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크렘베어 Jul 29. 2022

아몬드를 먹으려면 껍질을 깨야 한다

casser le noyau pour avoir l'amande

아몬드를 먹으려면 껍질을 깨야 한다
(Il faut casser le noyau pour avoir l'amande).
 


아몬드의 껍질을 본 적이 있는가?

필자는 프랑스에서 실수로 껍질째인 아몬드를 산 적이 있는데, 장도리로 깨느라 고생한 기억이 있다.


딱딱한 껍질을 깨는 노력이 있어야 결실을 얻는다는 뜻의 이 문장은 로마의 극작가 플라우투스의 희곡 <쿠르쿨리오>에 등장하는 대사 "Qui e nuce nucleum esse vult, frangat nucem(씨앗을 먹으려는 자는 그 껍질을 깨야 한다)"에서 유래된 듯하다.


껍질을 깨지 않은 아몬드. 출처 : pixabay


아멍디에(Amandiers), 즉 아몬드나무는 남부 유럽에서 흔히 자라는 나무였으나, 프랑스인들이 아몬드 씨를 먹기 시작한 건 중세부터였다고 전해진다. 물론 기원전 이집트에서는 파라오에게 바치는 빵 속에 넣었다고도 하고, 스위스에는 11세기에 이미 아라비아에서 넘어온 아몬드 쿠키가 있었다.


아몬드 식문화는 남부 유럽에서 프랑스로 수입되었다. 16세기 무렵 이탈리아의 카트린 드 메디시스(카테리나 데 메디치 : Catherine de Medicis)가 프랑스 부르봉 가의 앙리 2세에게 시집 올 때 이탈리안 마카롱(maccherone)을 가져온 일화는 유명하다.


나멍디에(Namandier). 출처 : ©BonBecBohème.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에서 유래된 나멍디에(Namandier)라는 프랑스 아몬드빵도 있다. '갸또 드 쌍자크(Gâteau de Saint-Jacques)'라고도 부르는데, '산티아고 순례길'로 유명한 성 야고보 축일인 7월 25일에 만들어 먹는다.




그 많은 아몬드 껍질은 누가 다 깠을까?


적어도 20세기 초반까지 남프랑스에는 'casserie', 혹은 'cassoir'라는 견과류 껍질 까는 공방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아몬드 까기 전문 일꾼들의 99%는 여자로, 카쇠즈(casseuse)라고 불리며 아몬드 씨를 보존하되 껍질만 정확하게 깨는 기술을 가지고 하루종일 아몬드를 분리해낸다. 아몬드 산지 중 하나인 남부 프랑스의 에갈리에르(Eygalières)라는 마을에는, 30명 이상의 아몬드 까기 일꾼들이 있을 정도로 큰 공장도 존재했다. 전통 방식의 아몬드 까기 기술은 돌을 이용하는 것인데, 시간이 지날수록 전수자가 사라져 자동 소멸되었다.

전문 아몬드 까기 일꾼들은 아침 8시에 시작하여 밤 10시에 일을 마치고 하루 일하면 20수우 정도를 받을 수 있었다. 20세기 초반에 빵 1kg 당 4수우였던 것을 생각하면 뭔가 익숙하면서도 눈물이 난다......


에갈리에르 지방의 아몬드 까기 일꾼들(1963). 출처 : Arts et traditions populaires.


우리는 혹시 아몬드에 껍질이 있다는 사실은 까맣게 모른 채 아몬드 씨만 쏙 빼 먹는 괘씸한 현대인은 아닐까? 아브락사스의 새 역시 껍질을 깨고 나오는 존재다. 날로 먹는 일은 아몬드 속처럼 달콤하지만, 누군가가 내 대신 껍질을 까는 수고를 했다는 사실은 꼭 기억하자.





참고자료 :

DE LA RÉCOLTE AU CASSAGE DES AMANDES EN ALPILLES ET CRAU: (particulièrement à Eygalières, B.-du-Rh.). Arts et traditions populaires, 17e Année, No. 1/2 (Janvier-Juin 1969), pp. 55-93. https://www.jstor.org/stable/pdf/41001511.pdf?casa_token=5ALkft6JGJUAAAAA:gsANjRWkF5VXXyzN_92oVAkRbApFa1sHhHT7G1AOYuy5vd8CfH4rdyJT1ArEDJKBNq5XZSeqe4HUpxyY-yopeE4AdZtuUgqHBy3wpGrnaqmda3ibKlxIiA 

http://bonbecboheme.fr/amande-made-in-france-terroir-christelle-zamora-reportage/ 

매거진의 이전글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