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정실 Apr 18. 2023

그의 옷장                         

옷장 소재로, 소설 구상 중

     

  “가장 잘 감출 수 있는 곳이 어디일까?”

  “뭘 감추려고?”

  “아니 내가 아니라……. ‘내 옷장 가장 깊숙한 그곳’이라고 했거든. 끝내 자살했다는 그 피의자 말이야.”

  내가 허공 어딘가에 시선을 둔 다소 멍한 눈빛으로 느릿느릿 말하자, 상황을 눈치챈 이 주임이 속사포 공격을 시작한다. 

  “김형사 설마 너 아직도? 죽기 전 진술과 정황도 상당히 신빙성이 있고, 증거 몇 가지 확인해서 보강되면 살인으로 기소 충분하다던데, 뭔 미련이야? 같은 보육원 출신이라고 맘이 더 쓰이는 거야? 그리고 그치 집에는 옷장 같은 거 없다면서?”

  이주임의 유능한 분석적 질문 공세에, 반쯤은 현실 이면의 어딘가를 헤매던 나는, 급히 현실로 돌아온다. 그의 말이, 며칠째 유난히 지속되는 이 꺼림칙함과 허탈감에 대한 군더더기 없이 논리적인 가설임을 알지만, 또한 전혀 사실이 아닌 것도 명확하다. 물론 ‘보육원’이라는 단어가 주는 평생의 무게 - 어떤 상황에서든 설움으로 목이 꽉 막힌 10살짜리로 나를 순식간에 돌려놓곤 하는 - 는 분명하지만, 그가 눈빛으로 내게 전해 온 건 그런 동질감만이 아니었다. 담담하고 초연한 그의 눈 속에서, 강하게 타오르던 허기와 외로움을 몇 번이고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그는 내성적이고 소극적인 사람이었으나, 그건 끝내 사람과의 연결을 포기할 수 없는 정서적 소통과 의존에의 욕구와는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그는 사랑을 원하는 사람이었고, 보육원에서의 학대 경험에도, 자신의 껍질을 두껍게 만들어 차마 자신을 세상으로부터 완전히 차단하지는 못했다. 상처가 걱정되어 늘 몸을 사리고 거절을 염두에 두고 소극적 태도로 먼저 방어하곤 했어도, 그는 끝내 소망과 기대를 버릴 순 없는 타입이었다. 

  그래서 나는 아직도 믿을 수가 없다. 그는 이런 식으로 자신의 범죄 맥락을 완전히 은폐하고 떠날 수 있는 사람이 결코 아니다.

  “김형사, 왜 욕하면서 닮는다고들 하잖아! 차은철이 그렇게 모델로 성공했어도 트라우마로 인한 상처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거야. 그러니까 자신을 거두어주고 크게 은혜를 베푼 대표를 그런 식으로 살해했지. 마음 아프지만, 사람이란 건 어려서 보고 배운 게 그래서 너무 중요한 거야.”

  “그래, 정황도 중요하지. 그런데 더 중요한 건 직접 전한 말과 행동이잖아. 그는 분명 ‘옷장 안에 진실을 남겨두었다’라고 말했어.”

  그리고 나는, 그가 ‘자신의 본질을 알아본 나를 눈치 채고 만족했음’도 알아볼 수 있었다. 그건 10년 차 프로파일러의 전문성 때문만은 아니다. 때로 한두 번의 눈빛으로도 많은 것을 공유하기 쉬운 상대가 있기 마련이다. 모델인 그는 몇 개나 되는 큰 옷 방을 소유했지만, ‘옷장’을 갖고 있진 않았다. 그의 어두운 비밀, 결코 드러내지 못하는 감정은 과연 어느 옷장에 은폐되어 있을까? ‘옷장’으로부터 연상된 ‘비밀’과 ‘은폐’가 주는 이미지 때문에, 기억 속의 그의 눈빛과 함께 에드가 엘런 포의 단편 소설인 <도둑맞은 편지>를 나도 모르게 동시에 떠올리던 참에 번뜩 어떤 이미지가 스쳐간다. 철저한 은폐를 위해 그는 오히려 가장 개방된 옷장을 선택하지 않았을까? 인스터그램?

작가의 이전글 이언 매큐언, 나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