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S Jan 23. 2024

국제관계로 바라보는 고려 (2)

100년의 영토분쟁


993년 거란이 고려를 침략하자 양국은 (서희의 담판 후) 압록강을 따라 국경선을 정하기로 합의했다. 압록강 남안은 고려의 영토로, 북안은 거란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고려는 거란과 여진을 마주하는 북쪽 변방에 흥화진, 통주, 귀주, 곽주, 용주, 철주 등 6주를 설치했다. 이후 1010년 거란은 수도 개경을 점령하고 왕을 사로잡을 목적으로 40만 대군으로 고려를 침공했다. 고려 현종은 남쪽으로 도망치며 거란에게 화친의 제스쳐를 보내는 사이, 북방의 무장들은 거란을 배후에서 공격했다.


드라마 <고려거란전쟁>의 한 장면. 동아시아 최강 거란을 이긴 고려는 이후 국제적 위상이 근본적으로 달라졌다.


고려의 완전한 항복을 받아내지 못한 거란은 1018년 다시 10만 대군으로 고려를 침공했지만 귀주에서 대패했다. 이 시기는 한국의 역사교육에서 중국을 상대로 한 대승으로 자주 언급되어 왔다. 또한 이 고려-거란전쟁 이 압록강 이남에 새로 편입된 고려의 영토가 오늘날까지도 중국 대륙과 한반도를 구분하는 경계가 되어오고 있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1019년 고려와 거란은 국교를 회복했다. 고려는 다시 송의 연호를 버리고 국교를 끊음과 동시에 거란의 연호를 택했다. 거란과의 전쟁 승리에도 불구하고 고려는 송과의 교류는 유지하되 거란이 주도하는 국제질서에서 고려의 자율성을 높이는 실용적인 접근을 선택한 것이다. 이후 고려는 대규모 전쟁을 겪지 않으면서 번영과 평화를 유지할 수 있었다. 고려의 전성기라 불리는 이 시기는 전쟁과 외교 양면에서 고려의 전략적 선택의 결과였던 것이다.


그러나 고려와 거란의 분쟁이 끝난 것은 결코 아니었다. 993년 합의로 압록강을 사이로 남북의 영토를 결정했지만, 거란은 1014년 압록강 남쪽에 보주(保州, 현 의주)를 설치하고 성을 쌓았다. 보주를 둘러싼 양국의 영토분쟁은 전쟁 이후에도 100년 동안 지속되었다. 고려-거란전쟁 이후로 압록강 이남이 완전히 고려의 영토로(그리고 한반도의 영토로) 편입되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거란-고려 영토를 나타난 중국의 지도. 압록강 이남의 보주가 거란의 영토임을 나타내고 있다. (출처: 위키피디아)


분쟁의 중심이었던 보주는 오늘날 북한 평안북도 의주로 보고 있다 (고려 영토에 대해서는 다른 주장들도 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이 곳은 중국과 한반도를 잇는 무역, 군사, 외교면에서 중요한 통로였다. 1005년 거란은 보주에 각장(국가가 관장하는 교역소)을 설치했다. 이 움직임은 고려와 여진에 대한 거란의 정치경제적 영향력과 통제권을 행사하려는 시도였다. 거란은 송과 서하의 국경 지역에도 유사한 교역소를 세웠다. 결국 거란의 보주 설치는 주변국과 경제 협력을 구축하면서도 군사적 요충지를 장악하고 군사력을 강화함으로써 국제질서에서 거란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려는 대전략의 일환이었다.


물론 고려는 이 행위를 압록강 이남을 고려 영토로 인정한다는 993년 합의를 위반했다고 보았다. 3차에 걸친 거란의 침공을 이겨낸 고려였지만 양측은 전쟁 이후에도 압록강변 영토에 분명한 구분을 확정짓지 못했다. 거란은 강동 6주를 거론하지 않았고, 고려도 거란의 보주 점령을 묵인한 상태에서 화의를 맺었다. 압록강 이남에 거란과 고려의 영역이 서로 뒤섞인 것이다. 고려는 거란에 수차례 보주의 반환을 요구했으나 거란은 멸망 때까지 보주를 고려에 넘겨주지 않았다. 고려가 천리장성을 쌓은 것도 보주를 중심으로 한 거란의 위협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 보는 시각도 있다. (참고)


고려가 보주를 점령하여 압록강 이남과 강동6주가 완전히 고려의 영토로 된 것은 1117년에 이르러서이다. 무기로 한 고려-거란전쟁은 1019년에 끝났지만, 외교로 한 고려-거란전쟁은 이후 100년 이상 지속되었다. 압록강을 경계로 하는 한반도의 영토 인식에 큰 영향을 준 것은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고려의 외교정책이었다. 집요하기까지 했던 고려의 보주 점령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이 글은 국제관계 이론을 전근대 동아시아에 적용하여 고려의 외교정책을 분석한 한국국제정치학회 논문 "동아시아 국제체제에서의 이익을 위한 편승: 거란-여진 패권 투쟁 시기 고려의 외교정책 (Bandwagoning for Profit in the East Asian International System: Goryeo’s Foreign Policy Choice During the Khitan-Jurchen Power Struggle)"을 바탕으로 쓴 글입니다. 바로가기








작가의 이전글 국제관계로 바라보는 고려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