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화정 Feb 01. 2023

11화. 신명나는 마당 입춘노적

제2부. 떠나가는 배 꿈꾸는 다락

  “여보게 정읍네, 어찌 많이 쉬었는가? 자네들 오늘 하루가 참 더디게 흘러가고 아직 멀었는디. 이제 슬슬 시작해 보면 안 되겠는가? 근질근질하네. 입춘도 얼른 붙여보고 억만 노적도 얼른 쌓아주고 싶네만.”     


  “우리가 이곳에 올 때 길이 험했다네. 우리 목숨이 명부에 달렸으니 명부전에서 하시는 대로 하다 보니 참으로 많은 고통을 겪었네. 아직도 그 업칭(業秤)에 얹힌 죄가 덜어지지 않는 고통에 시달리던 중이었네만, 어떻게 우리를 잊지 않고 불러주었는가, 뼈마디에 맺히도록 기쁘고 고마웠네. 혈족으로 맺은 인연의 권속들이 불러주면 이승의 밥 얻어먹고, 쑥물에 향물에 정화수에 몸을 씻으면 몸에 붙은 더러운 때들이 씻겨나가니 개운하고, 죄의 찌꺼기들이 덜어지니, 업칭에 얹힌 죄의 무게도 줄어들지 않겠는가. 그리고 새로 마련한 깨끗한 옷을 입고 명부전에 가면 그나마 지옥의 형벌이 낮아지리니, 주저 않고 나왔다네.”


  “여보게 정읍네, 그렇다고는 히도 빈손이 부끄러웠네. 이루어 놓은 것 없이 물려준 것이라고는 남루한 집에 양식도 없이 매끼를 걱정해야 하는 가난, 병이 들어도 약 한 첩 제대로 써보지 못하고 죽음을 맞고 마는, 기막히게 지독한 가난만을 남겨놓고 떠나왔는데……. 가시자고 청하는, 오시자고 청하는 권속들 앞에 낯을 들 수가 있어야지 말이네. 염치가 없으니 낯이 화끈거리는디, 전화위복이라던가. 오는 길에 배가 뒤집어질 뻔 했는디, 어찌어찌해서 술비 잡는 노래를 했다네. 그 유명한 영광굴비라는 것이 내나 히야 진도 사람들, 조도 사람들 배 타고 나가서 잡아오던 조구 아닌가? 절 받는 고기라고 일미 중의 일미라고 임금님께 진상되던 고긴디 말이여, 고걸 그 배에 타고 있던 망자들이 다들 합심히갖고 잡아 올리지 않았겄는가. 그러니 그것들을 빨리 풀어버리고 싶네.”      


  쾌자를 입고 연꽃 모자를 쓴 소희가 손에 정종을 들고 굿마당으로 나온다. 저고리 섶을 가만히 누르고 옷고름을 손으로 매만져 가다듬고는 절을 한다. 두 손을 위로 한껏 들어 올려 합장을 하고는 다소곳한 표정으로 절을 한다. 가만가만 조용한 음성으로 어서 굿을 시작하자고 말을 하던 신·구 조상들이 제석님들을 받들고는 쌓아놓은 노적을 하나씩 내어놓는다. 하나도 남김없이 자손들에게 풀어놓고 갈 모양이다. 흐뭇한 표정을 짓기도 하고, 눈물을 머금기도 하면서 술렁이기 시작한다.      


  모씨 집안의 선영조상 잔치 야락 잔치가 있다 허여 염불차 왔는디 

  명이 짧은 자손들은 명줄도 이어주고 

  복이 없는 자손들은 복줄도 태워주시고 

  명일랑 주시거든 삼천갑자 동방삭의 아흔 진명을 주시옵고 

  복일랑 주시거든 석숭의 복을 빌어 천복 만복을 주옵소서.

  몸이 아픈 자손들은 한산초 불사약 선약 단약도 주시고 

  인간풍파 입담괴담 관제구설 삼제팔란 액운액살을 소멸하고 

  부부갈등 부모 형제 자식 간에도 갈등 날 일 없이 잘 풀어서 받들어 주시라고 

  지극정성 드리오는디~~

  이 중이 여기 왔으니 그냥 갈 것이요

  이승염불 관세음보살 저승염불 나무아미타불   

  

  둘러앉은 조상들과 제석님들 상 앞에 나아가 축원하던 소희가 원왕생 원왕생 극락가자고 세세원정을 가시자고 성주 터전을 닦으며 나선다.     


  아아 아아아 어기야 청청 지경을 닦아나보세~~


  일세동방 주추 밑에 청룡 한 쌍이 묻혔으니 

  용의 머리가 다치지나 않게 살금살금 닦아나보세

  아아 아아아 어기야 청청 지경을 닦아나보세~~   

  

  이세남방 주추 밑에 적룡 한 쌍이 묻혔으니

  용이 머리가 다치지나 않게 살금살금 닦아나보세

  아아 아아아 어기야 청청 지경을 닦아나보세~~  

  

  삼세서방 주추 밑에 백룡 한 쌍이 묻혔으니

  이 머리가 다치지나 않게 살금살금 닦아나보세

  아아 아아아 어기야 청청 지경을 닦아나보세~~   

  

  사세북방 주추 밑에 흑룡 한 쌍이 묻혔으니

  용이 머리가 다치지나 않게 살금살금 닦아나보세

  아아 아아아 어기야 청청 지경을 닦아나보세~~   

  

  마당에 깔아놓은 덕석 위에 앉아 구경을 하던 사람들이 노래를 따라 부른다. 익숙한 음에 쉬운 가락이라 그저 유행가를 부르듯이 따라 부른다. 굿을 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하루하루 굶지 않고 잠자리에 드는 것만으로도 복이 많은 삶이라 덕담을 들을 삶들이기에 일부러 돈을 헐어내고 곡식들을 헐어내어 굿을 하는 것은 만만치 않을 일이다. 그런데도 이렇듯이 기억에도 없는, 때로는 일면식도 없는 조상들을 들먹여가며 굿잔치를 연다는 것은 그만큼 절실한 사연이 있기 때문이다. 

  느닷없이 허리가 아프다고 드러누워 병치레를 하게 된다는 사연도 어지간해야 하는 것이고, 부부간에 공방이 들어 사네마네 하는 실랑이가 지속되어 가정이 파탄이 날 지경이 되어야 겨우 생각해 보는 것이다. 괜스레 남의 싸움에 말려들어가 덤터기를 쓰고 감옥살이를 하게 되거나 해야 겨우 하겠다고 나서는 것이 굿이다. 웬만해서는 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객지에 나가 있는 자식들에게 자잘한 문제들이 거듭되고, 건강에 문제가 발생하고 급기야 병원신세를 짓게 되니, 멀리 떨어져 한 번 오가기도 쉽지 않은 부모의 마음은 날마다 졸아붙는 조청 같은 것이다. 찐득찐득하게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는 걱정 근심거리들이 하루가 지나면 그만큼의 더께를 더해 굳은살이 되고 마는 것을 이겨낸다는 것은 할 수 없는 노릇이다. 차라리 내가 아프고 말 일이지, 내가 겪고 말 일이지, 결국은 빚을 내고 마는 것이다. 가실하게 되면 얼마간의 이자를 더해 갚을 것이니 라는 말을 붙여 애걸을 하는 것이다. 고봉으로 채워야 할 밥그릇의 숫자가 얼추 머릿속에 떠오르고, 떡쌀도 말가웃이나 되게 앉혀야 할 것이고, 바닷고기 육고기에 술이라도 빚어내자면……. 과일은 제일 크고 빛깔 좋은 것이라야 하지 않는가. 구색을 갖추어 차리는 굿상은 웬만한 잔칫상에 버금가는 것이 되고 마는 것이다.      


  “어이, 정읍네, 우리 어서 입춘 한 번 붙여보세. 입춘을 붙여야 봄바람 불어서 꽝꽝 얼었던 땅이 몸을 풀고, 겨우내 얼었다 녹았다 천동(天冬) 지동(地冬)에 맥을 못 추던 개울가 버들개지도 눈을 뜰게 아닌가. 부들부들 솜털 날리면서 봄노래 불러야 숨어 자던 물고기 놈들도 눈을 뜨고 나와 살랑거릴게 아닌가. 내 본시 성정이 급하던 놈이라 제 성질 어디 못주고 부글부글 들썩들썩 오두방정이니……. 자네 허는 양을 보고 있자니 목이 타네. 두름박에 물 가득 퍼담아 꿀꺽꿀꺽 들이붓고 싶은 심정이구먼.”     


  “그렇다고 자네부터라고 못 박지는 마시게. 자네 성정이 급하다고 나만큼 일라고. 급한 성정에 액이 붙어놓으니 성가시게 일도 많이 저질러 저승 염라국에 들어서 49일 맞기까지 겪은 고초가 얼마이고, 업에 따라 받은 죄가 얼마든가. 받은 죄를 다시 닦아내고 씻어내고, 그리고도 모자라 또다시 불려 가서 겪은 수모가 골수에 맺혔는데, 오늘은 이렇게 선영조상 제석거리에 앉았으니……. 만감이 교차하네만은, 안겨주고 잪은 마음에는 나도 질 수가 없으니 말이네.”     


 “순서를 정해서 함께 붙입시다. 시간도 많지 않은 차에 다투느라 일 놓치지 말고 버리덕이 공주님 아홉 아들 순서대로 달려들어 죄를 씻어내며 붙여보고 쌓아봅시다. 진광대왕, 초강대왕, 송제대왕전 순서로 발려가며 경계를 주면서 십제전의 전륜대왕까지 달아봅시다. 어떻소? 그리합시다. 시간이 적소.”

     

  입춘을 붙이노라 입춘을 붙여보세~~~     


   “제 일전 진광대왕전에 가고 보니

  그곳은 죽은 자가 7일째 되는 날에 방문하는 명부전이라. 생전의 선행을 사경대(邪鏡臺)에 비추어 조사하는데, 그 모습이 참혹하여 볼 수가 없다. 무슨 죄가 그리도 많았던가. 알고 지은 죄도 쌓이다 보면 그것이 죄라는 사실조차 잊게 되고, 아무렇지도 않게 익숙해지게 되니, 죄는 양팔 저울에 그득히 쌓이게 되고, 그것은 곧 태산같이 쌓였으되 우둔한 인간의 이성으로는 이미 감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나는 선한 사람이라고 선하게 살았노라 크게 웃으며 덕을 치하하고 공을 높이 사며 자화자찬에 빠진 삶을 살았으니, 나는 죽었으되 어디로 갈 것인가. 천상이든 지옥이든 마땅히 가야 할 곳으로 가겠으나 그곳은 이미 지옥이다. 이 세상 누구도 모르지만 나 자신은 결코 모를 수 없는 그것, 본질을 밝혀서 넓게 나눈다는 진광전은 도산지옥이라, 끼이익 까아악 크애애 퀴퀴퀴 크크큭 괴괴한 옥졸귀, 식인귀들의 울음도 아닌 웃음도 아닌 소리들에 물어뜯기고 쇠망치로 두들겨 맞으며 칼날같이 뾰족한 바위산을 오르는 고통, 죽었다 살아나고 다시 죽었다 살아나는 수백 번 수천 번의 고통, 그것은 죄악의 대가라.  

  후손들에게 이르노니, 죄를 짓지 마라. 나의 후손들아, 죄라고 이름이 붙기 전에 너의 마음에 불길처럼 일어나는 감정이 어떤 것인지 살피고, 옳고 그름을 생각하면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니, 현명하고 명석한 나의 후손들아, 경계하노라. 가장 먼저 너의 마음을 살피는데 정성을 기울이거라. 죄는 귀 기울여 듣지 않고, 정확하게 보지 않는 것에서 비롯되는 것이니, 모든 죄의 씨앗은 너의 마음이 주머니이니라.”     


   상보에 붙인 입춘 응천상지삼광이요 비인간지오복이라 

   둥드러시 붙여보세~~~


  “하늘이 응감하여 그 은혜가 강물 되어 흐르고 땅 속으로 스미니 인간의 모든 바람은 잘 먹고 잘 사는 것이라. 등 따숩고 배부르면 그것이 복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내 오늘 간절한 심정으로 가정의 안위를 걱정하는 후손들을 위해 억만 장 기와불사로 지어진 대 명당 좋은 터에 용의 머리가 다치지나 않게 대들보에 입춘 노적을 붙였으니, 부디 평온하고 온건하여라.”     


   입춘을 붙이노라 입춘을 붙여보세~~~


   “제 이전은 초강대왕 전이라 버리덕이 공주님의 둘째 아드님이시라,

  죽은 지 14일째 되어 가게 되는 화탕지옥이다. 이곳을 관장하는 대왕은 거짓으로 중매를 서고, 거짓된 물건을 팔아 이득을 챙긴 자, 사람이나 동물을 헤쳐서 불구로 만든 자들을 심판하고 벌을 준다. 초광대왕이라, 오구시왕의 덕을 입어 명부의 두 번째를 관장하게 되었으니 어찌 인정이 없겠느냐? 어떻게든 망자의 죄를 덜어보려 하겠으나, 마지막 입고 온 옷에 그 죄악의 냄새가 모두 실려 의령수(衣領樹) 저울의 눈금에 새겨지니, 그 무거운 죄를 어찌 감출 수 있겠느냐. 낱낱이 드러나 부끄러움을 느끼기도 전에 이미 갈 곳이 정해지고 만다. 

  어깨에 몽둥이를 메고 손에는 작살을 들고 길을 재촉하는 우두옥졸(소의 머리를 한 옥졸)을 따라 삼도천을 건너온 후 맨 위에 있는 나루를 걷게 되면, 그 길은 꽃길이다. 나루터의 물이 얕아서 건너는 동안 발목만을 찰방찰방 적시는 것 정도이니, 물 저편에서 날리는 꽃잎이 없다 하여도 그 길은 꽃길이다. 만약에 옷의 무게를 다는 의령수에 눈금이 잡히지 않을 정도가 된다면 가운데 나루터의 금·은·칠보로 된 다리 위를 건너게 될 것인데, 그것은 터럭만큼의 죄도 짓지 않았음을 말해주는 것이니 어찌 바랄 수 있단 말인가. 이승에서의 옷이 곤룡포였다고 될 것이며 명주 비단에 보석 장신구로 치장하였다 하여 될 것인가. 욕망의 춤사위에 흐트러진 정신으로 살아온 이승의 값진 인생은 명부전 초강대왕 전에서는 오히려 악인만이 건너게 될 아랫나루에 닿게 될 것이니, 그것은 탐진치로 썩어 물든 더러운 악취가 입고 온 옷에서 풍기기 때문이리라. 

  나의 후손들아, 물살이 화살처럼 빠르고 물결은 높이 치솟는 파도 속에 숨어 있는 독사에게 먹히는 고통은 말로 다할 수 없는 것이다. 쏜살같이 빠르게 흐르는 세월이라 말하는 우리는 백 살을 살 수 없는 생의 길이를 짧다 하고, 인생의 덧없음을 말한다. 덧없는 그 인생의 허망함 뒤에 숨겨진 나의 생은 면경처럼 깨끗하고 말끔하여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이 없다 스스로를 치하하지만 죽으면 되살아나고 죽으면 되살아나서 내리치는 돌덩이에 으깨어지고 귀왕과 야차가 쏘는 활에 맞는 일곱 낮 일곱 밤은 쏜살같이 흐르지 않으며 덧없는 허망이 결코 아닐 것이니, 오늘 나를 부른 후손아, 잊지 말아라. 의령수 눈금의 경계를 잊지 말아라.”


  중기둥에 붙인 입춘 화기자생 군자택이라

  둥드러시 붙여보세~~~     


  “고대광실 좋은 집에 금은보화 둘러놓고 온갖 아름다운 꽃향기 속에 살았어도 공수래공수거라.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인생, 마지막 입고 온 옷가지에 묻은 냄새가 시궁창에 썩어가는 냄새만큼이나 더럽다면 삼도천 흐르는 물살은 시위를 떠난 화살보다 빠르게 흐르며 귀왕과 야차에게 으깨어질 것이니, 소리를 질러도 악을 써도 두고 온 가족들은 듣지 못할 것이니,

  어여쁜 나의 후손들아, 거짓을 섬기지 마라. 아홉 개 가진 것 중에 한 개를 마저 채워 열을 세고 싶어서 하는 거짓은 남을 속이고, 남의 것을 가로채는 것이니, 애써 채운 아홉도 뜯어놓고 보면 칠 할이 남의 것일 수 있을 테니, 욕심이 죄라 생각하고 보태려 애쓰지 마라. 다만 땀 흘려 일하고 거두어들인 것을 아껴 먹는 것이 남는 것일 테다. 결코 쉽지 않은 당부인 것을 안다마는 화기자생 군자택이라는 입춘맞이 첩(帖)의 글귀도 양심을 속이지 않고 분수를 지키며 사는 사람의 집을 일컬음일 것이다. 봄빛도 다투어 들어오는 화평한 집의 대문에는 거짓이 들어설 수 없을 것이다.”     


   입춘을 붙이노라 입춘을 붙여보세~~~


  “제 삼전은 송제대왕 전이라 버리덕이 공주님의 셋째 아드님 전이다.

  죽은 지 21일째 되는 날에 가는 곳이 한빙지옥이다. 부정한 관리로서 남을 속여 이익을 챙기거나 배신을 하고, 중상모략으로 남을 곤경에 빠뜨린 자가 가는 곳이다. 도산지옥을 지나고, 화탕지옥을 지났는데도 이곳 한빙지옥에까지 오다니……, 믿음을 가지지 못한 자의 혀, 시기하는 마음과 불길처럼 일어나는 질투로 물든 가슴이 내뱉는 음해의 말들과 빚어낸 행위들로 지은 죄를 심판받는 지옥이다. 

  세 사람이 함께 앉아 이야기를 나누며 좋은 마음으로 헤어졌는데, 하루 이틀 뒤부터 어쩐지 싸늘해진 표정과 어쩐지 외면하는 모습을 보게 되면 사람은 정신이 산란해지기 시작한다. 나보다 하나 더 가진 것이, 또는 나보다 가진 것이 적고 별반 다른 것도 없을 것 같은데 어쩐지 나보다 잘나게 보이고 좋아 보일 때 은근히 샘이 나고 부러운 것, 그것은 곧 사람의 마음을 떠난다. 그것은 곧 귀신의 마음으로 총총 들어서게 된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것이 무엇인지 모른다. 도사리고 있는 마음이 앞으로 무슨 일을 저지를 것인지를 짐작하지 못한다.

  나의 후손들아, 그 옛날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서 갔다. 불에 데워지고, 인두에 지져진 몸이 다시 찢기고, 죽은 몸이 한길에 버려져서 수습조차 할 수 없게 하는 벌을 받으며 사자를 따라 저승으로 갔다. 그 죽은 몸의 가족들은 지독한 죄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귀양을 가고, 온갖 비아냥과 손가락질을 받는 수모를 겪으며 살다가 생을 마쳤다. 얼마나 많은 분노와 원망이 그들의 골수에 맺혔겠느냐? 이 모든 죄악이 무엇에서 비롯되었겠느냐? 이 죄업을 일구어낸 자들의 가슴은 얼마나 뜨겁게 타올랐겠느냐? 모든 것은 욕심에서 비롯된 것이고, 그 욕심은 시샘하는 마음, 질투의 언어들이 심장을 타고 올라 혀끝으로 뱉어진 것일 텐데, 그것은 결국 살인죄다. 미워하지 않아도 될 것을 미워하게 되고, 증오하지 않아도 될 것을 증오하게 되었으니 이승의 그 뜨거운 것들을 차갑게, 시리게 만들어주는 곳, 한빙지옥으로 가게 되는 것이다. 이제는 괜찮겠지 싶은 마음으로 그곳에 가면 그 업관 앞에서 머리에 뿔이 열여섯 개나 솟아 있고, 낯바닥에는 열두 개의 눈을 가진 도깨비를 만나게 될 것이다. 번개 같은 빛을 뿜어내는 눈과 불꽃을 뿜어내는 입에서 쏟아져 나오는 고함을 들으면 송제대왕의 심판까지 가기도 전에 넋을 잃고 말 것이다. 그러니 오늘 나는 쑥떡같이 예쁘고 보드라운 나의 후손들에게 세뱃돈을 주는 덕담으로 입춘첩을 붙이련다.”    

 

  방문 앞에 붙인 입춘 입춘대길 건양다경

  둥드러시 붙여보세~~~     


  “설이 지나지 않은 겨울, 매화는 그윽한 향기를 온 세상에 퍼트릴 양으로 야무지게 꽃망울을 머금고 수줍어하지만 사람들의 마을은 아직 겨울이라. 그러나 해는 길어지고 볕은 따사로워지니 기지개를 켜고 방문 밖으로 나오고 싶은 때가 또한 이때라. 봄의 기운이 동트기 시작하는 계절의 분주함 속에서 나는 너희들의 방문 앞에 입춘대길 건양다경의 격문을 여덟 팔자의 모양으로 붙여놓으리니,

  쑥떡같이 예쁘고 보드라운 나의 후손들아, 부디 온화한 훈풍에 몸을 맡기고 꽃향기에 취하듯 너희들의 마음에 시샘하는 마음, 질투의 말을 담지 말아라. 남의 떡을 더 크게 보는 마음으로 남의 덕을 더 크게 보고, 남의 흠을 보는 눈길로 너 자신의 흠을 둘러보아 두 손으로 탈탈 털어내도록 하여라. 마음에 드는 봄기운은 너의 심장이 흙이니, 그곳에 오곡(五穀)의 씨앗을 뿌리고 물을 주어라. 그것들이 움쑥움쑥 돋아나는 계절 속에서 입춘대길 건양다경의 뜻을 새기고 보면 초심(初心)은 춘심(春心)이라. 춘심은 모성(母性)이리니. 생명을 키우고 살찌우는 덕성이 만복의 근원이 될 것이다. 그것이 너희의 방문 앞에 붙어 있다.”     


   입춘을 붙이노라 입춘을 붙여보세~~~     


*대문사진: Daum 이미지에서 퍼옴

매거진의 이전글 10화. 제석거리 환생의 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