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옷 Mar 01. 2022

설계도 연구개발도 품질도 아닌 직무를 맡다

인문학적인 소양을 겸비한 공대생? 오히려 좋아


보통 학부를 졸업한 공대생들의 진로는 특별히 다른 직업을 꿈꾸지 않는 한 사기업, 공기업, 공무원으로 귀결된다. 그것도 대부분 기술을 전문분야로 한 직무로.


특별한 꿈이 없었던 나는 나의 성격 상 공기업, 공무원은 나에게 맞지 않는 직업이라고 여겼으므로,

취업을 준비하며 사기업 연구개발직이나 기술이 메인인 직무를 꿈꿨다.


사실 그때까지만 해도 나는 소위 말하는 '우물 안 개구리'였다.


'모름지기 공대생이라면 연구개발을 해야 찐이고 멋있지! 공대생이 무슨 영업 마케팅이야~!'라며 연구개발이나 품질 같은 '공대스러운' 직무를 제외한 다른 업무는 거의 내지 않았다.


왠지 나의 소속을 부정하는 것 같고, 멋있지 않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웬걸. 내가 멋있다고 생각한 '공대스러운' 직무들은 모두 나를 선택해주지 않았다.

인성검사만 하면 연구개발이나 품질은 나와 적합하지 않다고 나왔고, 그래서 그런지 서류는 좀 붙는다 싶어도 인성검사나 적성검사만 하면 죄다 우르르 떨어졌다.


단 한 군데만 빼고.


그 한 군데는 '기술지원'이라는 직무였는데, 앞 글에서 이야기한 대로 심지어 원하지 않았던 '해외 기술지원'이라는 업무였다.


입사해보니 공대생이면 좋긴 하겠지만 타과생이어도 무난하게 할 수 있는 그런 직무.


기술을 배우며 익힌다기보단 기술을 자체를 잘 이해하고, 설계자-품질 담당자-영업-고객 간 coordinator 역할을 하며 해외 고객과 소통하고 각자의 입장을 잘 전달하는 직무.


어떻게 보면 그저 전달자 그 자체랄까.


동기들이 무슨 일을 하냐 물어봤을 때 설명하는 것조차 어려운 직무였다. 그도 그럴 것이 친구들은 죄다 개발, 설계, 공정기술, 테스팅과 같은 기술 쪽 메인 업무를 맡았는데, 나만 뜬금없이 해외 무슨 기술 지원을 한다고 하니 어떤 업무인지 감이 안 잡히는 것이다.


나도 감이 안 잡히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기술 쪽 base를 키워나가는 사람이 되기를 꿈꿨는데, 갑자기 커뮤니케이션과 코디네이팅 실력을 키우라니? 심지어 갑자기 영어공부도 하라니?


하지만 생각을 조금 바꿔보니 사람들과 소통하고 그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좋아하는 내가 기술적인 실력을 키워서 이 업무를 맡는다면 생각보다 잘할 수도 있겠는데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심지어 세상은 인문학적 소양이 겸비된 공대생을 원하지 않는가?


내가 열심히 한다면 남들이 이 직무에서 원하는 단순한 '전달자'보다 뭔가 한 방울은 더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나만의 커리어를 쌓아나가 보자.

설계도 연구개발도 품질도 아닌 문과와 이과가 섞인 듯한 공대생의 진로가 어떤지 보여주자.


생각보다 이 일이 나에게 잘 맞을 것 같다는 확신이 들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저는 공대생인데 왜 영어공부를 해야 하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