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독서 리뷰
라이킷 9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미라클레터, 돈이 늘어나는 다섯 가지 법칙은?


미라클레터, 돈이 늘어나는 다섯 가직 법칙미라클레터, 돈이 늘어나는 다섯 가직 법칙



미라클레터는 매일경제가 보내는 프리미엄 무료 뉴스레터예요. 동기부여만 엄선하고 업데이트해서 책을 엮었는데요. 바로 이 책이죠.


여러 가지 챕터 중 돈이 늘어나는 5가지 법칙을 소개하려고 해요. 저도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데 아주 공감이 가요.


1. 잃지 않기



첫째, 돈을 잃지 마라,

둘째, 첫 번째 규칙을 잊지 마라

-워렌 버핏-


공격보다 수비가 10배 이상 중요하다

-폴 튜더 존스-

247P



50%의 손실을 보고, 50% 회복을 보더라도 결국 본전이 아니라 손실입니다. 투자 기회를 상실했으니까요. 투자에서는 잃지 않는 게 중요하고 욕심을 부리다가 원금까지 손실을 보고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원칙을 세우고 돈을 잃지 않는 전략을 세우는 게 중요하죠.



세븐 스플릿저자박성현출판액티브발매2024.03.20.세븐 스플릿저자박성현출판액티브발매2024.03.20.


        

박성현 작가의 세븐 스플릿 방법으로 큰 수익은 아니더라도 저는 원금을 잃지 않는 투자 전략으로 수익을 보고 있어요.



2. 고수익-저위험을 찾는다


당연한 이야기겠죠. 보상과 위험을 철저히 따지라고 합니다. 헤지 펀드인 튜더인베스트먼트를 창업한 폴 튜더 존스는 늘 5:1의 공식을 유지한대요.


책에서 예가 나왔는데요. 승률이 1/5이고  보상은 5배라는 게임이 있어요. 100만 원씩 5회 게임할 수 있고

500만 원이 있어요. 운이 안 좋아 4번 실패해도 마지막 100만 원은 5배 500이 된다네요. 


최소한 원금을 날리지 않는 걸 여기서도 중요하게 여기네요. 5회 다 실패할 수도 있지 않을까 걱정도 되네요.ㅎㅎ



3. 복리의 마술을 일으켜라


복리의 마술 아시죠?

1억 원 복리 이자 2%~20% 10년씩 넣어둔다면?

단리와 비교해서 얼마나 차이가 있을까요?


책에는 없지만 제가 표로 만들어봤어요.



단리와 복리 비교단리와 복리 비교



어마어마한 차이가 나죠. 복리의 마술입니다. 예금한다면 단리, 복리 따져봐야겠지요.



4. 사이클을 파악해 올라타라


레이달리오의 투자 방법을 책에서 소개했는데요. 안정적인 수익 방법으로 유명하죠. 위기에서는 잃지 않는 방법으로 경기에 따라 전 세계 금리, 채권수익률, 채권 가격, 주가지수, 환율,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등 복합적인 것들이 상호작용하죠.(250p)


사이클에 맞춰서 계란을 옮겨 담는 방법이에요. 개인투자자라면 


30%는 S&P 500 지수와 같은 주식 

15%는 미국 중기채(7~10년 물)

40%는 미국 장기채(20~25년 물)

5%는 금(인플레이션 헤지)

5%는 원자재(인플레이션 헤지)



이렇게 사이클(정보의 중요성)에 따라 계란(주식)을 옮겨 다니면서 수익을 극대화, 손실을 최소화하는 전략이에요.



*인플레이션 헤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투자 수익의 감소를 완화하거나 방지 위한 방법)

고수들은 위험을 항상 대비하죠. 최근 읽은 채근담에서도 일류의 조건에서도 말하더군요.



5. 자본주의는 선착순이다


정보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어요. 특히 신문이요. 신문 1장이 책 1권 분량이래요. 저도 매일 신문을 읽고 있어요. 투자하는 사람이라면 필수죠. 신문 읽는 방법을 소개하네요.




1면부터 6면까지는 앞장부터 그리고 왼쪽 위부터 읽기. 7면부터는  큰 제목과 부제를 훑어 읽기.

모두에게 중요한 것은 기사와 나에게 중요할 것 같은 기사가 눈에 들어오면 해당 내용 정독

255p



저는 헤드라인과 부제 위주로 훑어읽으면서 큰 흐름을 읽고 경제 흐름, 경제 뉴스 중 제가 투자하고 있거나 새로운 이슈가 있는지 살펴보면서 읽어요. 


투자하고 있는 주식에 해당하는 뉴스는 정독하죠. 관심 있는 다음 주식 대상도 정독하고요. 느린 생각을 반복 연습하자(255p)


이 책에서도 뉴스를 보고 다음은 어떻게 될까? 생각하며 읽으라고 합니다. 전쟁, 미국 대통령 선거 같은 큰 뉴스도 꼭 읽어야 하고요. 투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니까요. 우크라이나, 러시아가 휴전을 하면 어떤 나라가, 어떤 기업이 혜택을 볼까, 어느 기업이 재건에 나서게 될까, 어떤 산업이 필요할까 등등을 미루어서

질문하고 생각하고 자료를 찾아봅니다. 


어느 한 주식이 오르면 그와 연관된 주식은 무엇이 있을까? 어떤 재료가 필요할까? 연관 지어 생각하면서 통찰을 하려고 합니다. 왜 이게 이슈가 되었는지, 얼마나 오래갈 것인지도 생각해 보죠. 


이 주식이 올랐다면 연관 지어 오르지 않은 주식도 찾아봐요. 연관성이 있다면 곧 오를 가능성이 있죠. 투자, 경제야말로 생각의 힘, 통찰이 필요하더군요. 


독서를 통한 사고력, 질문 능력, 문해력, 철학 등이 아주 도움이 된다는 것을 경험하고 있어요. 이상으로 돈이 늘어나는 5가지 법칙을 알아봤는데요. 저도 더 경제 투자 원칙을 세우게 되는 부분이었어요. 


          






매거진의 이전글 건너가는 자와 데미안을 같이 읽었을 때 같은 내용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