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yownangle Dec 16. 2023

EP.3 "삿포로는 겨울 말고, 여름에 가보세요"

썸네일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까마귀를 기억하며 

나에게 여행은 신포도였다. 높은 나무에 달려있는 포도를 보고, 저건 셔서 못 먹을 거라고 생각했던 여우의 마음. 꼭 나의 마음과 같았다. 대학생 때 흔한 유럽 배낭여행 한 번 가지 않았다. 친구들이 한 달만 갔다 오자고 보챘지만 그때 나는 꽤나 조급했다. 이미 휴학을 한 학기 했고, 언론고시도 1년 안에 끝을 봐야 하고, 그런 나에게 유럽은 큰 의미가 없었다. 친구들은 사진을 보내왔고 나는 이유 모를 승리감을 느끼며 미디어학부 1층 MTC에서 공부했다. 


고등학교 때는 원하는 대학에 가기 위해 모든 걸 포기했고, 대학에서는 원하는 직업을 갖기 위해 모든 걸 놓았다. 결국 다 이뤘지만 나라는 존재는 몸 한가운데 구멍이 있는 것 마냥 휘청 저렸다. 나의 영혼을 따뜻하게 덥혀줄 기억도 낭만도 없었으니까. 힘들 때 돌아볼 기억은, 일기장에 내가 남긴 몇 줄의 응원이 다였다. 끝내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하게 됐을 때 나는 모든 걸 스스로 놓고 떠났다. 


인생은 쉽지 않다. 그렇게 한가롭게 누워있게 내버려 두지 않았다. 이내 좋아하는 일을 찾았고, 또 경주마처럼 살면서 가고 싶었던 회사로 이직을 했다. 그게 작년 말이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나는 숨 쉬고 싶을 때마다 습관적으로 여행을 떠났다. 강릉으로, 제천으로, 삿포로로, 교토로, 그리고 연말에는 여수와 순천으로 갈 작정이다. 어쩌면 나 여행을 좋아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행을 떠나는 것 자체가 시간 낭비가 아니라는 걸 알았기 때문이다. 


올해 여름에 삿포로에 갔는데, 다들 겨울이 제맛이라는 곳에 여름에 가게 된 건 순전히 우연이었다. 회사 동료들과 함께 떠난 여행이었다. 큰 기대 없이 갔는데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알았다. 나는 여기를 사랑하게 되겠구나. 서울은 10분만 밖에 있어도 등에 땀이 맺힐 정도였다. 그러나 삿포로는 초가을의 선선함을 안고 있었다. 


365일 중에 고작 10일 정도만 느낄 수 있는 순간을 그곳에서 한 번 더 만난 것이다. 홋카이도 대학 식물원을 걸어 다니고, 여유롭게 온천물에 몸을 담갔다. 장염에 뱃속이 난리 났지만, 오히려 그래서 더 동네를 내 발로 만날 수 있었다. 낭만 그 자체인 겨울 삿포로도 좋지만 나에게 삿포로는 여름의 고장이었다. 


<작은 기쁨 채집 생활>이라는 책에 이런 문장이 나온다. "가만 보면 나는 늘 때가 아니라는 생각을 하며 지냈다." 비슷한 마음이었다. 지금은 일에 더 집중해야 할 때니까, 모의고사가 얼마 남지 않았으니까, 이번에도 1등을 해야 하니까. 그렇게 미루다 보니 행복은 더 멀어진 게 아닐까. 내 마음속에 죄책감을 조금 덜어내려고 한다. 일단 내 인생은 나부터 행복해야 하니까. 혹시 이 글을 읽는 당신이 행복에 주저하고 있다면, 같이 한 발만 나가보자고 말하고 싶다. 아직 나도 두렵긴 하지만 말이다. 



Series. 20대 직장인의 뿌리 찾기 프로젝트

내 안을 채우고 있는 한 가닥을 찾아보는 과정.

그 한 가닥이 내 노잼을 뒤흔들 수 있다면.


프롤로그_ https://brunch.co.kr/@a0bd4d3b8469449/48

연재 요일 _ 화 / 토요일 






작가의 이전글 EP.2 "우리 딸 자는 모습 보고 썼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