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말하는 감자 농부 Sep 17. 2022

잘되는 스타트업만 보셨나요?

10년 차, 업계 2위 스타트업이 2달 만에 망한 경험

이런 이야기가 있다. 사업하면 10번 쯤 망하고 1번 성공하면 잘하는 거라고. 글자로 들었을 때는 사업이 잘 되기가 그렇게 어려운가 보다 정도였다. 그런데 그게 내 사업이 되는 순간 나는 열 번이나 버틸 수 있을까? 


원래 나는 지방에서 평생을 살아왔고 상경에 꿈이 있는 촌뜨기였다. 20대 후반에 상경할 기회가 생겨서 첫 회사 퇴직금만 달랑 들고 집도 구하지 않은 채 이직을 했다. 수습기간 동안 집을 알아보고 수습기간이 끝날 때쯤 집을 계약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내가 이직하고 두 달도 되지 않아서 회사가 망했다. 

두 달이면 징조라는 게 있는 게 아니었던가? 

왜 나를 신규 채용한 거지? 


업계 2위 회사였고 관련 업계에서 모두가 들으면 아는 자리잡은 스타트업이었다. 업력도 10년 가까이 되었고 5년 이상의 장기근속자 수가 50% 이상인 로열티도 높은 회사였다. 현금 흐름이 막히면서 그걸 막아내지 못해 망했다고 하는데 아직도 정확한 이유는 모른다.


네이버/카카오 공식 광고대행사였다.

중소기업청 인증 이노비즈에 선정되어 있었다.

그 외에 여러 대상은 수도 없이 많이 받았다.

영업이익도 흑자였으며 총 자산 증가율도 작년 대비 성장세였다.

도대체 내가 뭘 더 봤어야 했을까?


나 이제 서울에서 일할 거야 하고 박차고 나온지라 집에는 회사가 망했다고 말도 못 했다. 나는 주임 나부랭이였기 때문에 나 때문에 회사가 망하지 않았다는 것은 나도 알지만, 그런 회사를 다시 안 고른다는 보장이 없어서 덜덜 떨었댔다. 그나마 나는 두 달 밖에 안 다녔고 월급이 조금 밀린 게 다지만 오래오래 다니신 분들 중엔 퇴직금을 제대로 못 받은 분들도 많았다.


내가 한 선택이 내 인생을 갉아먹는 것 같아서 2달 정도 힘들어했던 것 같고 당시 룸메이트가 물심양면으로 잘 챙겨주어서 겨우겨우 정신 차릴 수 있었다. 그렇다고 다음 회사가 파라다이스 였던 것은 당연히 아니지만 어쨌든 망하진 않았다.


겨우 마음을 추스르고 이직 준비를 하면서 더 힘들었던 건 면접관들의 태도였다


그 회사가 진짜 망했어요?

잘린 거 아니에요?

아니 그 회사가 어떻게 망해?

이거 끝나고 본부장한테 전화해봐야겠다 등등


나보다 망한 전 회사가 더 스포트라이트 되는 경우가 많았고 그런 무례한 면접이 한두 번이 아니라 꽤 많이 치러졌다. 그리고 나는 내가 망하게 한 게 아니라고 마음을 다잡고 왔는데 망하게 한 애들 중 하나로 치부되는 경우도 있었다.



                    

작가의 이전글 Top down 방식과 Bottom up방식에 대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