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깡지 Sep 16. 2023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드러나게 만드는 것

IT생각


S 기업과 K 기업의 경우는 내가 20대부터 프로젝트를 수차례 했던 터라 본의 아니게 얕게나마 기업의 성장뿐 아니라 직원들의 마인드 변화도 지켜보게 되었다.

어떤 기업이건 지급 철이 되면 분위기가 뒤숭숭해진다. 표면적으로는 고요한 듯해도 사람들 관심이 어딘가로 쏠려 있는 게 느껴진다. 과거에는 진급에 누락되면 일주일 정도 편의 아닌 편의를 봐주는 분위기였다. 회사를 출근하지 않아도 이해를 해 준다. 반면 진급에 성공하면, 실제로 월급봉투가 두둑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축하가 이어져 한동안 술 파티를 했다. K 기업은 꽤 가족적이어서 그런지 진급 턱을 꽤나 과하게 하다 보니 미리 이를 위한 적금을 드는 사람도 있었다. 이런 시끌벅적한 분위기도 지금은 많이 사라졌다.


프로젝트 기간에 진급 철이 껴 있으면, 프로젝트 리스크로 미리 고객에게 말해 둔다. 이 기간에 고객사 조직이 바뀌기도 하고 인사이동도 있고 진급/누락도 있어서 전반적으로 프로젝트가 다소 소홀히 흘러갈 수 있으므로 긴장감을 과하게 잃어버리지 않게 준비하자고 말이다.

그래도 나 역시 누가 진급했는지 관심이 높아진다. 아는 사람이 되면 덩달아 신이 나고, 능력 있는 사람이 떨어지면 안타까워하기도 했다.


진급 시 연차가 그래도 작용하는 것은 맞지만 그중에 이를 뚫고 진급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시작은 미미했으나 다음 진급, 다음 진급을 거듭할수록 다른 이들과 차별성이 점점 보인다.

업무적인 능력, 태도, 스킬은 사실 신입부터 구분이 가능하다. 일을 하다 보면 비슷한 무리들 가운데 '조금 다른데'가 보이는데 가장 큰 특징은 이들의 '태도'이다. 미세한 데서 함께 일하고 싶은 마음을 들게 만든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배려'는 직장에서 책에서처럼 대 놓고 등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자신의 일을 제대로 해 내고, 적당할 때 해야 할 말을 하고, 작지만 다수를 위한 생각과 행동이 드러날 때, 즉 '해야 할 일을 합리적이고 마땅히 할 때 ' 그 사람을 한마디로 '일 잘한다'로 퉁 쳐서 표현하며 이들로 인해 배려를 받는다.

회사 내에서도 인력 확보와 다툼은 치열하다. 서로 사람 없다고 아우성이다. 이럴 때 이런 사람은 부서에서 놓치고 싶어 하지 않고 기회도 더 많이 얻는다.

처음 진급에는 그리 눈에 띄지 않을 수 있지만, 이런 태도는 업무역량을 끌어올려 차이가 조금씩 벌어진다.


일반적인 승진 단계로 봤을 때 부장까지를 실무진으로 보고 이후를 임원이라고 할 때 부장까지 올라가는 경우는 소수이다. 업무역량이 뛰어나다고 해서, 태도가 좋다고 해서,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좋다고 해서 올라가는 것만은 아닌 것 같다. 이럴 때 등장하는 표현이 '운이 좋아서' 또는 '줄을 잘 서서'이다. 이 부분은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복잡 미묘한 심리가 깔려 있으니 논외로 하자.


그렇게 진급 과정과 진급 이후를 지켜보다가 상당히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과장이나 차장까지는 큰 차이가 없는데 팀장, 부장부터는 '진급 후 모습'에서 차이가 컸다. 일반적으로 팀장, 부장은 크고 작은 조직을 이끌어야 하는 포지션이다. 이 자리에 맡게 되면 이전과 다른 모습을 보인다. 대부분 자신만의 스타일로 리더십을 발휘한다. 때로는 '저런 사람이었어?' 하며 새로운 면을 보기도 한다.

책임감 있는 위치이다 보니 자신의 팀 또는 부서를 위해 좀 더 보수적으로 일할 법도 한데, 신기하게도 이전보다 적극적이면서 열린 마음을 가지고 '협업'의 태도가 등장한다. 물론, 어떤 사안에 있어서는 선 긋기를 하는데 그건  역할에 분배나 책임과 관련된 사안에 주로 해당된다.


기존에 봐오지 못했던 모습이거나 얕게 보였던 모습이 갑자기 표면에 드러나는 경우가 많아서, '아,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라는 게 이런 것이구나'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임원은 좀 더 달랐다. 내가 많은 임원을 만난 것은 아니지만, 대략 최근 10년 가까이는 고객사 임원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하다 보니 친분 있는 분들이 제법 늘었다.

그래서 대화를 나눌 기회도 많아져서 이분들의 개인적인 면모도 엿볼 기회도 늘었다.

확실히 전체를 보는 눈과 직관이 달랐고, 사람을 보는 통찰도 있고, 책임 영역 안에서는 도전적인 면모가 컸다. 특이하게도 예외 없는 공통점이 있었는데, 모두 새벽형 인간으로 새벽에 독서, 운동 중 한 가지는 꼭 했고 대부분 두 가지 모두 했다. (이건 정말 신기한 공통점이었다. )


이런 성향의 사람을 선별해서 임원으로 올렸을까, 아니면 역시나 자리가 사람을 만들었을까.

얼마 전 몇 분의 임원과 식사를 나누며 이런 질문을 했더니 '자리가 사람을 만들지'라고 하시길래, '저도 처음에는 그런 줄 알았는데, 아무래도 자리가 사람을 드러내게 만든 것 같아요.'라고 했다. 그랬더니 다들 '끄덕' 이신다.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건 맞다. 지위와 권한을 주면 누구나 거기에 걸맞은 행동을 하려 한다. 이미 선배들, 상사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 체감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충분히 잘 해 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딘가 모르게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언행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모든 경우를 종합해 보면, 자리가 사람에게 '기회'를 주는 것은 맞는데 그 자리에 걸맞게 행동하고 사고하는 것은 그 사람의 '몫'이고 이건 그 자리에 앉은 날부터 키울 수 있는 자질이 아니라 이미 그전에 내포하고 있어야 가능하다. 그래서 리더십을 발휘하라는 기회를 받게 되면, 드디어 자신을 드러내게 되고 새롭게 주어진 권한 범위 내에서 그동안 상한선에 그어져서 보여주지 못한 역량을 펼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권한을 가진 만큼 많은 이들의 평가도 받게 되는 자리다. 그렇게 몇 개월이 지나면 이 사람의 역량이 어느 정도 그릇인지 다시금 보이게 된다.


요즘은 '가늘고 길게' 가는 것이 좋다는 사람이 많이 늘었다. 그래서 진급에서 누락했다고 해서, 팀장 자리를 내놓게 되었다고 해서 스스로 자책하거나 실망하는 경우는 줄었다. 반가운 분위기다.

 가늘고 긴 면발이 늘다 보니 굵고 탱글탱글한 면발이 더 눈에 띈다. 그 시작은 아주 작은 차이다. 가늘고 긴 면발을 태생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굵고 탱글탱글한 면발에서 애써 눈을 돌리는 사람도 있다.


별도 획기적인 제도가 생기지 않는 한, 10년이 채 지나지 않아서,  베이비 붐 세대 사람들은 모두 일터에서 사라진다. (이미 지금도 은퇴하신 분들이 많다.) 대기업 인력 구조는 말 그대로 인구 절벽 또는 구멍이 바닥보다 더 큰 꽃병 구조이다. IMF를 기점으로 입사의 문이 확 줄어서이다.

그 무렵이 되면, 많은 고참들 그늘 아래 있던 분들, 그리고 아직 직장 경험이 많지 않은 분들, 이제 일자리를 찾는 분들에게 어쩌면 큰 기회가 다가올 수도 있을 수 있다. 아니 그래야만 한다. 진급을 해야만 '드러날 수 있었던 나의 자질'이 어쩌면 수시로 주어질 수가 있다. 그때가 오면, 그 기회를 많은 분들이 잡아서 경직된 기업문화가 한층 더 도약할 수 있으면 좋겠다. (어쩌면 경험과 능력에 따라 이직, 스카우트의 기회가 갑자기 늘 수도 있겠지.)


ps. 지금 20대, 30대 워킹맘들도 힘들더라도 역량을 한껏 키워뒀으면 좋겠다. 어느 날  유리천장을 한꺼번에 깨질 수도 있으니까. 여성뿐 아니라 남성들도 40대 임원 선호도도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이므로 욕심 있는 사람들은 이를 잘 생각해 보면 좋겠다.




https://blog.naver.com/jykang73/223041154234

매거진의 이전글 프로젝트에서 업무 미팅 시 무례한 사람 대처하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