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oon Apr 05. 2022

Shadows (1959)

미국 독립영화 역사에서 빼먹을 수 없는 명작

정교하고 완벽한 영화들을 보다가 날 것 그대로의 영화를 본 관객들은 어떤 충격을 받았을까? 그리고 그를 인정해줄 수 있었던 관객들은 얼마나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볼 수 있던 사람들일까. 치밀하게 짜이고 정밀하게 꾸며진 영화에 익숙한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솔직히 당황스러웠다. 뚝뚝 끊기는 컷들과 화면 모서리에 잡히는 이물질. 영화를 보면서 나는 내 컴퓨터 화면에 머리카락이 붙은 줄 알고 떼내려고 했지만 영화의 장면의 일부였던 해프닝도 있었다. 그리고 각기 다른 이야기와 주제를 가진 듯한 등장인물들. 도저히 연관 지을 수 없던 그 인물들은 가족이란 틀 안에 함께 이루어져 있었고 방황하는 청춘이라는 공통점 안에 있었다. 물론 이해하기 쉽지 않았지만 범상치 않은 영화라는 것은 느꼈다. 아마 내가 재즈와 흑백영화를 좋아해서 더욱 후한 점수를 준 건지 모르겠지만.

흑백영화임을 언급하다 보니 할 말이 더 생겼다. 가족이라지만 다들 피부색이 전혀 달라 처음에는 그들이 한 가족인지 눈치채지 못했다. 이런 재밌는 특성이 흑백이어서 더욱 빛을 발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예산 문제나 시대적 기술의 문제로 흑백이 아닌 흑백 또한 연출의 수단으로 여길 수 있다는 것을 night of living dead(1985)에 이어서 또 한 번 느꼈다.

영화를 다 보고 나서 영화의 제목이 주는 의미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왜 그림자들일까. 사람들이 저마다의 표정이 있듯이 모두가 그림자를 안고 산다. 그림자는 때로는 불안과 걱정과 같은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철없이 보이는 그들에게도 저마다의 그림자와 같은 어둠이 서려있다는 것을 일러주는 것일까.

매거진의 이전글 Spencer (202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