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빛지원 Oct 08. 2024

아버지와 자전거

옥수숫대 먹어본 사람?


종갓집에 태어난  우리 형제들은 밖에만 나가면  비슷한 또래의  아줌마 아재들이 많았다. 심지어 태어나지 않은 할어버지가 있었으니 말이다.


말하자면 할아버지는 삼 형제가 있다.

작은할아버지 자식들은 나에게 당숙이 되는 것이다. 예전엔 항렬을 정해 놓아서 아버지 돌림자 쓰는 사람은 아저씨 아재로 불렀고 할아버지 돌림자를 쓰는 사람은 할아버지로 불렀다. 친고모들과도 나이차이가 거의 없다.



아버지가 큰집 장남이다 보니 작은할아버지들과 나이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   자식들을 많이도 낳던 시절이었다. 아버지 자식들인 우리는 태어나지도 않은  당숙들이 생겨난 것이다.



 동네엔 황 씨 성을 가진 집들이 많았다. 엄마는 혹여 우리들이 나가서 싸움이라도 할까 걱정이 되어  주변엔 다 아줌마 아재들이니  말조심 행동 조심하라고 늘  일렀다.  복잡한 촌수  때문에 나이  어린 어르신들이 있으니 말이다.





옆집엔 나보다 두 살 아래 당숙 아재가 있다. 당숙아재는 우리 집에 와서 놀다가 집에 갈 때는 우리 형제들을 약 올리고 튄다.   동생도 언니도 다 순둥이다 보니 그러려니 한다. 그중에 우다닥 맨발로  대문까지 따라 나가는 건 나였다. 잡히면 죽는다 그런 맘으로 뛰어봤자 뒤가 무른 나는  대문 밖으론  못 나간다. 거기 까지다. 우리 엄마는 그 장난꾸러기 아재를 짜증 도련님이라 불러주었다.


 



아주 더 어린 시절 이야기다. 정확한 기억은 없지만 아마도 7살 즈음인 거 같다. 나보다 한 살 더 먹은 고모, 당고모들은 이듬해에 국민학교를 가게 되는데 그것 때문에 단체로 보건소인지 학교인지 간다고 했다. 어른들도 없고 조용한 동네엔  떼쟁이 당숙아재와 내가 마당에서 놀고 있었다


당숙아재가 울고 불고 생떼를 부려대고 있었다. 나는 아재를 달래 보려고 낫을 들고 텃밭으로 갔다. 그 시절엔  옥수수 대를 잘라 껍질을 벗겨 먹으면 달달한 간식이 되었다. 아마도 난 어른 흉내를 내려고 한 거 같다.


옥수수나무 맨 밑동을 잘라보려고 낫으로 내리치는 순간 내 오른쪽 새끼발가락을 배어 렸다. 아마도 여름이라 신발도 제대로 신지를 않았던 모양이다.

기억은 여기에서 멈추어있다.


아버지가 자전거에 나를 태우고 안배미 의상 내로 논길을 달려간다. 예전 시골 동네 근처엔 의사는 아닌데 약도 팔고 치료도 해주는 분들이 계셨다. 어른들은 그분을 의상이라도 불렀던 거 같다. 어릴 적 상처가 나면 무슨 갑오징어 뼈인가 그것을 갈아서 뿌려 주면 지혈이 되었던 거 같다



지금도 내 오른쪽 발가락엔 그때의 흔적이 남아 있다. 아팠던 기억도 내 상태가 어땠는지는 기억이 별로 없다.




 내 나이 10살에 아버지가 돌아가셨으니  어릴 적 추억이라곤 아무리 끄집어 내려해도 거의 생각나는 것이  별로 없다. 내가 발가락을 다치고  아버지 자전거 타고 논둑길을 달리던 기억만이 생생하다. 그것이 나와 아버지 추억이다.


살 이전에  아버지의 기억은 거의  생각이 나질 않는다.  아버지가 외부 일을 많이 하셨고 집에 손님들이 많이 오셨던 거 같다.


아버지 건강이 안 좋아지시고 집에 누워계실 때는  언니 고모들은 학교에 갔을 테고 동생들은 어렸으니  나에게 다리를 밟으라고  자주 하셨던 거 같다. 지금도 생각하면 아버지 다리는 많이 가늘고 살이 없었다.

아버지 아플까 봐 살살 밟았었는데..



다리를 밟고 나면 벽장 속에서 단팥빵 하나를 꺼내 주셨다. 아마도 아버지가 아프고 잘 못 드시니 벽장에 빵을 사다 숨겨 놓으신 듯하다. 36세의 짧은 삶을 살다 가셨으니  자식들에게 아버지로서의 추억도 많이 남겨 놓지 못하셨다. 아버지와의  추억의 보따리를 풀다 보니 너무 없다 없어.


나보다 3살 더 많은 언니에겐 더 많은 추억의 보따리가 있을 것이다. 발에 상처가 나서 자전게  타고 논둑길 가던 추억이라도 나에겐 있지만  풀어볼  보따리조차 없는  7살 5살 3살 유복자 동생들 생각하면 마음이 아려온다.



우리 집 대청마루 군복 입은  아버지 사진이 걸려 있었다. 하늘로 떠난 아버지지만  추억도 별로 없는 사진 속 아버지를 보며 세상제일 잘났고 멋진 분이 나의 아버지임을 자랑스러워했다.




아버지 없는 딸

6학년 담임선생님이 방과 후 오르간 치시며 나에게 노래를 자주 시켰다. 그때는 내가 노래를 잘해서  그런 줄 알았다.


어머니 날인가?

전교생 모인 교단 위에서 운동회 때 입은 흰색 저고리에  파란 치마 한복을 입고 노래를 불렀다. 어머니 날 행사를 했나 보다.

선생님이 노래를 지정해 주셨다.


 꽃밭에서


아빠하고 나하고 만든 꽃밭에

채송화도 봉숭아도 한창입니다


아빠가 매어놓은 새끼줄 따라

나팔꽃도 어울리게 피었습니다


애들하고 재밌게 뛰어놀다가

아빠 생각나서 꽃을 봅니다


아빠는 꽃 보며 살자 그랬죠

날 보고 꽃 같이 살자 그랬죠


아마도 많이 떨렸을 것이다.

어리바리 야물 차지도 못한 내가

교단에 올라 노래를 불렀다.


실수를 하고 말았다.

"애들하고 재미있게 뛰어놀다가"

이 부분을 "아빠하고 재미있게 뛰어놀다가"


순간 놀라긴 했는데 끝까지 부르고 내려왔다. 교단을 내려와 실수한 나 자신이 너무 부끄러웠다. 나는 남 앞에 나서는 걸 잘 못했다. 자신감도 없고 잘하는 것도 없고 작은 실수는 나를  점점 쪼그라들게 만들었다.


몇 년 전 심리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

어릴 적 가장 부끄러웠던 기억을 적다 보니 노래하며 가사 실수한 기록을 적게 되었다.

남 앞에 서면 혹시 실수할까 봐 불안한 감정들이 그  어릴 적 작은 실수를  누군가 나에게 잘했다고 괜찮다고 응원해 주었다면 기억조차 없을 아무것도 아닌 일인 것이다.

어린 내 안의 나에게 위로의 말을 건넨다.

괜찮아!! 실수하고도 끝까지 잘 불렀잖아.



훗날 알았다. 6학년 담임선생님은 아버지 없는 나를 자존감을 키워 주려 한 것이었다.

꽃밭에서 그 노래를 왜 부르게 하셨는지도 나중에 알게 되었다.





작가의 이전글 라디오를 사랑한 80년대 처녀 농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