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상은 Jul 21. 2023

<단지 세상의 끝>


난 널 이해 못 해


만약 누가 이렇게 말한다면 어떨 거 같아,라고 친구들에게 물었다. 슬플 거 같아. 아무렇지 않을 거 같아. 이제는 만나지 말자는 것 같아. 누가 이해해 달랬나. 어쩌라는 거야 까지. 나 또한 누군가 나에게 저 말을 한다면 아마 ‘우리 서로 그만 노력하자’라는 의미로 받아들였을 것 같다. <단지 세상의 끝>을 보기 전까지는. 


12년 만에 집에 온 루이(가스파르 울리엘 분)에게 앙투안(뱅상 카셀 분)은 시종일관 빈정대고, 쉬잔(레아 세이두 분)은 동경과 설렘을 느끼며, 엄마(나탈리 베이 분)는 루이에게 잘 보여야 된다며 막 바른 매니큐어를 분주하게 드라이기로 말린다. 가족들은 모두 각자로 보인다. 각자의 태도, 각자의 취향, 각자의 행동을 하는 사람들. 시종일관 불협화음을 내는 가족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루이를 환영하고, 원망한다. 


한 식탁에서 밥을 먹을 때도 그들은 저 하고 싶은 말만 한다. 우리네 명절날 일어나는 일이 저 멀리 프랑스에서도 일어나는 일이었다. 모두가 얘기하고 모두가 듣지 않는다. 말하는 가족들을 어색하게 쳐다만 보는 루이조차도 사실상 듣는 게 아니다. 자신이 준비한 말을 할 타이밍을 살피는 중이다. 이때 엄마가 루이와 부엌에 단둘이 있을 때 마주 보고 선언한다. 널 이해 못 해. 하지만 사랑해. 


*


환영하고 원망하며, 이해하지 못하지만 사랑한다. 이런 앞뒤 안 맞는 문장이 영화의 전체를 이룬다. 루이도 마찬가지다. 루이가 집을 떠난 이유를 영화에서 직접적으로 설명해 주지는 않지만, 가족과 루이 사이에 좁혀지지 않는 거리감에서 짐작할 수 있다. 루이가 이해받지 못했음을. 또한 루이가 12년 만에 집에 온 이유를 눈치챈 건 유일하게 가족이 아닌 카트린(마리옹 꼬띠아르 분)이니, 가족들이 루이를 가까이에 두고도 얼마나 모르고 살았을지도 짐작된다. 그렇지만 루이는 결국 가족에게 돌아갔다. 이 또한 저런 앞뒤 안 맞는 문장 같은 상황 아닌가.


나와 엄마만 해도 그렇다. 엄마는 내가 왜 해산물을 먹지 못하는지, 왜 하루에 머리를 두 번 감는지, 왜 영화를 혼자라도 보러 가는지, 밥값에 버금가는 커피는 왜 사 마시는지, 카페에 가서는 뭘 하기에 한 시간씩 앉아있는지, 사람 많은 주말에 왜 나가서 노는지, 왜 택시를 타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나 또한 엄마를 이해하지 못한다. 마트나 가게에 가면 왜 투덜대면서 깎아 달라고 하는지, 핸드크림은 사달라고 해놓고 왜 바르지 않는지, 김장은 매번 다음 해엔 안 하겠다면서 왜 또 하는지. 정말이지 우리는 서로를 이해할 수 없다. 하지만 우리는 사랑한다. 


만약 ‘이해할 수 없지만 사랑한다’는 게 이질적으로 다가온다면 반대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아마 그 반대의 문장은 ‘널 다 이해해. 그래서 사랑해’ 정도가 될 텐데, 이 문장은 말은 되지만 사랑이 느껴지지 않는다. ‘같기 때문에’ 사랑하거나 우리의 ‘같음’을 사랑한다는 것인데, 애초에 우리는 모두 다른 사람이며, 이유가 분명한 사랑이란 왠지 로맨틱하지 않다. 이해와 사랑은 어쩌면 되려 공존하지 않을 때 더 자연스러운 게 아닐까. 


결국 루이는 준비한 말을 하지 않고 떠나기로 한다. 12년 만에 온 이유도 말해주지 않고, 잘 있다가 갑자기 가족들 듣기 좋은 말을 내뱉더니 이제 그만 가봐야 한다고 한다. 가족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아쉬움을 표한다. 앙투안은 여전히 화내고, 쉬잔은 울며, 엄마는 지긋이 머리를 맞대고 깊게 쳐다본다. 루이를 이해할 수 없지만 떠나는 루이를 가족들은 어쨌든 받아들인다. 


*


<단지 세상의 끝>은 자비에 돌란 감독이 자주 다루는 주제인 ‘가족’을 다룬 영화 중 하나이고, 그의 다른 영화보다 세간의 평이 좋지는 않은 영화다. 단조로운데 답답하면서 짜증을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영화의 주제를 복기해 볼 필요가 있다. 가족. 가족이 딱 그렇지 않나. 


영화의 제목에 대해서도 얘기하고 싶다. 단지 세상의 끝. ‘세상의 끝’이라는 단어는 아득한 거리감을 연상시키며, 막바지, 막다른 길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그 앞에 붙은 ‘단지’라는 단어는 뒤의 단어가 가진 무게를 가볍게 만들어준다. 왠지 거리가 멀 뿐이지 언제든 가도 될 것처럼 말이다. 결국 그 문장은 ‘멀어 보이지만 그렇지 않은 곳’이라는 뜻처럼 다가온다. 멀어 보이지만 그렇지 않은 곳. 그곳은 집이다. 루이는 그곳에 언제든지 돌아가도 된다. 그곳에 가면, 가족이 있다. 




작가의 이전글 사랑! 해보셨습니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