 판매 수익은 제외하고 2차 거래 수수료만을 반영하여 프로젝트들끼리의 비교를 진행하였다.


2. NFT 프로젝트의 2차 거래를 일으키는 주체들은 해당 프로젝트의 디스코드 채널에 가입되어 있거나 트위터에서 팔로우 중이다.


NFT 프로젝트들이 커뮤니티원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채널이 바로 디스코드와 트위터이다. 따라서 해당 프로젝트의 디스코드 및 트위터를 팔로우하고 있는 인원들을 해당 프로젝트 2차 거래의 (잠재적) 소비자로 가정하였다. 상식적으로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에 이르는 NFT를 구매하면서 해당 프로젝트의 디스코드 및 트위터를 팔로우하지 않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3. 해당 계산이 이루어진 날짜는 2022년 2월 21일이며 이더리움의 가격은 $3000으로 가정하였다.


원래라면 해당 글을 더 일찍 업로드 했어야 하는데 필자의 게으름으로 인하여 너무 늦어지고 말았다.




계산 과정


RTFKT, Yuga Labs, Azuki 총 3가지 프로젝트의 SNS 채널별 ARPCM을 구해보았다. 그 중에서 RTFKT의 ARPCM을 구하는 과정을 예시로 계산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일단 RTKFT에서 진행하는 모든 NFT 프로젝트들(Clone X, Punk Project, Space Drip 등)을 리스트업 하였다


2. 지금까지 해당 프로젝트들의 2차 거래 금액을 검색하였다 (Volume Traded)


3. 출시일로부터 지금까지의 시간(Time passed since launch)을 구하였다.


4. 3번의 수치로 2번의 수치를 나누어서 각 프로젝트들의 일평균 거래 금액을 구하였다 (Daily Trading Volume)


5. Daily Trading Volume에 각 프로젝트가 수취하는 Royalty fee(보통 5% 내외)를 곱하여 각 프로젝트들이 벌어들이는 하루 수익(Daily Revenue Generated)를 구하였다.


6. Daily Revenue Generated에 365를 곱해서 1년 동안의 수익을 구하고, 이를 디스코드 혹은 트위터 유저 수로 나누어서 ARPCM을 계산하였다.


1) RTFKT

계산 과정 1~5에 해당
계산 과정 6에 해당 (결론)

결론적으로 우리는 RTFKT의 공식 디스코드에 가입되어 있는 멤버 1명이 1년 동안 해당 프로젝트에 벌어다주는 돈이 $644.91달러라는 것을 계산할 수 있다. 또, RTFKT의 공식 트위터를 팔로우하는 팔로워 1명이 1년에 $349.32달러의 수익을 가져다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Yuga Labs와 Azuki의 SNS 채널별 ARPCM을 계산해보았다


2) Yuga Labs

Yuga Labs 프로젝트들의 Daily Revenue Generated
Yuga Labs의 SNS 채널별 ARPCM


3) Azuki

Azuki의 Daily Revenue Generated
Azuki의 SNS 채널별 ARPCM




결론


우선 위의 계산에는 하나의 큰 결점이 존재한다. 바로 같은 브랜드의 두 가지 SNS 채널 모두를 구독하고 있는 인원들이 많을 것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서, 필자는 실제로 BAYC의 디스코드에도 가입되어 있고 공식 트위터도 팔로우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같은 프로젝트 내에서 중복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같은 브랜드의 디스코드 ARPCM과 트위터 ARPCM을 비교하는 것을 의미가 없다. 해당 수치를 제대로 분석하려면 서로 다른 브랜드의 같은 SNS 채널의 ARPCM을 비교해야 한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브랜드 간 ARPCM 비교

먼저 디스코드 ARPCM을 보면 Azuki가 $1956으로 가장 높고 RTFKT가 $644로 가장 낮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트위터 ARPCM은 $806으로 Azuki가 가장 높고 Yuga Labs가 $247로 가장 낮다. 이렇듯 Azuki가 모든 수치에서 가장 높았던 이유는 프로젝트 자체의 인기도 있겠지만 해당 계산을 진행할 당시(2022년 2월)가 프로젝트 런칭 이후 1달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거래가 매우 활발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위의 표에서 RTFKT와 Yuga Labs의 수치만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 위의 표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성공한 프로젝트의 디스코드 가입자 한 명이 1년당 벌어다주는 수익(ARPCM)은 평균 $800 정도이다.


2) 성공한 프로젝트의 트위터 팔로워 한 명이 1년당 벌어다주는 수익(ARPCM)은 평균 $300 정도이다.


3) 해당 수치들은 2021년 페이스북의 전세계 ARPU인 $11.57과 비교했을 때 압도적으로 높으며, 페이스북의 북미 ARPU인 $60.57보다도 월등히 높다.


4) 우리는 이것을 통해 현재의 NFT 프로젝트 비즈니스가 페이스북과 같이 만인이 사용하는 하나의 IT 서비스를 만드는 개념이 아니라, 루이비통 혹은 샤넬처럼 소수의 부자들을 위한 일종의 VIP 멤버십을 만드는 사업에 가깝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으로 계산한 ARPCM은 페이스북의 ARPU처럼 정밀하고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값은 아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NFT 프로젝트를 평가하는 제대로 된 지표가 없는 시점에서 하나의 참고적인 수치가 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구매자 입장에서는 내가 구매하려는 NFT 프로젝트의 커뮤니티가 얼마나 강력한지 간접적으로나마 볼 수 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팀 입장에서는 디스코드 혹은 트위터 팔로워 한 명을 늘리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마케팅비를 투입하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NFT는 커뮤니티 이상이다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