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석근 Mar 17. 2024

행복은 지금 여기에   

 행복은 지금 여기에      


 행복이란 얼마나 단순하고 소박한 것인지 다시금 느꼈다. 포도주 한 잔, 군밤 한 알, 허름한 화덕, 바다 소리. 단지 그뿐이다. 그리고 지금 여기에 행복이 있음을 느끼기 위해 단순하고 소박한 마음만 있으면 된다.     


 -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에서 



 지식인인 나는 어느 날 조르바에게서 행복의 비결을 발견한다. ‘행복은 지금 여기에’ 있다.        


 지식이 머리에 가득한 지식인인 나와 머리를 비우고 온몸으로 살아가는 야성의 인간 조르바, 그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왜 지식인인 나는 항상 고뇌에 차 있는데, 야성의 인간 조르바는 항상 신명이 나 있을까?     


 우리는 그동안 뉴턴의 근대물리학을 공부해 왔다. 근대물리학은 눈에 보이는 것만 실재하는 것으로 본다.        

 근대 교육을 충실히 받은 지식인인 나는 당연히 이 세상의 물질을 실제로 존재하는 것으로 본다.      


 그런데 근대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몸을 써서 살아가는 막노동꾼 조르바는 몸의 감각이 항상 깨어 있다.     

 그는 몸으로 이 세상을 느끼고 본다. 그는 항상 몸에 충만한 에너지를 느끼며 살아간다.      


 현대 양자물리학에 의해 물질은 ‘실재’로 존재하는 것이 아님이 밝혀졌다. 실재하는 것은 물질이 아니라 에너지였다.     


 우리 눈에 물질로 보이는 것들은 실은 ‘에너지장’이었다. 에너지를 우리의 감각이 물질로 보게 되었던 것이다.     


 우리 손에 생생하게 잡히는 물질들, 그것들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고, 원자를 현미경으로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것들은 거의 텅 비어 있다.      


 그럼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 자신을 물질인 육체로만 알고 살아가야 할까? 자신이 육체가 아닌 에너지임을 온몸으로 느끼며 살아가야 할까?     


 당연히 자신을 에너지로 느끼며 살아가야 할 것이다. 자신을 육체로만 알고 살아가면 허상으로 살아가는 삶이 되어버릴 테니까.     


 육체가 자신의 전부인 줄 알고 살아가던 지식인인 나는 인생의 깊은 허무를 느끼게 된다.     


 다른 인간, 다른 삶을 찾아 나서게 된다. 그의 열망이 성공한다. 우연히 조르바를 만난 것이다.     


 그는 조르바에게서 강한 에너지를 느낀다. 나의 에너지가 깨어난다. 두 사람의 에너지의 파동이 하나로 어우러진다.     


 우리는 평소에 느낀다. 기분이 좋을 때는 몸이 떨리고 기분이 나쁠 때는 몸이 착 가라앉는다는 것을.       


 몸의 파동을 알게 된 나는 삶의 비의를 깨닫게 된다. 


 ‘행복이란 얼마나 단순하고 소박한 것인지 다시금 느꼈다. 포도주 한 잔, 군밤 한 알, 허름한 화덕, 바다 소리. 단지 그뿐이다. 그리고 지금 여기에 행복이 있음을 느끼기 위해 단순하고 소박한 마음만 있으면 된다.’     


 그러면 우리가 어떻게 하면, 단순하고 소박한 마음을 가질 수 있을까? 이 소박한 마음을 갖기 위해 원시인들은 성인식을 하고 수시로 의례 행위를 했다.     


 그럼 문명인인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머리 중심의 삶에서 몸 중심의 삶으로 바뀌어야 한다.     


 가장 쉽게 할 수 방법은 일상의 명상일 것이다. 일상의 삶에서 항상 자신의 언행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매 순간 자신의 말과 행동을 온몸의 감각으로 알아차리고 있으면, 우리는 에너지장의 상태가 된다.          


 습관적으로 말하고 행동을 하면, 육체로만 살아가게 된다. 항상 깨어 있어야 우리는 자신의 실체로 살아갈 수 있다.        



 끝내는 말로부터 달아날 수 없었다

 눈을 감아도 마찬가지였다

 이럴 줄 알았으면,

 말을 가지고 실컷 떠들고 놀 것을 그랬다     


 - 윤희상, <말의 감옥> 부분            



 언어는 삼라만상을 고정된 물질로 보게 한다. 나무는 땅 위에 서 있는 물질이 되고, 해는 하늘에 떠 있는 물질이 되고... .        


 우리는 언어를 가지고 실컷 떠들고 놀아야 한다. 그러면 삼라만상이 에너지 파동이 되는 기적이 일어난다.     

 온 세상이 춤판이 된다.                    



작가의 이전글 재능과 열정 사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