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lexwork May 17. 2023

재택근무 회사로 이직? 이 5가지부터 확인하세요

리모트 워커로 살기 

이제 완연히 재택근무 혹은 하이브리드 근무(사무실 출근과 재택근무 혼합형)를 선택하는 시대입니다.
빅데이터 콘텐츠 플랫폼인 KPR 인사이트 트리 에서 이직과 퇴사 관련 19만 건의 온라인 언급량을 분석해보니 이직에 영향을 준 요인 중 ‘근무 환경 및 기업문화’와 ‘복리후생 제도’가 5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만큼 직장인들도, 기업들도 이제 근무 환경이 중요해졌습니다. 팬데믹 이후 일주일에 며칠이라도 재택근무를 하고 싶어하는 직장인들이 많아지는 요즘입니다.

하지만 ‘무조건 원격근무’ 라는 조건만 만족한다고 될까요?


오늘은 세계 최대 완전 운격근무 회사 중 하나인 깃랩(GitLab)이 제안하는 재택근무 회사에 지원하기 전에 확인해야 할 것들을 소개해드립니다. 




지원하기 전, 혹은 채용 수락 전 미리 확인

모든 회사마다 근무 문화나 복지 혜택 등이 다 다른 것처럼 원격근무 회사 역시 자세히 들여다보면 조금씩 다르게 운영됩니다. 원격근무의 종류도 다양하고요. 

보통 채용 공고에 근무 조건에 대한 내용이 어느 정도 명시가 되어 있어 지원하기 전에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면접 단계에서 물어볼 수 있습니다.

이 단계를 소홀히 하면 입사를 확정하고 일을 시작한 다음에 생각했던 것과 달라 당황하거나 실망할 수 있습니다. 궁금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부분을 미리 확인하는 것 역시 면접의 일부이므로 부담스럽게 생각하지 말고 물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확인하면 좋을까요?



1. 필수 근무 시간대가 정해져 있는가?

완전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있는 회사라도 근무 시간에 대한 기준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완전 원격근무지만 실시간으로 업무 관련 소통을 하기 위해 직원들의 근무 시간대를 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전 8시에서 10시 사이 출근,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는 필수 근무 시간으로 설정하는 식이죠.
실제로 많은 재택근무 기업들이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00% 자율 근무라서 회사가 정한 업무 시간대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화상 회의가 있다면 정해진 시간에 만나지만 그 외에는 직원들이 같은 시간대에 업무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업무가 비동기로 진행되어 슬랙, 노션, 지라 등의 협업툴에 모든 내용이 문서화되고 관리됩니다.


또한 재택근무 직원들의 근태 및 근무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업들이 있으므로 근태 확인은 어떻게 하는지도 물어볼 수 있습니다. 


2. 근무 시간과 요일이 유연한가?

앞선 질문과 비슷한 것 같지만 탄력 근무를 어느 정도 범위까지 허용하는지는 회사마다 매우 다르기 때문에 미리 확인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는 회사에서 ‘하루 8시간 근무’와 같은 업무에 투입되는 시간을 더 중시하는지, 아니면 ‘성과 및 결과’를 중시하는지에 따라 대부분 정해지므로 회사 문화와도 직접적인 연관이 있습니다. 유연성과 자율성이 보장되어 있다면 워케이션을 가더라도 스스로 세운 일정에 따라 유연하게 시간과 업무를 분배하는 것이 훨씬 수월합니다. 육아를 하는 경우에도 그렇고요.

 

3. 업무에 어떤 협업툴을 어떻게 사용하는가?

재택근무 기업에서 문서화는 더 중요합니다. 회사에서 어떤 협업툴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미리 확인하면 문서화를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업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문서화가 잘 되어 있는 회사라면 업무 프로세스와 업무 문화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원격으로 온보딩하기에 훨씬 수월합니다. 그리고 만약 내가 사용해보지 않은 협업툴을 사용하고 있다면 지원 혹은 입사하기 전에 미리 익혀둘 수도 있고요. 


4. 오프라인 미팅이 있는가? 있다면 얼마나 자주 있는가?

원격근무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임직원이 얼굴을 직접 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기회는 중요합니다.
유대 관계를 비롯한 회사 문화 구축을 위해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오프라인 모임을 갖는 회사들이 적지 않습니다. 전사적인 모임일 수도 있고, 지역별 모임일 수도 있고, 혹은 팀이나 취미 단위의 모임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 회사 차원에서 기획하고 권장하는 오프라인 미팅이 있는지, 만약에 있다면 얼마나 자주 있는지 등을 확인하면 재택근무를 하면서도 모임 참석을 위한 계획을 사전에 세울 수 있습니다.

특히 다른 지역에 있다면 상당한 시간을 써야하므로 회사까지 이동에 걸리는 시간이 근무 시간에 포함이 되는지 등도 확인하면 좋습니다. 


5. 원격근무를 위한 장비를 지원해주는가?

정해진 장비를 회사에서 일괄 보내주거나 일정 비용을 지원해주는 경우도 있지만 모든 원격근무 기업이 노트북이나 책상 등의 장비를 지원해주는 것은 아닙니다. 채용 공고에 명시가 되어 있지 않다면 면접 중에 미리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그 외에도 구직자는 스스로 원격근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어디에서 일할 것인지, 어떻게 시간 관리를 할 것인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원격근무 및 하이브리드 근무가 가능한 회사들의 채용정보만 쉽게 보고 싶다면

리모트워크 전문 채용 플랫폼 플렉스웍에서 확인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플렉스웍

작가의 이전글 재택근무 시 통신비와 소모품 비용 부담은 누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