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찾다가 죽다 Oct 10. 2023

중독되지 않는 삶

시니어 해부학 13

 40대 초반에 임사 체험을 했다는 밤나무 골의 김 선생, 

3차 항암치료 끝에 요양 병원을 뛰쳐나왔다는 홍여사, 

돌아가신 모친과 자신의 시신을 사후 병원에 기증 서약했다는 80의 월남전 참전 용사, 

병원에서도 치료를 포기, 죽으러 들어왔는 데 아직도 살아있다는 마당발 찰스… 

은퇴 후 전원주택에 사는 내 주변에는 서울 근교라서 그런지 요양 병원이 유독 많다. (어쩌면 고령사회라서 우리 동네만 그런 게 아닐지도 모른다.) 

해서 살면서 조금씩 안면을 넓혀가다 보니 사연도 많다. 아니 사연 없는 사람이 없다.


모두가 죽음의 두려움을 떨쳐낸 듯싶지만 죽음을 안고 산다. 

죽음이 두려운 까닭은 삶에 익숙해서다. 더 오래 산 사람일수록 그만큼 삶에 익숙하다. 

그만큼 죽음이 낯설다.

삶은 습관이 되고 지나치면 중독이 된다. 

어떻게 살아야 중독되지 않을까?

‘생각하며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아마도 이 말은 살아있음을 자각하고 늘 깨어 있으라는 가르침일 게다. 


교환 교수로 중국 심천대학교 교수 기숙사에 머물 때였다. 여느 날처럼 일찌감치 자리에서 일어나 현관문을 나선다. 새벽 기도회에 참석하기 위함이다. 어둠이 짙게 깔린 교정에 띄엄띄엄 켜진 조명만이 앞 길을 밝힌다. 그렇게 텅 빈 운동장을 가로질러 저만치 학교 남문이 보일 즈음


갑자기

‘아! 세상을 떠날 때 이렇겠구나..’하는 생각이 스친다. 

모두가 잠든 밤 학교 안에 움직이는 사람이라곤 나뿐이다. 

‘이렇게 홀로 떠나겠구나!’ 싶은 것이다. 

무섭다거나 서글프기보다는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눈인사라도 한번 더 건네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처음으로 삶이, 살아있음이 낯설게 다가왔다, 죽음(에 대한 생각)은 삶을 낯설게 한다. 

아마도 그래서 장자는 나는 나를 장사 지냈다고, 사도 바울은 나는 날마다 죽노라고 

또 로마의 개선장군은 메멘토 모리(사람은 언젠가 죽는다)를 상기했는가 보다. 

그렇게 죽음을 가까이 둔 사람들을 가까이 두고 사는 삶은 삶의 중독성을 일깨우는 해독제의 역할을 한다. 

작가 구본형이 ‘익숙한 것과의 결별’을 외친 것도, 가까운 일본이나 먼 유럽의 나라들이 묘지를 동네 한가운데 두고 사는 까닭도 이 때문이 아닐까 싶다. 

작가의 이전글 습관의 비 가역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