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백호 Dec 27. 2021

100분의 1만큼의 행복

기꺼이 먼길을 가고 후회 없이 돌아오도록

한때 내가 떠올린 소설의 주제는 남들보다 행복하지 못한  인물에 대한 이야기였다. 일반적인 경우에 비하여 100분의 1만큼만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희귀 병에 걸렸다는 설정이었다. 그런 아이디어는 아쉽게도 내 경험에서 나왔다. 나는 100분의 1만큼의 행복만을 느낄 수 있다. 미각을 잃은 요리사처럼, 후각을 잃은 조향사처럼.


긴 연휴 끝에는 항상 공허감이 찾아온다. 요즘에는 즐거운 경험도 몸에 닿아 흘러내리는 느낌이 든다. 노래들은 귓바퀴를 맴돌다 목 뒤로, 어깨너머로, 그러다가는 바닥으로 뚝 떨어져 버린다. 좋아하는 일도 잘하는 일도 시작하고 싶은 기분이 당최 들지 않는다. 그래서 소설을 쓴다면 내가 주인공인 소설일 테다. 슬프게도 누구보다 잘 쓸 수 있을 것이다.


오래 기다리던 여행의 다음날은 급하게 찾아온다. 내가 여행을 왔구나, 하는 감각이 올라오기도 전에 나는 돌아가는 기차에 몸을 맡기고 있다. 오히려 돌아가는 길이 더 생생하다. 그래서인지 이젠 먼길을 가기가 무섭다. 만남보다 헤어짐이 무섭다. 나는 냉랭한 내 삶이 잠시나마 따뜻해지면, 내 평생이 따뜻하다고 착각해버리는 아둔한 사람이라서 그렇다.


절체절명의 행복을 찾아 일에도 사랑에도 돈에도 모두 매진해봤으나 그 어느 것도 답이 아니었다. 열심히 일해서 인정받는 것은 좋은 일이다. 운명적인 사랑도 좋다. 낭비를 일삼는 생활습관도 더욱 좋다. 그렇지만 어딘가 외롭다. 나는 100분의 1만큼 행복한 주제에 남들보다 100배 외롭다. 내 밤은 그래서 그만큼 길다. 내 밤은 베어내어도 끝이 없다. 이 불합리를 소리치다 보면 날이 샜고 해가 떴다.


나는 내가 행복했으면 좋겠다. 내가 100분의 100만큼 행복했으면 좋겠다. 그래야 겨우 1일 테지만, 그래야 고작 남들이 느끼는 만큼이겠지만, 내가 그 1만큼을 위해 기꺼이 먼길을 가고 후회 없이 돌아오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밤이 짧아서 꿈을 꿀 시간도 없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마침내 행복해서 눈물을 흘렸으면 좋겠다, 라며 안일하고도 절박한 주문을 외웠다.

작가의 이전글 겨울담론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